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내가 사는 아파트 피난시설, 꼭 확인하세요
- 행안부·국토부·소방청 공동주택 화재 원인조사 결과 10대 개선과제 발굴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공동주택*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사고가 반복됨에 따라 국토교통부, 소방청 등 관계 기관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재난원인조사반 23명을 구성하여 사고사례에 대한 원인조사('19.3.7.~5.21.)를 실시하였다.
* 공동주택 : 아파트, 연립주택(4층 이하, 660㎡ 초과), 다세대주택(4층 이하, 660㎡ 이하) 등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주택 세대 내 피난시설 정보 제공 확대’ 등 10건의 개선과제를 발굴하여 관계 기관에 이행을 권고하고 이행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기로 하였다.

최근 5년간('14년~'18년)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24,084건으로 부주의(61.8%, 853명 사상)로 인한 것이 가장 많았으며, 전기적 요인(20.3%, 423명 사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주의로 인한 화재 14,872건 중 56.2%는 담배꽁초와 음식물 조리 중 자리 비움이 주요 원인이었고, 전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화재 중 68%는 세대 내 정기점검 대상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85건의 사망 사고에 대해서는 피해자의 행동패턴을 상황에 따라 인지, 반응, 대피의 3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인지 단계’에서 피해자들은 화재 상황 인지가 지연되어 대피시간 확보가 어려웠으며, 수면이나 음주 등으로 무방비 상태인 경우가 43.1%로, 야간(23~07시)이 주간(11~19시) 보다 1.6배 많았다.
‘반응 단계’에서 피해자들은 피난시설에 대해 알지 못하고 무작정 문을 열어 연소가 확대되거나 밝은 곳을 향하는 반응을 보여 창문에서 추락사하는 경우(6건)가 발생하였다.
‘대피 단계’에서 피해자들은 출입구가 막힌 경우 다른 피난경로를 확보하지 못해 대피에 실패하거나, 친숙한 경로를 선택하려는 특성으로 승강기를 이용하여 대피를 시도한 사례가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관계 부처 합동으로 마련된 개선과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화재경보 음량 기준을 개선하여 수면 등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상태의 거주자도 침실에서 또렷하게 경보음을 들을 수 있도록 하였다.(소방청)

평소 피난시설에 대해 알고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 계약과 입주 시에 각각 공인중개사와 공동주택 관리자가 피난시설의 형태와 위치 등을 안내하도록 하였다.(국토부)

거주자들이 피난경로를 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대피공간의 설치 기준 또는 경량 칸막이의 피난 요건 등을 구체화하고, 대피요령 홍보를 강화하기로 하였다.(국토부, 소방청, 행안부)

화재 발생을 줄이기 위해 화재 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노후 공동주택의 전기설비에 대한 정기 안전점검을 신설하였다.(소방청, 행안부, 산업부)

행정안전부는 화재 시 피해자 행동패턴 조사를 확대하여 공동주택뿐만 아니라 다중이용시설 등의 장소별, 상황별, 피해자의 연령 및 성별 등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기로 하였다.
화재 시 대국민 행동요령을 마련하고 VR·AR에 기반한 체험형 교육훈련 콘텐츠를 개발하는 재난안전 R&D과제*를 추진하여 안전체험관 등을 통해 활용할 계획이다.
* 맞춤형 화재 상황분석 기술 및 대피기술 연구개발(행안부·소방청·국토부·산업부 등 협업 과제)

류희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번 공동주택 화재 원인조사는 실제 사례와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보다 실질적인 개선책을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국민들께서도 평소 피난시설의 위치와 용도를 꼭 알아두고 화재 발생에 유의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5-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320 식품첨가제(식용색소, 산화방지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씨리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9.27
1319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등 견과류, 참깨) 미표시한 스무디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7
1318 알레르기 유발물질(우유) 미표시한 초콜릿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7
1317 벤젠 검출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9.27
1316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1)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9.27
1315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2)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9.27
1314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3)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9.27
1313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4)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9.27
1312 피부 쥐젖(연성 섬유종), 함부로 제거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28
1311 화로용 ‘에탄올 연료’ 화재 위험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2.09.28
1310 산악사고, 산불 등 위험 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9.28
1309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커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9.28
1308 단추형 전지 삼킴 위험 있는 DIY 테라리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9.28
1307 벽면에서 떨어질 위험 있는 Dulton 벽시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9.28
1306 잠금핀 풀림으로 인한 부상 위험 있는 Little Tikes 유아용 보행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9.28
1305 단추형 전지 삼킴 우려 있는 Ynybusi 발사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2.09.28
1304 어린이보호포장 요건 준수하지 않은 The Real Milk Paint 페인트 희석제 판매차단 안내(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9.28
1303 어린이보호포장 요건 준수하지 않은 The Real Milk Paint 페인트 희석제 판매차단 안내(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2.09.28
1302 측면 충돌 시 보호가 미흡한 Urban Kanga 유아용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9.28
1301 사이드윙 보호 기능이 미흡한 Kinderkraft 유아용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9.28
Board Pagination Prev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