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국민체육진흥공단(이사장 조재기), 대한장애인체육회(회장 이명호)와 함께 7월부터 저소득층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2019년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시범사업 개요>

-(법적 근거)국민체육진흥법」 22111(저소득층의 체육활동 지원)

                         「장애인차별금지법」 25(체육활동의 차별금지)

-(사업 내용) 스포츠강좌 수강료 지원(8만 원 이내/6개월)

-(지원 대상) 저소득층* 1223세 등록 장애인 5,100

* 기초생활보장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층

-(선정 순위) (1순위) 기초생활수급가구(생계, 의료, 주거, 교육)

(2순위) 차상위계층(자활근로, 장애, 본인 부담 경감, 확인서 발급)

* 동일 순위 내에선 장애중증도 및 기존 강좌이용권 지원 수혜 여부 고려

-(재원 부담) 국민체육진흥기금과 지방자치단체가 7:3의 비율로 부담.

 

이번 사업은 지난해 8, 2018 평창 패럴림픽의 감동을 장애인 체육의 발전으로 이어가기 위해 발표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의 핵심 사업 중 하나이다. 정부 혁신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저소득층 장애인들이 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데 드는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생활체육을 활성화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를 확대하고, 포용적 행정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2~23세 저소득 등록장애인 5,100명 대상을 대상으로 6개월간 수강료 지원

 

  올해 시범사업에서는 만 12~23* 저소득층 장애인 5,100명을 대상으로 1인당 매월 8만 원 범위 내에서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 스포츠강좌 수강료를 지원한다.

* 2019년 기준, 출생일이 1996. 1. 1.2007. 12. 31. 이내

 

  스포츠강좌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는 종목은 농구, 수영, 웨이트트레이닝 등 대한장애인체육회 가맹 종목과 장애인 생활체육 종목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현재 대한장애인체육회와 지역장애인체육회가 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을 전국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조사가 완료되면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6월 중에 가맹 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가맹시설 목록은 스포츠강좌이용권 누리집(svoucher.kspo.or.kr)에 게재할 예정이다.

 

  63()부터 14()까지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시··구청과 주민센터*에서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 신청 접수를 받는다.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용 관련 문의는 국민체육진흥공단(02-410-1298~9)으로, 시설 가맹 관련 문의는 대한장애인체육회(02-3434-4579)로 연락하면 상세한 답변을 안내받을 수 있다.

* 신청 가능 지역은 스포츠강좌이용권 누리집(svoucher.kspo.or.kr)에서 안내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문체부는 더욱 많은 저소득층 장애인들이 비용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수혜 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장애인 생활체육이 더욱 활성화되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장애인들이 생활체육에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 지도자 배치 확대, 용품과 차량 지원 등 종합적인 지원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 문화체육관광부 2019-05-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83 밀키트 구매 및 섭취 가이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4 9
7282 밀키트 비교정보 생산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7 53
7281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전화 한 통화로 오케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3 43
7280 바닥충격음 측정방법을 ‘뱅머신’ 방식으로 일원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76
7279 바닷가 주변 횟집 비브리오 사전예방 특별관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6 60
7278 바닷가 주변 횟집 비브리오균 특별검사 강화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21
7277 바닷가 주변 횟집 비브리오균 특별검사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0 103
7276 바닷물고기 섭취시 고래회충 예방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118
7275 바디로션, 핵심 성능인 보습력은 제품별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20 9
7274 바라밀 씨앗 함유 수입 절임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8
7273 바빠진 하늘…2016년 항공교통량 73만 넘어 역대 최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31 70
7272 바실러스 세레우스 기준 초과 '천연향신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44
7271 바우처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신고포상금 상한 폐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0 9
7270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본격화, 6월 30일부터 데이터 수집 대상 환자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55
7269 바이크 쇼츠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6 25
Board Pagination Prev 1 ...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