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전신문고」신고건수 1백만 건 돌파
- 신고 개선율 85.3%,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 안전신고 대표 창구로 자리 매김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안전신문고 개통(‘14.9.30.) 이후 4년 여 만에 안전신고 건수가 1백만 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안전신문고는 국민 누구나 생활 주변의 안전위험요인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찍어 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시스템(포털*, 앱**)이다.
* (웹) 안전신문고 누리집(www.safetyreport.go.kr)
** (앱) 구글 ‘play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안전신문고’를 검색하여 설치

그간 안전신고를 분석한 결과, 전체 1백만 여건(1,002,707건, 6.12기준) 중 85만 여건(85.3%)의 안전위험요인이 개선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과 사회 안전 확보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붙임 : 주요 안전신고 및 개선 사례

예전에는 보도블록과 맨홀 파손과 같이 생활 주변의 위험 요인을 신고할 방법이 마땅치 않았으나 ‘안전신문고’라는 전용 창구가 생기면서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뤄진 점이 높이 평가된다.
신고 추이를 살펴보면 신고 건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신고 내용도 다양해지고 있다.
※ 연도별 신고건수(일평균) : ‘14년 1,488건(16건), ’15년 74,123건(203건), ‘16년 152,768건(417건), ’17년 226,919건(621건), ‘18년 236,002건(646건), ’19.6.12. 기준 311,407건(1,910건)
유형별로는 도로·건물 등 시설안전은 305,641건(30.5%), 신호등 및 불법 주‧정차 등 교통안전은 301,933건(30.1%), 등산로·체육시설 등 생활안전은 206,361건(20.6%)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신고 초기에는 맨홀 뚜껑 개보수 등 경미한 사항이 많았지만 노후 교량 붕괴 위험, 전신주 감전 위험, 육교 주탑 와이어 손상 등 대형사고 위험이 높은 신고도 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지난 4월 17일부터 4대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제가 시행되면서 안전신고(6.12.기준, 총 11만여 건)가 급증하였다.
* 소화전 5m 이내, 교차로 모퉁이 5m 이내, 버스 정류소 10m 이내, 횡단보도

행정안전부는 앞으로도 시스템 기능보강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대한민국 안전신고 대표 창구로서 신고자 만족도와 참여를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안전신고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재난‧안전 전문가와 민간단체*가 안전 신고와 안전신문고 홍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민‧관 협업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 전국자율방재단연합회,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안실련), 전국의용소방대연합회 등
주기별로 안전신고 우수 사례를 선정하여 신고 마일리지와 정부 표창, 안전신고 포상금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수시로 안전신고 이벤트를 통해 안전신고의 양적‧질적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실시한 안전신문고에 대한 국민 의견*을 반영하여 안전신고가 보다 활성화 되도록 시스템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 ‘안전신문고에 집중 신고 할 분야 의견 올리기’ 이벤트 실시(6.1.~10)

허언욱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안전신고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참여 수단이자 국민의 안전의식을 나타내는 척도이므로, 생활 주변에 안전위험요인을 발견하면 안전신문고로 즉시 신고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행정안전부 2019-06-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13 사륜 오토바이(ATV), 대부분 안전 무방비로 도로 주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2 226
7312 사례로 풀어보는 양도소득세 월간질의 Top 10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6 40
7311 사례로 알아보는 식품관련 법령 이해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8
7310 사례로 알아보는 ´우리동네 출산장려정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7 60
7309 사례로 살펴보는 공동주택 하자분쟁 대응방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7 43
7308 사람이 우선되는 교통안전 선진국으로 도약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5 16
7307 사람유두종바이러스감염증 예방접종」국가지원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0 38
7306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겨울방학에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7 17
7305 사람도 동물도 안전한 도로, 운전자와 함께 만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5 35
7304 사람과 동물, 모두가 행복한 휴가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7 13
7303 사람 모양의 인형 완구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4 10
7302 사람 대신 자동차가 교통사고를 신고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3 101
7301 사라져가는 지방도시, 주민이 직접 해법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14
7300 사기와 비도덕적 기업인 홈플러스, 불매운동으로 단호히 대처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3 216
7299 사기예방백신 그놈 목소리, 체험관 방문자 100만명 돌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5 147
Board Pagination Prev 1 ...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