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2019년 6월 4일 비브리오패혈증 첫 확진환자 발생(57세(남), 서울 거주)
◇ 어패류 익혀먹기, 바닷물 접촉주의(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어패류 5℃ 이하 저온보관 및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등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6월 4일 비브리오패혈증 첫 확진 환자가 확인되어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환자는 당뇨병을 기저질환으로 앓고 있으며, 현재는 항생제 치료로 패혈증은 회복된 상태이며, 환자의 위험요인 노출력 등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중이다.

 ○ 비브리오패혈증은 간 질환자, 알콜중독자,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에서 주로 발생하며, 치사율이 50%까지 높아지기 때문에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 2018년 비브리오패혈증 발생현황: 환자 47명, 사망자 20명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알코올중독자당뇨병 등 만성질환자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악성종양재생불량성 빈혈백혈병 환자장기이식환자면역결핍 환자

 

 □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6월~10월경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주로 어패류 섭취 또는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
 ○ 올해 1월 전남 영광군 법성포구, 함평군 월천포구 및 제주시 산지천 해수에서 첫 번째 비브리오 패혈균이 분리된 후 울산, 여수, 통영, 제주 해수에서도 검출되고 있는 바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일상생활 또는 어패류 관리나 조리시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콜중독자 등의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

◇ 어패류는 5도 이하로 저온 보관한다.

◇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처리한다

어패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동안 더 끓이고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이상 더 요리해야 함

◇ 어패류를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 어패류를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

 

 


   [ 보건복지부 2019-06-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69 전기히터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20.02.05
3568 플라스틱 섭취 줄이는방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9.08.21
»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9.06.07
3566 스키 탈 때 헬멧‧보호대 꼭 착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8.12.20
3565 단쇄염화파라핀(SCCPs) 성분 포함된 iDeal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8.05.17
3564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에 따른 예방·관리 강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7.10.27
3563 공정위 사칭한 해킹메일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7.08.22
3562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B-6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23.04.20
3561 자연재난 대비 풍수해보험 미리 가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9.03.21
3560 철저한 농기계 점검과 정비로 안전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7.10.26
3559 시계, 품질 및 A/S 불만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7.10.20
3558 2019년 중 주요 손해보험사기 피해사례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20.01.14
3557 홍콩에 1단계 여행경보(남색경보-여행유의)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9.08.28
3556 Nutrex 보조제, 미승인 성분 함유돼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9.02.07
3555 일반 세균수 초과 검출된 샴푸(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22.06.08
3554 기아(주) 셀토스 차량 앞도어 상단 누수 현상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21.10.27
3553 신용카드를 이용한 지방세 등 대납사기를 조심하세요 -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20.02.06
3552 Slow rising panda 스퀴시 완구, 안구 자극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19.09.23
3551 주식,선물 거래를 가장한 도박형 사기 사이트 주의! - 소비자경보“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18.07.27
3550 Babyliss For Men 전기면도기(AcuBlade Face and Body Groomer) 화재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18.04.12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