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최기주)는 누구나 쉽게, 전국 어디서나, 교통비 절감은 더 많이* 누릴 수 있는 광역알뜰교통카드의 전국 확대 시범사업을 6월부터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 민간 카드사 협업으로 10% 교통비 할인, 여기에 보행·자전거 마일리지 적립하여 20% 더 할인, 민간 기업·보험사 등의 추가 혜택을 더하면 최대 30%+α의 교통비 절감이 가능

광역알뜰교통카드는 국민 생활비 절감을 위한 문재인 정부의 약속(공약)으로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추진 중이며,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은 덜어드리고, 보행, 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과 대중교통의 이용을 장려하기 위한 제도이다.

올해 공개된 광역알뜰교통카드는 다음과 같이 한층 편리해지고, 혜택도 더 많아졌다.

① 마일리지 적립은 더 간편해 집니다.

마일리지 적립을 위한 앱 작동절차를 4∼10회에서 2회로 대폭 간소화*하고, 출발지·도착지를 앱에 등록해 놓은 경우 대중교통 이용 실적을 토대로 자동으로 마일리지를 산정해 이용자들의 번거로움이 개선된다.
* 세종(10회), 울산·전주(4회) 시범사업의 불편사항을 개선하여 2회 이하로 간소화

아울러, 지역별, 그룹별 등으로 본인의 마일리지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순위측정(랭킹) 방식을 새롭게 도입하고, 일정 기간 동안 높은 순위를 유지하는 ‘알뜰 왕’에게는 특별한 혜택*도 부여한다.
* 마일리지 추가 적립, 지역별 공공자전거 무료이용권, ‘알뜰 왕’ 인증서 수여 등

광역알뜰교통카드의 보행·자전거 마일리지는 위성항법장치(GPS) 및 스마트폰의 가속도/자이로 기능을 기반으로 이동거리를 산정하는 만큼 ‘광역알뜰교통카드 앱’을 설치해야 적립·활용이 가능하다.

② 후불 교통카드, 모바일 교통카드 도입으로 더 편리해 집니다.

지난 해 시범사업에서는 선불카드만 이용이 가능했으나, 올해에는 높은 보급률과 편의성을 가진 ‘후불 알뜰카드(신용카드)’를 출시*하여 충전 부담이 없어진다.

‘후불 알뜰카드’는 월 36회 이상 교통카드 이용횟수가 있는 경우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다. 단, 도시철도가 없어 연계 환승이 불리한 지역은 횟수 기준을 10% 완화한 32회 기준이 적용된다.
* (36회 지역) 부산, 인천, 대전, 세종, 수원, 양산 / (32회 지역) 울산, 청주, 전주, 포항, 영주

시범사업 협업사로는 신한카드, 우리카드(BC)가 선정되었으며, 카드사별로 10% 대중교통 할인 혜택을 비롯하여 다양한 부가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카드사에서 자발적으로 혜택을 제공하는 만큼, 카드사별로 제시하는 전월 사용실적 기준이 충족*되어야 한다.
* 마일리지의 경우 전월 사용실적과 무관하게 이용횟수 기준만 충족되면 적립

아울러, ‘모바일 전용 선불카드’도 출시하여 별도로 카드를 소지할 필요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이용 및 결제가 가능하다.

‘모바일 전용 선불카드’는 5만원권, 7만원권 2가지가 우선 출시되며, 각각 10% 추가 충전 혜택으로 5만 5천원, 7만 7천원까지 이용이 가능하다. 시범사업 기간 중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요금제의 특성에 맞춰 ‘지역 맞춤형 상품’도 개발할 계획이다.

‘모바일 전용 선불카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만 사용이 가능*하다.(2019. 5. 9. 기준)
*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 활성화 필요, 애플은 운영정책 상 우리나라에서 NFC 기능 사용을 제한 중(미국, 유럽, 일본 등은 아이폰의 NFC 활성화 가능)

③ 전국 어디서나 이용이 가능합니다.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전국 어디서나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고, 마을버스, 광역버스, 지하철 등 요금이 다양한 교통수단의 이용 뿐만 아니라 환승(수도권의 경우 5회까지 가능, 지역별 상이)도 가능하다.

다만, 향후 광역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는 지자체에서 적립을 일부 지원함에 따라 광역알뜰교통카드가 도입된 지역에 거주(주민등록지 기준)해야 적립 및 활용이 가능하다.

④ 새로운 제도 도입으로 교통비 추가 할인이 가능합니다.

기존 할인에 더하여 친환경 정책 연계 및 지자체, 카드사, 금융업계 협업을 통해 30%+α의 추가 혜택이 가능해 진다.

(미세먼지 대책) 비상저감조치 발령에도 불구하고 다른 교통수단의 대안이 없어 보행·자전거 및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는 국민 불편을 덜어드리기 위해 해당 일의 마일리지를 2배로 적립한다.

(지자체 인센티브) 공공자전거 이용, 차량 2부제 참여 등 환경친화적 교통정책과 연계한 추가 인센티브(마일리지 등)를 제공한다.

(보험상품 개발) 생명·자동차 보험사 등과 협업하여 알뜰카드의 보행·자전거 마일리지와 연계하여 보험료를 할인*하는 상품 개발도 준비 중이다.
* 자동차 이용 감소로 인한 사고율 감소, 보행·자전거 이용에 따른 건강 증진 등

(교통유발부담금 공제) 부담금이 부과되는 기업(11개 지자체 약 4만여社 참여)을 대상으로 공제 제도*를 마련하며, 추가 20% 교통비 절감도 가능하다.
* 유발부담금에서 기업 종사자의 연간 보행·자전거 마일리지를 연말에 공제

올해 시범사업은 참여를 신청하여 선정된 11개 지역에서 각 지역별 2천명, 전국적으로 2만명의 체험단을 홈페이지를 통해 모집하여 시행한다. (http://alcard.kr)
* 5개 광역(부산, 인천, 대전, 울산, 세종) 및 6개 기초(수원, 청주, 전주, 포항, 영주, 양산)

시범사업에 앞서 5월 10일에는 광화문 일대/서울역에서 지자체, 민간협업사, 시민단체 등이 함께하는 시연행사 및 체험단 발대식을 개최하며, 이 자리에서 한층 진화한 광역알뜰교통카드를 처음으로 공개하고, 시연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장구중 광역교통요금과장은 “올해는 한정된 여건으로 더 많은 분들에게 혜택을 드리지 못하는 점이 아쉽다. 내년부터 전국의 대부분 도시에서 알뜰카드를 경험해 보실 수 있도록 꼼꼼히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국토교통부 2019-05-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71 60세 이상 연령층 4차접종, 80세 이상 적극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1 57
9070 마트.편의점 등 배송기사도 다치면 산재보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8 57
9069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일부개정안 입법예고(3.2~4.1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2 57
9068 코로나19 장애인 돌봄 강화를 위한 활동 지원서비스 특별지원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8 57
9067 먹는 당뇨약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8 57
9066 ‘실시간상거래 방송’, 식품 등 부당광고 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57
9065 2021년 3월, 전월 대비 ‘신발·운동화’ 소비자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1 57
9064 고액자산가 제외 기준 등 긴급재난지원금 세부기준 발표(관계 부처합동)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16 57
9063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직장 신경내분비종양을 암으로 인정하여 보험금 지급’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7 57
9062 실내수영장 수질 관리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2 57
9061 취미용 드론, 정지비행 성능, 최대 비행시간 등 품질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9 57
9060 함께 하면 범죄자, 신고하면 공익 지킴이 - 보험사기, 알아야 막을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1 57
9059 2019년 4월 강원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7 57
» 30%+α 할인되는 광역알뜰교통카드, 5.10일 공개 시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0 57
9057 '19년 4월 이후 갱신되는 新실손의료보험에 대해 보험료 할인제도가 적용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30 57
Board Pagination Prev 1 ...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