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전문위탁병원이 국가유공 환자에게 진료비

직접 청구 않도록 관리 강화해야

- 권익위, 국가보훈처에 전문위탁병원 사후 정산제도 운영 관리·감독 강화 권고

- 생활 곤란 전문위탁병원 입원 국가유공자에 간병비 지급 등 지원대책 마련 의견표명

 
□ 보훈병원과 전문위탁병원간의 국가유공자 진료비 후불 정산제도 운영을 강화하고, 전문위탁병원에 입원한 국가유공자의 간병비 지급 등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나왔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국가유공자의 전문위탁병원 진료비 문제 개선을 제기한 고충민원과 관련해, 보훈병원 지정 전문위탁병원이 국가유공자에게 진료비를 직접 청구하지 않도록 보훈병원과 전문위탁병원 간 진료비 사후정산제도 운영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것을 국가보훈처에 시정권고했다.
 
국민권익위는 또 경제적 사정으로 보호자 등의 간병이 현저히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전문위탁병원 입원 국가유공자에게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또는 간병비 지급 등의 지원대책을 강구할 것을 의견표명했다.
 
□ A씨(29세)는 2010년 7월 군에 입대해 복무 중 부상을 당해 2011년 7월 전역했고 2016년 12월 국가유공자로 등록됐다. A씨는 군에서 다친 무릎이 악화돼 올해 보훈병원이 지정한 전문위탁 병원에서 좌·우측 무릎인대와 연골 봉합 및 재건 수술 등을 받고 1,928만원의 진료비를 청구받았다.
 
A씨는 어렵게 병원비를 납부한 뒤 보훈병원에서 비용을 돌려받았지만 이렇게 보훈병원에서 나중에 정산하는 것이 국가유공자에게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된다고 보고 개선해 달라는 고충민원을 국민권익위에 제기했다.
 
□ 국가보훈처는 전상군경을 포함한 국가유공자 등에게 통상 보훈병원에서 무료진료를 받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진료범위를 초과하거나 시설ㆍ장비 등 진료 여건을 고려해 전문병원의 치료가 필요할 경우 해당 병원과 협약을 체결해 진료를 받도록 하고 있는데, 전문위탁병원 수는 전국적으로 109개소가 있다.
 
구분
중앙
부산
광주
대구
대전
병원수(개)
109
61
11
-
28
9
 
‘국가보훈대상자 의료지원규정’은 보훈병원과 전문위탁 진료협정을 체결한 의료기관의 진료비용은 전상군경 등 환자 본인부담 비용을 제외한 금액을 해당 의료기관이 보훈병원에 청구하고 보훈병원은 사후에 정산하는 후불방식으로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보훈처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국가유공자가 진료비용을 전문위탁병원에 납부한 뒤 보훈병원에 청구해 정산하는 ‘직접정산 방식’이 전체 진료 인원의 70% 안팎인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 측이 행정적 사유로 환자에게 진료비를 직접 청구해 국가유공자들이 병원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구분
후불정산
직접정산
인원
금액
인원
금액
인원
금액
2016
84,170(29.6%)
4,963
200,114(70.3%)
18,658
284,284
23,621
2017년
77,975(28.5%)
4,640
195,116(71.4%)
18,329
273,091
22,969
2018년
81,608(27.7%)
4,819
212,757(72.2%)
18,453
294,365
23,272
 
□ 국민권익위는 ▲ 전문위탁병원이 국가유공자 환자에게 본인 부담액을 제외한 진료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 관련 규정이 없는 점, ▲ 환자 직접정산이 최근 3년 간 70% 정도로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는 점, ▲ 국가유공자 환자들이 직접 정산하면서 경제적 부담이 증가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해 국가보훈처에 보훈병원이 전문위탁병원에 사후에 정산하는 후불방식이 정착될 수 있도록 관리ㆍ감독을 강화할 것을 시정권고 했다.
 
□ 국민권익위는 이와 함께 전문위탁병원에 입원한 국가유공자 환자들 중 생활 여건이나 경제 상황 등으로 보호자 등의 간병이 현저히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환자에 대하여 간호ㆍ간병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간병비를 지급하는 등의 지원대책을 강구할 것을 의견표명 하였다.
 
국민권익위 조사결과, 업무상의 재해를 입은 근로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감염병 환자,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등은 관련 법령에 따라 간병비 등을 지급받고 있다. 현역 군인도 민간 의료기관에 위탁을 할 경우‘국방환자관리 훈령’에 따라 간병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국가를 위해 희생하거나 공헌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병원에 위탁된 국가유공자에 대해서는 국가 재정부담 등을 이유로 간병비 지원 등에 대한 제도가 없다.
 
□ 국민권익위 권근상 고충처리국장은 “민간 위탁 전문병원에서 입원치료중인 환자 중 가족의 간병을 받기 어려울 경우 최소한의 범위에서라도 간병서비스와 간병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국가유공자들이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9-06-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65 『수면장애(sleeping disorder)』인구 10만명당 연평균 증가율, 30대에서 가장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5 86
11164 풍요로운 한가위, 알아두면 유용한 금융정보도 함께 수확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3 86
11163 유해물질이 함유된 Infantino 유아용 캐리어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6 86
11162 5대 금융악 척결, 5개월간의 성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4 86
11161 어르신 겨울건강을 위한 맞춤복지 10월 인플루엔자 무료접종이 가까워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86
11160 메르스 관련 서비스 품목에 관한 소비자 상담 급증, 위생용품 관련 ‘사업자의 계약불이행’, ‘청약철회’ 문의 다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86
11159 여름철 피부 습격...유소아 ‘농가진’ 주의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6 86
11158 두부, 어묵 및 식용유지 제조업체 위생점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86
11157 금속 이물 혼입 수입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86
11156 모르는 재산, 빚 없도록 상속재산 한 번에 확인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1 86
11155 ㈜밤나무, 반짝이 떨어지는 엘사 인형 자발적 교환 및 환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1 86
11154 ‘14년 의료기기 생산실적 4조 5,533억원, 전년 대비 7.8%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3 86
11153 한국소비자원, 홈쇼핑사에 문제의 백수오 피해 적극 보상 권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06 86
11152 하절기(5~9월) 감염병 예방,관리 강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30 86
11151 항공교통량, 국제선·국내선 모두 ‘지속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4 86
Board Pagination Prev 1 ...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