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초여름 더위에 식중독 사고 조심하세요!
-주간(5.26.~6.1.) 안전사고 주의보-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본격적인 여름 더위가 시작됨에 따라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년(‘09~’18)간 3,026건의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총 69,100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식중독 사고는 초여름(5~6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철(7~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 (4월) 255건, 5,892명 (5월) 294건, 7,554명 (6월) 319건, 8,936명 (7월) 293건, 4,940명 (8월) 358건, 12,208명 (9월) 317건, 10,816명
특히, 학교(401건, 28,042명), 학교 외 집단급식소(202건, 7,219명), 음식점(1,664건, 16,729명) 등에서 집중 발생하는 만큼, 많은 사람들이 함께 음식을 먹는 시설의 종사자는 개인위생과 음식물 관리에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여름(5~9월)에 많이 발생하는 식중독 원인은 병원성 대장균(18,719명, 91.7%)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살모넬라(7,504명, 81.5%), 캠필로박터 제주니(3,605명, 77.3%), 장염 비브리오균(1,426명, 88.1%), 바실러스 세레우스(864명, 76.2%)다. ※ 괄호: 환자 수, 연간 대비 여름(5~9월) 환자 비율

○ 병원성 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은 주로 균에 오염된 채소 섭취로 발생하며, 복통, 구토, 탈수 등을 일으키고 특히 유아에게 설사를 유발한다.
○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은 달걀이나 닭고기 등 가금류 섭취로 발생하며, 복통, 설사, 오한 등을 유발한다.
○ 장염 비브리오균은 연안 해수에서 증식하는 세균으로서, 어패류 등을 섭취하는 경우 균에 의해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복통, 설사, 발열 등을 유발한다.
○ 캠필로박터 제주니균으로 인한 식중독은 오염된 물이나 냉동된 육류제품, 특히 닭고기 등 가금류를 잘 익히지 않고 섭취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근육통, 두통, 발열 등을 유발한다.
○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으로 인한 식중독은 쌀밥 등의 전분성 식품 섭취로 발생할 수 있으며,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한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수칙을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 채소는 식초 또는 염소 소독액 등에 5분 이상 담가두었다가 깨끗한 물로 3회 이상 세척한 이후에 조리하여야 병원성 대장균을 예방할 수 있다.
○ 살모넬라균, 캠필로박터 제주니균을 예방하려면 육류는 충분히 익혀먹고 특히 달걀은 날로 먹지 않아야 한다.
○ 또한 여름철에는 해산물이 쉽게 부패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생선은 구입 즉시 소금기가 없는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어 랩으로 싼 뒤에 냉장·냉동보관 하여야 장염 비브리오균을 예방할 수 있다.
- 냉동시킨 어패류를 해동할 때는 냉장고로 옮겨 해동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빠른 해동이 필요한 경우 흐르는 물에 씻어 해동한다.
○ 조리된 음식은 장시간 실온에 방치하지 않고, 5℃ 이하에서 냉장보관 하는 것이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이 외에도 위생은 식중독 예방에 첫 걸음인 만큼 신경써야한다.
- 육류·가금류·해산물은 다른 식품과 분리하여 보관하며 익힌 음식과 익히지 않은 음식도 별도 용기에 담아 보관한다.
- 외출 했다 돌아오면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깨끗이 손을 씻어야 하며, 주방도구는 정기적으로 뜨거운 물과 세정제를 이용하여 소독한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기온이 높고 습한 여름에는 식중독균이 발생하기 쉬운 만큼 음식물을 항상 냉장·냉동 보관하고 청결과 위생에 더욱 신경을 써 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5-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33 난연성 표준 준수하지 않아 화상 위험있는 HulovoX 유아용 가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5.04
2732 불법 고리사채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업체 이용시 반드시 기억해야 할 10가지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3.07.18
2731 “해외여행 전에 꼭 확인해요, 국가별 여행경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18.08.27
2730 눈 덮인 등산로 산행 시 조난에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19.01.10
2729 나노필터 등 일반 부직포 마스크 제품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0.11.09
2728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마루코메 즉석 미소국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3.17
2727 종합마트 GJMAR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4.22
2726 발화 우려가 있는 칼텍 휴대용 살균탈취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5.24
2725 ㈜쁘띠엘린 베이비룸 표면 페인트 납 검출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10.27
2724 곰팡이 오염된 Exito skin cream 피부크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4.04
2723 삼킴 및 질식 우려 있는 Silicone Koala Rattle Collection 딸랑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4.29
2722 세인트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5.04
2721 라벨 미표기 성분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AIR VAL international 바디로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8.25
2720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화이트닝 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12.07
2719 ‘로타바이러스 백신’안전하게 접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18.01.19
2718 유해물질 함유되어 발암 위험 있는 Clear Essence 바디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0.04.13
2717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배달회'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1.11
2716 어린이 안전용기 사용하지 않은 Rocky Mountain Oils 에센셜오일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1.28
2715 절연장치가 미흡해 감전의 위험 있는 수족관 LED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2.08
2714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 있는 Venture 토끼사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5.13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