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영양플러스사업으로 임신부·영유아 영양상태 개선됐다!
- 보건복지부·건강증진개발원, 2018년 영양플러스사업 추진성과 발표 -
- 빈혈률 50.1% → 26.0%, 성장부진 49.5% → 21.5%, 영양지식 7.87점 → 8.32점,
올바른 식생활 실천태도 8.29점 → 8.63점, 영양소적정섭취 0.73점 → 0.83점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은 영양위험요인(빈혈, 저체중, 성장부진, 영양섭취불량 등)을 가진 저소득층(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임산부 및 영유아를 대상으로 보충식품과 함께 영양교육 및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양플러스사업’(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관리사업)의 2018년도 성과를 발표했다.


* 2019년 기준 중위소득 80%이하 (4인 가구 기준, 3,691,000원)

2018년에는 전국 252개 보건소에서 총 8만 2045명에게 보충식품 및 영양교육․상담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대상자별로는 영아 3만 712명(37.4%), 유아 2만 4393명(29.7%), 임신부 8,169명(10.0%), 출산·수유부 1만 8771명(22.9%)이다.


2018년도 서비스를 제공받은 대상자에게 사전·사후 영양평가(신체계측, 빈혈검사, 영양섭취상태조사) 및 설문조사 시행하고, 지역보건의료시스템(PHIS)에 입력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본 사업성과를 측정하였다.


사업 참여 전후 대상자의 영양상태 개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빈혈, 성장부진, 식품 섭취상태, 영양지식 및 태도 변화, 사업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빈혈 및 성장부진) 빈혈은 사업 참여 전 50.1% → 참여 후 26.0%로 약 24.1%p 감소하였고, 저체중․저신장 등 성장부진은 참여 전 49.5% → 참여 후 21.5%로 약 28.0%p 감소하였다.


※ ’18년 빈혈검사 실시자는 2만 3876명으로 생후 6개월 미만 영아와 임신부는 제외

(식품섭취상태) 필수영양소의 권장량 대비 실제 섭취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영양소 적정섭취 정도(MAR*, 1점 만점)는 참여 전 0.73점 → 참여 후 0.83점으로 0.1점 상승하였다.


* MAR(Mean Adequacy Ratio) : 단백질,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 C섭취량을 권장섭취량(RI)과 비교한 총괄적인 평균 적정한 영양섭취 정도

(영양지식 및 태도변화) 영양지식(10점 만점)은 참여 전 7.87점 → 참여 후 8.32점으로 0.45점 상승하였고, 올바른 식생활 실천태도 점수(10점 만점)는 참여 전 8.29점 → 참여 후 8.63점으로 0.34점 증가하였다.

(사업 만족도) 전반적인 사업만족도(100점 만점)에 92.45점으로 최근 7년 동안 매년 꾸준히 상승(’12년 90.95점→’18년 92.45점)하였다.


* ’12년 90.95점→’14년 91.17점→’16년 91.51점→’18년 92.45점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10점 만점기준), 대상자 선정과정 9.13점, 보충식품 공급 9.01점, 영양교육 9.30점, 전반적인 사업 질 9.28점, 사업 신뢰도 9.49점 등 사업 참여자로부터 높은 신뢰와 만족도를 얻고 있다.


한편, 영양플러스사업 대상을 과체중·비만인 영유아 및 임산부까지 확대하기 위해 과체중·비만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과정 3개를 올해 안으로 개발하고 2020년부터 시범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다문화 가정을 위해 우선 중국어 및 베트남어로 온라인 교육과정을 제공(자막 탑재 및 더빙)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권준욱 건강정책국장은 “영양위험요인이 있는 임신부 및 영유아의 건강을 위해 적극적으로 영양관리를 해주는 영양플러스 사업을 앞으로 더욱 효율화 및 고도화하고 대상자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조인성 원장은 “매년 영양플러스사업 현황 및 성과 분석을 통해 영양플러스사업이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영양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더욱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을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보건복지부 2019-05-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83 민권익위, “법인의 지점이라도 독립적으로 운영된다면 별도 사업장으로 봐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02 10
7282 민방공 대피 훈련, 23일 14시 전국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1 48
7281 민방위 경보 발령체계 개선대책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4 16
7280 민방위 교육 온라인으로 전환, 상반기 민방위 훈련 취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2 22
7279 민방위 제도 사회변화 반영해 조직편성과 운영방식 바꾼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7 6
7278 민방위 집합교육 사이버교육으로 실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46
7277 민방위경보(사이렌‧방송)에 전광판도 활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5 61
7276 민방위훈련 전국 실시공습경보가 발령되면 지하대피소로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3 85
7275 민생경제 활성화를 위한 저소득층 230만 명 대상 소비쿠폰 지급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1 81
7274 민생경제 회복 위해 건강보험료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4
7273 민생불편 해소와 국민 건강 확보 위한 식약처 소관 법률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11
7272 민생안정을 위한 청소년 생활 지원금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2 20
7271 민원 취약계층 민원처리 받기 훨씬 용이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1
7270 민원24 11월 5일 종료, 정부24로 서비스 일원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2 10
7269 민원봉사실 방문객 편의를 위한 「국세청 공공 와이파이」 구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9 56
Board Pagination Prev 1 ...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