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무더운 여름, 물놀이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주간(7.7.~7.13.) 안전사고 주의보 -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더위를 피해 물놀이를 가는 인파가 많아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였다.
□ 최근 5년(’14~’18)간 여름철 물놀이 안전관리기간(6~8월) 중 물놀이*로 인해 총 16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물놀이 안전관리기간 중 순수 피서목적으로 계곡 등에서 물놀이 중 발생한 사고
○ 특히, 여름휴가 기간인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한 달 간 사고가 집중되어 전체 사망자의 75%(123명)를 차지했다.

□ 원인별로 살펴보면, 수영미숙으로 인한 사망자가 31%(51명)으로 가장 많았고 안전부주의 22%(36명), 음주수영 17%(28명), 튜브전복 10%(16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사망자 수는 10대 이하가 30%(50명)*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어린 자녀나 학생들과 물놀이를 가는 보호자는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10세 미만 11명, 10대 39명, 20대 33명, 30대 15명, 40대 20명, 50대 이상 47명

□ 여름철 물놀이 사망사고는 안전시설을 갖추고 물놀이 시설로 관리되는 해수욕장이나 유원지보다는 하천이나 강(87명, 53%), 바닷가(30명, 18%), 계곡(24명, 15%)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 따라서, 물놀이를 즐길 때는 안전요원이 배치된 장소에서 해야 하며, 출입금지나 익수사고 주의 표지판 등이 설치된 곳에는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

□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기려면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 차가운 물에 들어가기 전에는 준비운동을 철저히 하고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착용한다.
○ 몸이 떨리거나 입술이 파랗게 변하는 경우 재빨리 물에서 나와 몸을 말리고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병원을 찾는다.
○ 어린이의 경우 사탕이나 껌을 입에 넣은 채로 수영을 하면 물이 코나 입으로 들어오면서 기도가 막히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위험상황에 대한 판단능력이나 대처능력이 저하되므로 절대 입수하지 않는다.
○ 안전시설과 안전요원이 배치된 장소를 이용하여야 하며, 사고가 발생했거나 입수가 금지된 지역에서는 절대 물놀이를 하지 않는다.
○ 안전요원의 시야 범위 내에서 물놀이를 하는 것이 좋으며, 입수하기 전에 깊은 곳이나 바위가 많은 곳 등 위험한 지역을 미리 파악해 둔다.
○ 기상악화로 수량이 증가하거나 물살이 강해지면 즉시 물 밖으로 나와 물가에서 벗어난다.

□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물놀이 안전사고는 수영미숙, 음주수영과 같은 부주의가 사망사고로 이어진 경우가 많다.”라며, “물놀이를 즐길 때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행정안전부 2019-07-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53 5월 가정의 달 맞아 식의약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6 2019.05.02
3052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9.05.02
3051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9.05.07
3050 야외 활동이 증가하는 계절, 자전거 사고 예방에 헬멧 착용은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19.05.08
3049 부처님 오신날 사찰 화재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9.05.10
3048 125활인건강㈜ 125힐링벨트 무상교환 조치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0 2019.05.14
3047 가정의 달 맞아 축산물 생산업체 66곳 점검, 16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19.05.16
3046 Little Tikes 유아 완구, 신체 끼임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9.05.16
3045 Peg Perego 승용완구, 납·카드뮴 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5.16
3044 Ermila 가정용 전기고데기, 화재 및 감전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9 2019.05.16
3043 Star Wars 코스튬 의상, 가연성 소재 사용하여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5.16
3042 Wowmax 봉제인형, 질식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9.05.16
3041 비타민D 과량 함유된 Hill’s Pet Nutrition 애완견 사료 이상증상 유발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19.05.16
3040 Stacker2 식품보조제에 카페인 과다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5.16
3039 Remedy 피부크림 제품, 곰팡이 오염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9.05.16
3038 URIAGE 기저귀 크림(Bebe 1er Change/1st Change cream), 살균보조제 성분 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67 2019.05.16
3037 Envirokidz 시리얼, 밀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8 2019.05.16
3036 Lee’s Tea 찻잎,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9.05.16
3035 Nutiva 코코넛 오일, 기준치 초과하는 벤조피렌 성분 검출 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19.05.16
3034 봄철 독나물 식중독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9.05.17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