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족구병 발생 지속 증가, 예방수칙 준수 재당부!


수족구병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0~6세가 큰폭으로 증가

수족구병이 의심(발열, 물집(입안, 손, 발))되면 의료기관에서 진료받기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손씻기의 생활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수족구병* 환자발생이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감염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해 수족구병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줄 것을 거듭 당부하였다.

* 수족구병: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등 장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열 및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특히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며,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됨.

전국 95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수족구병 의사환자*수는‘19년 23주(6.2~6.8) 21.5명(외래환자 1,000명당), 24주(6.9~6.15) 29.0명, 25주(6.16~6.22) 41.0명으로 지속 증가하였고, 특히, 0-6세 발생(49.3명)이 높았으며 8월말까지 환자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수족구병의사환자 발생분율(‰) : 수족구병의사환자수 / 전체 외래환자수×1,000

** 수족구병 표본감시결과 확인: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탈 홈페이지(http://www.cdc.go.kr/npt) → 소식지 → 감염병표본감시 주간소식지(매주 목요일 17시 이후)

수족구병은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대부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이며, 올바른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준수하면 감염 예방이 가능하나,

일부 환자에서는 고열, 구토, 마비증상 등이 나타나는 뇌막염, 뇌실조증, 뇌염 등 중추 신경계 합병증 외에 심근염, 신경원성 폐부증, 급성 이완성 마비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발열, 입안의 물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 등 수족구병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수족구병 발생 예방 및 전파 방지를 위해 예방수칙를 반드시 준수하고, 영유아에게 많이 발생하는 감염병이므로 집단생활을 하는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는 아이 돌보기 전·후 손씻기, 장난감 등 집기 청결히 관리하기 등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강조하였다.


< 수족구병 예방 수칙 >

  • 올바른 손 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 특히 산모, 소아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조리원,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 올바른 기침예절
    •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 철저한 환경관리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소독 하기(붙임 3 참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 받고 등원 및 외출 자제 하기(발병후 1주일)



[ 보건복지부 2019-06-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31 2019년 해외유입 콜레라 첫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9.11.04
1430 블랙프라이데이 앞두고 해외직구피해주의보 발령…11,12월에 피해 집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9.11.04
1429 유명 피트니스플랫폼 피해신고 급증…소비자 이용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1.04
1428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9.11.04
1427 식약처, 저출력심장충격기 및 모유착유기 안전관리 실태점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9.10.31
1426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10.29
1425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19.10.24
1424 식용란 선별포장 적용 대상 및 허가 요건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7 2019.10.24
1423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중단 강력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9.10.23
1422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10.23
1421 칠레 전역에 여행경보 2단계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10.23
1420 가을 나들이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10.23
1419 [소비자안전주의보] 제품 리콜에 따른 소비자 · 사업자의 적극적인 대응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19.10.21
1418 태국 유입 홍역발생 지속, 여행자 대상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9.10.21
1417 가을철 발열성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19.10.18
1416 가을 산행은 무리하지 말고 안전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10.18
1415 일부 프로야구장 응원용 막대풍선, 어린이에게 유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10.18
1414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10.16
1413 해외 유입 홍역환자 지속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9 2019.10.11
1412 안전사고 예방으로 즐거운 가을 축제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0.10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