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익수사고는 여름철(46.9%)에 주로 발생
   - 익수사고는 추락‧낙상 사고(손상 발생원인 1위)와 비교하여 사망분율이 약 30배 높음
    - 발생은 9세 이하, 사망은 고령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므로 어린이와 노인층에서 주의 필요
 ◇  질병관리본부, 어린이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준수 당부
   - 물놀이 시 어른 동반,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 착용, 식사 전·후 바로 물놀이 금지 등 주의사항 준수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익수(물에 빠짐)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여름철을 맞아 2012-2017년 동안 익수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의도성 익수(자해·자살 포함)를 제외한 비의도성 익수사고 현황을 추출하여 분석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2012-2017) :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발생원인을 비롯한 손상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최근 6년 동안 익수사고로 인해 23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환자 수는 958명으로 이 중 남자가 682명(71.2%), 여자가 276명(28.8%)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 2.5배 정도 많았다.

 - (전체) 익수사고는 주요 손상*과 비교했을 때 발생(958명)은 적은 반면 사망분율**(162명, 16.9%)은 현저하게 높았다.
   * 추락‧낙상 사고 발생건수: 48만 5290명, 사망건수: 2904명(사망분율 0.6%) ; 손상 발생원인 1위
    둔상 사고 발생건수: 29만 6492명, 사망건수: 381명(사망분율 0.1%) ; 손상 발생원인 2위
   ** 사망분율 : 익수사고 사망건수/익수사고 발생건수×100
 - (연령별) 9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생 빈도가 매우 높고, 고령으로 갈수록 사망*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 0-4세 사망분율: 6.2%(발생건수: 194명, 사망건수: 12명) → 75-79세 사망분율: 47.2%(발생건수: 53명, 사망건수: 25명)


< 연령별 익수사고 발생 및 사망 현황, 2012-2017>


- (시기별) 물놀이를 많이 하는 여름(46.9%, 특히 7-8월)에 주로 발생하고, 주말에 상대적으로 빈도가 높으며 오후(12-17시)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 계절별 익수사고 발생 현황, 2012-2017> : 첨부 참고


<요일별 익수사고 발생 현황, 2012-2017> : 첨부 참고


<시간대별 익수사고 발생 현황, 2012-2017> : 첨부 참고

- (활동별‧장소별) 익수사고는 여가활동(46.5%) 중에 주로 발생하고, 발생장소로는 수영장 시설*, 목욕시설**, 집*** 등에 비해 야외(58%)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 수영장 시설 : 공공수영장, 상업시설 내 수영장 등, ** 목욕시설 : 사우나 시설 내 목욕탕, 온천, 스파 등,
 *** 집 : 욕조 등


<활동별·장소별 익수사고 발생  현황, 2012-2017> : 첨부 참고


□ 질병관리본부는 익수 사고가 빈번한 여름철을 맞아 특히 어린이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수칙을 안내하였다.

< 어린이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물놀이를 할 때 항상 어른과 같이 물에 들어간다.

물놀이를 할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물놀이를 하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을 한다.

물에 들어가기 전에 심장에서 먼 곳부터 물을 적신다.

식사를 한 후 바로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물놀이를 하면서 사탕이나 껌 등을 씹지 않는다.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를 한다.

파도가 높거나 물이 세게 흐르는 곳, 깊은 곳에서는 수영하지 않는다.

계곡이나 강가, 바닷가에서는 잠금장치가 있는 샌들을 신는다.

수영장 근처에서 뛰어다니지 않는다.

 

 

○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했을 때는 직접 구하기 위해 물 속에 들어가는 것보다는 물에 뜨는 물건(튜브, 아이스박스, 구명조끼, 비치볼 등)을 던져주고, 수상안전요원이나 어른들에게 즉시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권고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물에 빠져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 사망할 수도 있으므로, 물놀이를 하기 전에 충분히 안전수칙을 숙지하고, 특히 물가나 야외에 나갔을 때 아이들이 방치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써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한편, 여름철 익수사고 예방과 관련된 소식은 질병관리본부 누리집(홈페이지)(www.cdc.go.kr)의 카드뉴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 2019-06-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71 이마트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3.07.13
2870 내 주변 안전, 확인하기 더욱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18.01.30
2869 안전수칙 지켜 놀이시설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18.05.02
2868 전 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연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0.11.17
2867 마스크 피부 발진, 화장품으로 개선? 믿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01.28
2866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MTTXGS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02.01
2865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재킷(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05.03
2864 뚜껑 결함으로 누유 위험 있는 뉴레이튼 휘발유 휴대 용기(1)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05.03
2863 알레르기 성분(우유) 미표시한 Tesco 샐러드 드레싱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11.04
2862 솔기 파손돼 질식 위험있는 손목 딸랑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4.04
2861 부품분리 및 삼킴 위험 있는 Kenwood 푸드 프로세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4.29
2860 단추형 전지 노출되어 질식 위험있는 LED 크리스마스 모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5.02
2859 코스존 / COSZONE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9.14
2858 타임투바이 / TIME TO BUY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9.16
2857 후방 디스크 브레이크 구멍에 손가락 부상 위험 있는 UPPAbaby 유모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10.18
2856 일부 부품 미장착한 EXPED 등산용 배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3.01.12
2855 RICH 헤어 관리 제품 3종,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03.21
2854 본격적인 봄, 4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03.29
2853 건강한 추석 명절을 위한 식품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09.20
2852 겨울철 근로자 건강, 한랭질환 예방으로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11.26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