•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무더운 여름, 물놀이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주간(7.7.~7.13.) 안전사고 주의보 -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더위를 피해 물놀이를 가는 인파가 많아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였다.
□ 최근 5년(’14~’18)간 여름철 물놀이 안전관리기간(6~8월) 중 물놀이*로 인해 총 16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물놀이 안전관리기간 중 순수 피서목적으로 계곡 등에서 물놀이 중 발생한 사고
○ 특히, 여름휴가 기간인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한 달 간 사고가 집중되어 전체 사망자의 75%(123명)를 차지했다.

□ 원인별로 살펴보면, 수영미숙으로 인한 사망자가 31%(51명)으로 가장 많았고 안전부주의 22%(36명), 음주수영 17%(28명), 튜브전복 10%(16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사망자 수는 10대 이하가 30%(50명)*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어린 자녀나 학생들과 물놀이를 가는 보호자는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10세 미만 11명, 10대 39명, 20대 33명, 30대 15명, 40대 20명, 50대 이상 47명

□ 여름철 물놀이 사망사고는 안전시설을 갖추고 물놀이 시설로 관리되는 해수욕장이나 유원지보다는 하천이나 강(87명, 53%), 바닷가(30명, 18%), 계곡(24명, 15%)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 따라서, 물놀이를 즐길 때는 안전요원이 배치된 장소에서 해야 하며, 출입금지나 익수사고 주의 표지판 등이 설치된 곳에는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

□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기려면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 차가운 물에 들어가기 전에는 준비운동을 철저히 하고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착용한다.
○ 몸이 떨리거나 입술이 파랗게 변하는 경우 재빨리 물에서 나와 몸을 말리고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병원을 찾는다.
○ 어린이의 경우 사탕이나 껌을 입에 넣은 채로 수영을 하면 물이 코나 입으로 들어오면서 기도가 막히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위험상황에 대한 판단능력이나 대처능력이 저하되므로 절대 입수하지 않는다.
○ 안전시설과 안전요원이 배치된 장소를 이용하여야 하며, 사고가 발생했거나 입수가 금지된 지역에서는 절대 물놀이를 하지 않는다.
○ 안전요원의 시야 범위 내에서 물놀이를 하는 것이 좋으며, 입수하기 전에 깊은 곳이나 바위가 많은 곳 등 위험한 지역을 미리 파악해 둔다.
○ 기상악화로 수량이 증가하거나 물살이 강해지면 즉시 물 밖으로 나와 물가에서 벗어난다.

□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물놀이 안전사고는 수영미숙, 음주수영과 같은 부주의가 사망사고로 이어진 경우가 많다.”라며, “물놀이를 즐길 때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행정안전부 2019-07-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349 다이어트 패치, 효과 검증 안되고 피부 부작용 발생 우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18.11.23
1348 배터리 설계 결함으로 화재 발생 위험 있는 Uoni Yuli 로봇 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3.05.25
1347 유리 이물 혼입 가능성 있는 Freche Freunde 이유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3.01.16
1346 금속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Wakodo 콩가루 쿠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2.07.18
1345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1.05.03
1344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Miss Vickie’s 과자 판매차단(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0.12.07
1343 소형 자석으로 인한 질식 및 부상 위험 있는 Sucetoy 자석 체스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4.04.15
1342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Tresemme 드라이 샴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12.13
1341 가스 누출 및 화재 위험 있는 Optimus 휴대용 가스스토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11.15
1340 익사 위험 있는 Jobe 튜브형 패들보드 판매차단 안내(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11.14
1339 트로판 알칼로이드(tropane alkaloid) 다량 검출된 나초(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09.26
1338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Beelittle 코스튬 액세서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06.13
1337 즐거운 캠핑, 화재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04.28
1336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Pukka 강황 건강보충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11.04
1335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Pukka 강황 건강보충제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11.04
1334 감전 위험 있는 E27 램프 홀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11.04
1333 치질.무좀.질염 의약품 온라인으로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06.08
1332 USB케이블 온도 상승으로 고장 날 수 있는 Stadler Form Emma 가습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06.02
1331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BabyBus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02.01
1330 가을철 건강한 나들이를 위한 식중독 예방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18.08.30
Board Pagination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