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봄철 독나물 식중독사고에 주의하세요!
-주간(5.19.~5.25.) 안전사고 주의보-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따뜻한 봄철을 맞아 산행 중에 야생 독초를 잘못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통계*에 따르면, 최근 10년간(‘09~’18)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 사고는 총 25건이었으며, 그로 인한 사상자는 251명이었다.
* 각 지방자치단체에 보고된 식중독 사고
특히 봄철에는 등산로 주변에 자생하는 야생 독초를 산나물로 잘못 알고 섭취하여 발생하는 자연독 중독사고 위험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 지난 10년간 봄철(3~5월)에 8건의 자연독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144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특히 독초를 가족이나 지인들이 나눠 먹음으로 인해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될 가능성이 크며, 지난 10년간의 식중독 사고 통계에서도 사고 1건당 10여 명의 피해자가 발생하여 주의가 필요하다.

비타민이 풍부한 산나물을 건강하게 즐기려면 안전수칙을 준수한다.

산나물을 채취할 때는 관련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식용나물과 독초는 육안으로 봐서는 구별하기 어려워 봄나물에 대한 충분한 지식 없이 야생식물을 함부로 채취하여 섭취하지 않는다.
특히, 자주 먹는 산나물인 원추리와 여로(독초), 곰취와 동의나물(독초), 산마늘과 은방울꽃(독초)·박새(독초), 도라지와 자리공(독초)을 오인하기 쉬우니 해당 나물을 채취할 때는 더욱 주의한다.
독성이 없는 나물도 길가 근처에서 생장하면 카드뮴, 납 등 중금속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되도록 채취하지 않는다.

산나물을 섭취할 때도 독성분을 충분히 제거하는 것이 좋다.
미량의 독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두릅, 고사리, 다래순, 원추리 등은 반드시 끓는 물에 데친 후 차가운 물에 2시간 이상 담근 후 조리하여 섭취한다.
달래, 돌나물, 참나물 등 생으로 먹을 수 있는 나물도 조리 전에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수돗물에 3회 이상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산나물을 먹은 후 구토, 두통, 복통 설사, 호흡곤란 등의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섭취를 중단하고, 내용물을 토해낸 뒤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이 때, 정확한 진단을 위해 먹던 산나물을 병원으로 가져가 확인 후 치료 받는 것이 좋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혁신과제의 일환인 국민 관심 안전정보 제공 확대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식중독 관련정보는 생활안전지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생활안전지도는 (www.safemap.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주변 위험요소를 지도에 표시하여 시각정보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모르는 산나물을 함부로 섭취하지도, 채취하지도 않는 것이 사고 예방의 첫걸음이다.”라며, “산을 찾는 국민들께서는 관련지식 없이 산나물을 채취하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9-05-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13 처방약 성분 함유하여 피부 자극 위험 있는 MAKARI 미백 크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0.11.23
2512 MRI 촬영시 금속재료가 없는 마스크 사용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0.12.09
2511 과기정통부, 연말연시 대비‘랜섬웨어 주의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0.12.23
2510 바닥매트, 자전거 등 비대면 수요증가 30개 제품 리콜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4.09
2509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Eat Real 과자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7.28
2508 민어 구매할 때 영상가이석태 등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9.01
2507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안내 관련 문자사기(스미싱)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9.06
2506 추운 겨울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11.15
2505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MDH 향신료 가공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12.01
2504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EleksMaker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2.02.09
2503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Zaini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2.04.01
2502 라벨 미표기 참깨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Eva Bold 프로틴 바(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2.12.15
2501 실제 체온보다 낮게 표시되는 Beurer 비접촉식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3.05.26
2500 Strictly Professional 손톱크림(Manicure mask), 피부 자극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18.06.21
2499 더 이상 혼자가 아닙니다. 당신 곁엔 139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18.12.26
2498 Next 후드 재킷, 장식으로 인한 부상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19.01.31
2497 유해성분이 함유된 Bio Claire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1.04.12
2496 글리포세이트 성분 함유된 Arche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1.09.13
2495 이물질 혼입 가능성으로 질식 위험이 있는 Kuhne 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2.11
2494 비스페놀 성분 함유된 노리개 젖꼭지형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3.08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