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전신문고」신고건수 1백만 건 돌파
- 신고 개선율 85.3%,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 안전신고 대표 창구로 자리 매김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안전신문고 개통(‘14.9.30.) 이후 4년 여 만에 안전신고 건수가 1백만 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안전신문고는 국민 누구나 생활 주변의 안전위험요인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찍어 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시스템(포털*, 앱**)이다.
* (웹) 안전신문고 누리집(www.safetyreport.go.kr)
** (앱) 구글 ‘play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안전신문고’를 검색하여 설치

그간 안전신고를 분석한 결과, 전체 1백만 여건(1,002,707건, 6.12기준) 중 85만 여건(85.3%)의 안전위험요인이 개선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과 사회 안전 확보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붙임 : 주요 안전신고 및 개선 사례

예전에는 보도블록과 맨홀 파손과 같이 생활 주변의 위험 요인을 신고할 방법이 마땅치 않았으나 ‘안전신문고’라는 전용 창구가 생기면서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뤄진 점이 높이 평가된다.
신고 추이를 살펴보면 신고 건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신고 내용도 다양해지고 있다.
※ 연도별 신고건수(일평균) : ‘14년 1,488건(16건), ’15년 74,123건(203건), ‘16년 152,768건(417건), ’17년 226,919건(621건), ‘18년 236,002건(646건), ’19.6.12. 기준 311,407건(1,910건)
유형별로는 도로·건물 등 시설안전은 305,641건(30.5%), 신호등 및 불법 주‧정차 등 교통안전은 301,933건(30.1%), 등산로·체육시설 등 생활안전은 206,361건(20.6%)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신고 초기에는 맨홀 뚜껑 개보수 등 경미한 사항이 많았지만 노후 교량 붕괴 위험, 전신주 감전 위험, 육교 주탑 와이어 손상 등 대형사고 위험이 높은 신고도 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지난 4월 17일부터 4대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제가 시행되면서 안전신고(6.12.기준, 총 11만여 건)가 급증하였다.
* 소화전 5m 이내, 교차로 모퉁이 5m 이내, 버스 정류소 10m 이내, 횡단보도

행정안전부는 앞으로도 시스템 기능보강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대한민국 안전신고 대표 창구로서 신고자 만족도와 참여를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안전신고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재난‧안전 전문가와 민간단체*가 안전 신고와 안전신문고 홍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민‧관 협업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 전국자율방재단연합회,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안실련), 전국의용소방대연합회 등
주기별로 안전신고 우수 사례를 선정하여 신고 마일리지와 정부 표창, 안전신고 포상금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수시로 안전신고 이벤트를 통해 안전신고의 양적‧질적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실시한 안전신문고에 대한 국민 의견*을 반영하여 안전신고가 보다 활성화 되도록 시스템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 ‘안전신문고에 집중 신고 할 분야 의견 올리기’ 이벤트 실시(6.1.~10)

허언욱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안전신고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참여 수단이자 국민의 안전의식을 나타내는 척도이므로, 생활 주변에 안전위험요인을 발견하면 안전신문고로 즉시 신고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행정안전부 2019-06-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30 더위도 피해가는 여름철 내 차 관리요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8 125
5929 더워지는 날씨, 냉방기 사용 전 점검으로 화재 예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9 53
5928 더워지는 날씨, 가볍게 한 잔도 위험 음주운전 절대 안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23
5927 더울때는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자주 마셔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7 21
5926 더욱 편리해진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를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31 40
5925 더욱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생활법령정보 서비스 개선방안, 국민에게 듣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10 361
5924 더욱 새로워진‘정부24’, 더 쉽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3
5923 더쉽게, 한눈에... 식품의 영양표시가 바뀝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4 87
5922 더 확대된 혜택, 세금포인트를 사용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2 10
5921 더 편리해진 온라인 출생신고, 참여병원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17
5920 더 편리하고 새로워진 '내손안' 앱을 만나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8
5919 더 편리하고 똑똑해진 ‘공유누리’로 대한민국을 공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4 21
5918 더 이상 점성어를 민어로 속여 팔 수 없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0 30
5917 더 알기 쉽고 더 찾기 쉬운 지방재정, 「지방재정365」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9 50
5916 더 새롭게! 더 편리하게! 1365자원봉사포털 전면개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6 13
Board Pagination Prev 1 ...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