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나들이 계절, 외부 활동 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 여가·문화·놀이시설 안전사고 5∼7월에 다발 -


화창한 날씨에 바깥나들이를 계획하는 가정이 많지만, 외부활동 시간이 늘어나는 만큼 여가·문화·놀이시설에서 어린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보호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4년~2018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여가·문화·놀이시설에서의 만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7,603건**이었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14년 2,243건, ’15년 1,479건, ‘16년 1,177건, ’17년 1,395건, ‘18년 1,309건

◎ 외부활동 증가하는 5~7월, 공원 · 키즈카페 · 놀이공원에서 다발

발생 시기가 확인된 7,580건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5월’이 12.5%(946건)로 가장 많았고, ‘6월’ 11.5%(873건), ‘7월’ 11.4%(860건)로 뒤를 이었다.

장소별로는 ‘공원’ 29.9%(1,234건), ‘키즈카페’ 26.2%(1,082건), ‘놀이공원’ 17.1%(705건), ‘목욕탕’ 13.9%(574건)로 상위를 차지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미끄럼틀’이 13.9%(1,056건), ‘트램폴린’ 10.6%(807건), ‘그네’ 8.1%(619건), ‘목욕탕 시설’ 6.5%(494건) 순으로 나타났다.

◎ 넘어짐 · 추락 · 부딪힘으로 인한 열상 · 타박상 · 골절 사고 발생

여가·문화·놀이시설에서 발생한 어린이 안전사고는 주로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39.6%, 3,006건), 추락(28.5%, 2,167건)하거나 부딪히는 사고(20.8%, 1,581건)가 대부분이었다.

이로 인한 위해증상으로는 ‘열상(찢어짐)’ 38.8%(2,950건), ‘타박상’ 19.3%(1,469건), ‘골절’ 17.4%(1,326건), ‘찰과상’ 8.0%(610건) 순이었다. 부위별로는 ‘머리·얼굴’이 57.2%(4,351건)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팔·손’ 22.3%(1,697건), ‘둔부·다리·발’ 15.0%(1,143건) 순으로 나타났다.

주로 롤러스케이트, 자전거 타기 등 스포츠 활동을 하다가 넘어지는 사고, 놀이터에서 미끄럼틀, 트램폴린 등 놀이시설을 이용하다 추락한 사고, 목욕탕이나 수영장에서 미끄러져 다친 사고 등이 많았다.

◎ 외부활동 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어린이 교육과 보호자 주의 필요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어린이가 놀이시설을 이용하면서 안전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미리 알려주고 스포츠 활동 시에는 안전모, 보호대 등 보호 장구를 착용하게 해야 한다.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 어린이 발달 특성 및 다발 사고 유형을 고려하여 어린이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콘텐츠 제공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을 유도하는 등 어린이 안전사고 및 위해 발생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6-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53 감전 위험 초래할 수 있는 Tomas 해충 포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2.16
4052 벌레 혼입 가능성이 있는 Angelina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2.29
4051 내가 쓰는 코인 거래소는 안전할까, 가짜 거래소를 이용한 가상자산 투자사기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3.20
4050 사용자 부상 위험이 있는 Tendon 등산용 로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05.12
4049 접지 미흡 등으로 감전, 화재 우려 있는 Vevor 곡물분쇄기(푸드 그라인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1.16
4048 최근 4주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환자 2배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1.17
4047 부상 위험 있는 Defender Security E2537 유리 문손잡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1.22
4046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1.22
4045 단추형 전지 삼킴 우려 있는 조명 열쇠고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2.13
4044 케이블 플라스틱에 SCCPs 등을 함유한 디지털 달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1.05
4043 의약품 성분 함유된 The Grind 운동 보조제(아이스 체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2.15
4042 의약품 성분 함유된 The Grind 운동 보조제(아이스 블루 라즈베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2.15
4041 일부 제품에 재봉 바늘 혼입된 유아용 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2.20
4040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SBART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3.18
4039 절연 미흡해 감전 위험 있는 LED 손전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3.21
4038 화재 및 화상 위험이 있는 Lolanta 아동용 목욕 가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3.21
4037 감전 위험 있는 수조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3.27
4036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Apex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3.27
4035 인공 화학물질이 과도하게 함유된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4.16
4034 절연 미흡 등으로 전기 감전 위험이 있는 Vevor 트리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09.18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