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섬유제품 소비자 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

- 제조·판매·세탁업계의 품질 관리 개선 노력 필요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의류·피혁제품 및 세탁 관련 소비자분쟁에 대한 객관적 책임소재 규명을 위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섬유제품심의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동 섬유제품심의위원회에 2018.1.1.부터 2019.3.31.까지 접수된 섬유제품 관련 분쟁은 총 6,257건으로, 품목별로는 `점퍼·재킷류'가 24.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셔츠' 9.4%, `코트' 8.6%, `캐주얼바지' 8.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섬유제품 소비자분쟁의 절반 이상(54.6%)이 사업자 책임으로 나타나

섬유제품심의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책임소재별로 살펴보면, 섬유제품 관련 소비자분쟁의 44.9%가 제조불량 등 품질하자에 의한 제조·판매업자의 책임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탁방법 부적합' 등 세탁업자 책임으로 인한 소비자피해도 9.7%를 차지했고, `소비자 책임'은 17.7%였다.


                                        [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심의결과 책임소재 ]

                                                                                                                                      (단위 : 건, %)

구분

사업자

소비자

기타*

제조·판매업자

세탁업자

건수

2,809(44.9)

610(9.7)

1,106(17.7)

1,732(27.7)

6,257(100.0)

* ‘하자가 허용수준 이내’로 불량 등으로 보기 어렵거나, 소비자분쟁해결기준 상 ‘내용연수가 경과’하여 ’자연손상‘된 경우 등

◎ 품질하자는 ‘제조 불량’이, 세탁과실은 ‘세탁방법 부적합’이 가장 많아

품질하자 유형별로는 `제조 불량'이 36.4%(1,020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내구성 불량' 32.6%(919건), `염색성 불량' 24.5%(687건), `내세탁성 불량' 6.5%(183건) 등의 순이었다.


                                                          [ 품질하자 유형별 ]

                                                                                                                                   (단위 : 건, %)

구 분

건수

비율

품질하자

제조 불량

1,020

36.4

내구성 불량

919

32.6

염색성 불량

687

24.5

내세탁성 불량

183

6.5

2,809

100.0


세탁과실 유형별로는 `세탁방법 부적합'이 51.8%(316건)로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용제, 세제 사용미숙' 12.8%(78건), `오점제거 미흡' 11.5%(70건), `후 손질 미흡' 8.7%(53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 책임은 ‘취급부주의’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

소비자 책임은 소비자가 세탁 시 제품에 표기된 세탁방법 등 표시사항을 준수하지 않았거나 착용 중 찢김·터짐 등 `취급부주의(77.7%, 859건)'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섬유제품 관련 분쟁을 줄이기 위해 이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의류 제조·판매업자 및 세탁업자와 간담회를 개최하여 업계의 품질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제품에 부착된 품질표시 및 취급 주의사항을 확인·준수할 것, ▲세탁 의뢰 시에는 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고 인수증을 받아둘 것, ▲완성된 세탁물은 가급적 빨리 회수하여 하자유무를 즉시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9-06-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90 코로나19 피해 취약 개인채무자는 2021년 6월말까지 가계대출 원금 상환유예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6 8
12589 코로나19 피해 취약 개인채무자는 2021년 12월말까지 가계대출 원금 상환유예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19
12588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은 21.3월말까지 대출 원금상환 만기연장, 이자상환 유예를 금융회사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7 9
12587 코로나19 피해 입은 소상공인 및 착한 임대인 지방세 부담 덜어준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5 19
12586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영세사업자 체납처분 유예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8 6
12585 코로나19 치료제.백신 허가.심사,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1 19
12584 코로나19 치료제.백신 허가.심사,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3 16
12583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등 진행 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1 7
12582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등 진행 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3 13
12581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 공급 시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1 38
12580 코로나19 치료제 검증 자문단 회의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9 16
12579 코로나19 진단시약 허가 등 진행 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06 13
12578 코로나19 주간 발생 15주만에 증가(전주대비 21.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16
12577 코로나19 조기 극복을 위해 4월 부가가치세 예정고지・신고 대상 사업자 세정지원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3 21
12576 코로나19 정부지원대출 빙자 보이스피싱, 스미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4 6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