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영양플러스사업으로 임신부·영유아 영양상태 개선됐다!
- 보건복지부·건강증진개발원, 2018년 영양플러스사업 추진성과 발표 -
- 빈혈률 50.1% → 26.0%, 성장부진 49.5% → 21.5%, 영양지식 7.87점 → 8.32점,
올바른 식생활 실천태도 8.29점 → 8.63점, 영양소적정섭취 0.73점 → 0.83점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은 영양위험요인(빈혈, 저체중, 성장부진, 영양섭취불량 등)을 가진 저소득층(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임산부 및 영유아를 대상으로 보충식품과 함께 영양교육 및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양플러스사업’(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관리사업)의 2018년도 성과를 발표했다.


* 2019년 기준 중위소득 80%이하 (4인 가구 기준, 3,691,000원)

2018년에는 전국 252개 보건소에서 총 8만 2045명에게 보충식품 및 영양교육․상담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대상자별로는 영아 3만 712명(37.4%), 유아 2만 4393명(29.7%), 임신부 8,169명(10.0%), 출산·수유부 1만 8771명(22.9%)이다.


2018년도 서비스를 제공받은 대상자에게 사전·사후 영양평가(신체계측, 빈혈검사, 영양섭취상태조사) 및 설문조사 시행하고, 지역보건의료시스템(PHIS)에 입력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본 사업성과를 측정하였다.


사업 참여 전후 대상자의 영양상태 개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빈혈, 성장부진, 식품 섭취상태, 영양지식 및 태도 변화, 사업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빈혈 및 성장부진) 빈혈은 사업 참여 전 50.1% → 참여 후 26.0%로 약 24.1%p 감소하였고, 저체중․저신장 등 성장부진은 참여 전 49.5% → 참여 후 21.5%로 약 28.0%p 감소하였다.


※ ’18년 빈혈검사 실시자는 2만 3876명으로 생후 6개월 미만 영아와 임신부는 제외

(식품섭취상태) 필수영양소의 권장량 대비 실제 섭취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영양소 적정섭취 정도(MAR*, 1점 만점)는 참여 전 0.73점 → 참여 후 0.83점으로 0.1점 상승하였다.


* MAR(Mean Adequacy Ratio) : 단백질,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 C섭취량을 권장섭취량(RI)과 비교한 총괄적인 평균 적정한 영양섭취 정도

(영양지식 및 태도변화) 영양지식(10점 만점)은 참여 전 7.87점 → 참여 후 8.32점으로 0.45점 상승하였고, 올바른 식생활 실천태도 점수(10점 만점)는 참여 전 8.29점 → 참여 후 8.63점으로 0.34점 증가하였다.

(사업 만족도) 전반적인 사업만족도(100점 만점)에 92.45점으로 최근 7년 동안 매년 꾸준히 상승(’12년 90.95점→’18년 92.45점)하였다.


* ’12년 90.95점→’14년 91.17점→’16년 91.51점→’18년 92.45점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10점 만점기준), 대상자 선정과정 9.13점, 보충식품 공급 9.01점, 영양교육 9.30점, 전반적인 사업 질 9.28점, 사업 신뢰도 9.49점 등 사업 참여자로부터 높은 신뢰와 만족도를 얻고 있다.


한편, 영양플러스사업 대상을 과체중·비만인 영유아 및 임산부까지 확대하기 위해 과체중·비만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과정 3개를 올해 안으로 개발하고 2020년부터 시범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다문화 가정을 위해 우선 중국어 및 베트남어로 온라인 교육과정을 제공(자막 탑재 및 더빙)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권준욱 건강정책국장은 “영양위험요인이 있는 임신부 및 영유아의 건강을 위해 적극적으로 영양관리를 해주는 영양플러스 사업을 앞으로 더욱 효율화 및 고도화하고 대상자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조인성 원장은 “매년 영양플러스사업 현황 및 성과 분석을 통해 영양플러스사업이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영양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더욱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을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보건복지부 2019-05-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55 부동산 가격 조사·평가, 지금부터 달라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1 85
6754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규칙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6 115
6753 부동산 세제(종합부동산세 및 양도소득세)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26 25
6752 부동산 양도소득세 필요경비 범위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1 15
6751 부동산 전자계약, 8월 1일부터 전국 확대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6 40
6750 부동산 전자계약만 잘 이용해도 최대 650만원 절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4 47
6749 부동산 전자계약만 해도, 0.2% 대출금리 깍아준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126
6748 부동산 전자계약으로 “등기수수료 30% 줄여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8 89
6747 부동산 전자계약으로 주택 구입·전세자금 이자 할인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2 43
6746 부동산 정보 앱 소비자만족도, ‘앱 이용의 편리성’높고, ‘매물정보의 정확성’은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6 34
6745 부동산 투기 대응 등을 위한 토지거래허가제도 정비 및 거래가격 거짓신고 과태료 상향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0 22
6744 부동산·법인 등기사항증명서도 스마트폰에 담긴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15 20
6743 부동산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안, 22일 공포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2 21
6742 부동산교부세 복지비중 높이고 교부세 감액대상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2 83
6741 부동산대책 관련「지방세법 시행령」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66
Board Pagination Prev 1 ...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