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익수사고는 여름철(46.9%)에 주로 발생
   - 익수사고는 추락‧낙상 사고(손상 발생원인 1위)와 비교하여 사망분율이 약 30배 높음
    - 발생은 9세 이하, 사망은 고령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므로 어린이와 노인층에서 주의 필요
 ◇  질병관리본부, 어린이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준수 당부
   - 물놀이 시 어른 동반,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 착용, 식사 전·후 바로 물놀이 금지 등 주의사항 준수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익수(물에 빠짐)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여름철을 맞아 2012-2017년 동안 익수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의도성 익수(자해·자살 포함)를 제외한 비의도성 익수사고 현황을 추출하여 분석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2012-2017) :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발생원인을 비롯한 손상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최근 6년 동안 익수사고로 인해 23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환자 수는 958명으로 이 중 남자가 682명(71.2%), 여자가 276명(28.8%)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 2.5배 정도 많았다.

 - (전체) 익수사고는 주요 손상*과 비교했을 때 발생(958명)은 적은 반면 사망분율**(162명, 16.9%)은 현저하게 높았다.
   * 추락‧낙상 사고 발생건수: 48만 5290명, 사망건수: 2904명(사망분율 0.6%) ; 손상 발생원인 1위
    둔상 사고 발생건수: 29만 6492명, 사망건수: 381명(사망분율 0.1%) ; 손상 발생원인 2위
   ** 사망분율 : 익수사고 사망건수/익수사고 발생건수×100
 - (연령별) 9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생 빈도가 매우 높고, 고령으로 갈수록 사망*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 0-4세 사망분율: 6.2%(발생건수: 194명, 사망건수: 12명) → 75-79세 사망분율: 47.2%(발생건수: 53명, 사망건수: 25명)


< 연령별 익수사고 발생 및 사망 현황, 2012-2017>


- (시기별) 물놀이를 많이 하는 여름(46.9%, 특히 7-8월)에 주로 발생하고, 주말에 상대적으로 빈도가 높으며 오후(12-17시)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 계절별 익수사고 발생 현황, 2012-2017> : 첨부 참고


<요일별 익수사고 발생 현황, 2012-2017> : 첨부 참고


<시간대별 익수사고 발생 현황, 2012-2017> : 첨부 참고

- (활동별‧장소별) 익수사고는 여가활동(46.5%) 중에 주로 발생하고, 발생장소로는 수영장 시설*, 목욕시설**, 집*** 등에 비해 야외(58%)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 수영장 시설 : 공공수영장, 상업시설 내 수영장 등, ** 목욕시설 : 사우나 시설 내 목욕탕, 온천, 스파 등,
 *** 집 : 욕조 등


<활동별·장소별 익수사고 발생  현황, 2012-2017> : 첨부 참고


□ 질병관리본부는 익수 사고가 빈번한 여름철을 맞아 특히 어린이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수칙을 안내하였다.

< 어린이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물놀이를 할 때 항상 어른과 같이 물에 들어간다.

물놀이를 할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물놀이를 하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을 한다.

물에 들어가기 전에 심장에서 먼 곳부터 물을 적신다.

식사를 한 후 바로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물놀이를 하면서 사탕이나 껌 등을 씹지 않는다.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를 한다.

파도가 높거나 물이 세게 흐르는 곳, 깊은 곳에서는 수영하지 않는다.

계곡이나 강가, 바닷가에서는 잠금장치가 있는 샌들을 신는다.

수영장 근처에서 뛰어다니지 않는다.

 

 

○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했을 때는 직접 구하기 위해 물 속에 들어가는 것보다는 물에 뜨는 물건(튜브, 아이스박스, 구명조끼, 비치볼 등)을 던져주고, 수상안전요원이나 어른들에게 즉시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권고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물에 빠져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 사망할 수도 있으므로, 물놀이를 하기 전에 충분히 안전수칙을 숙지하고, 특히 물가나 야외에 나갔을 때 아이들이 방치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써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한편, 여름철 익수사고 예방과 관련된 소식은 질병관리본부 누리집(홈페이지)(www.cdc.go.kr)의 카드뉴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 2019-06-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93 고수익 보장, 특별 저가 매수 기회 등으로 투자자를 현혹하는 가상자산 투자권유,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8.03
3692 코로나19 여름철 확산 대비, 방역수칙 준수 적극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8.02
3691 항공권 구매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08.02
3690 여름철 수상레저 활동 시 안전사고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8.01
3689 잔류농약 기준이 초과 검출된 수입 ‘고추’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8.01
3688 인터파크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3.08.01
3687 세이브전시몰 / 세이브아울렛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01
3686 다회용기 안심하고 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7.31
3685 여름방학 때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 예방접종 꼭 챙겨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07.31
3684 안정세 유지를 위한 엠폭스 고위험군의 적극적 예방접종 및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31
3683 MU아울렛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07.31
3682 GS SHOP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7.31
3681 자동차 금융사기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및 피해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31
3680 해외여행 시 주의해야 할 감염병, 알고 계신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7.25
3679 여름철 이례적으로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개인위생수칙 준수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7.25
3678 생활가전레저 전시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7.25
3677 여름 휴가철 위험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3.07.24
3676 한국휴텍스제약 제조 6개 품목 제조.판매 중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7.24
3675 무궁화물류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3.07.24
3674 여름 집중호우 시기, 식중독 발생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7.20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