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부처님 오신날 사찰 화재사고 조심하세요!
-주간(5.12.~5.18.) 안전사고 주의보-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부처님 오신날(5.12.)을 맞아 연등과 같은 화기를 이용한 행사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였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5년간(‘14~’18) 사찰에서 발생한 화재는 251건이었으며, 10명의 인명피해(사망 1, 부상 9)를 냈다.

원인별로 살펴보면 불씨?불꽃 방치, 가연물 근접방치 등 부주의가 90건(35.9%)으로 가장 많았고 절연?열화, 접촉 불량에 의한 단락 등으로 인한 전기적 요인이 70건(27.9%),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60건(23.9%)이었다.

연등행사 등이 이루어지는 사찰 대부분은 목조로 이루어져있는 만큼 작은 불씨도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어 행사 참여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전국의 2만7천여 사찰* 중 968개소가 민족문화 유산으로 보존 가치가 있는 전통사찰**로 지정되어 있어 각별한 보호가 요구된다.
* ‘19.1. 기준(출처: 문화체육관광부)
** ‘19.1.1. 기준(출처: www. index.go.kr 전통사찰지정 등록현황, 문화체육관광부)

또한, 국가지정문화재 현황을 살펴보면 기타를 제외하고는 불교가 보유한 문화재가 가장 많아(1,515개, 32.6%) 사찰화재가 자칫 문화재 소실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더욱 조심해야 한다.

사찰 화재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촛불 연등 대신 가급적 전구 연등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며 특히,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절대 촛불 연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전구 연등을 사용할 때는 전선이 꼬이거나 눌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콘센트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되어 위험하니 단독 콘센트를 사용한다.

아울러, 사찰은 산중에 위치하여 소방차의 접근이 어렵고 산불로 확대되기 쉬운 만큼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소방기구를 설치하고 꼼꼼히 점검한다.

한편, 부처님 오신날을 맞아 일선 소방서에서는 화재예방교육, 소화전 확인 및 소방시설 점검, 화재위험요소 제거, 소방차량 진입로 확보 등 화재예방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준비하고 있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사찰 관계자, 일선 소방관들의 노력으로 부처님 오신날 화재사고가 상당부분 예방되고 있지만,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라며, “경건하고 뜻깊은 부처님 오신날에 불미스러운 화재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행사진행자들은 꼼꼼히 점검해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9-05-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71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우려 있는 Wild Republic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8.18
2070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Revellino 장난감 자동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3.04.07
2069 소형 부품 탈락해 질식 위험 있는 Magic Water 유아용 드로잉 매트 판매중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2.05.04
2068 소형 부품과 고강력 자석으로 인해 질식 및 부상 위험 있는 아이스 하키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2.12.15
2067 소형 부품이 쉽게 분리돼 질식 위험있는 딸랑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21.02.08
2066 소형 자석 삼킴 가능성 있는 STAX 자석블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2.19
2065 소형 자석으로 인한 질식 및 부상 위험 있는 Sucetoy 자석 체스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4.15
2064 소형부품 탈락하여 질식 가능성 있는 MBAT 악기 장난감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12.15
2063 소형부품이 쉽게 분리되어 질식 위험있는 MBAT 장난감 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3.01.16
2062 손가락 끼임 우려 있는 IRIS OHYAMA 써큘레이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9.07
2061 손가락 끼임 위험 있는 People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15
2060 손가락 끼임사고 위험 있는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2.06
2059 손가락 상해 유발할 수 있는 Zack 수건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16
2058 손가락 상해를 유발할 수 있는 Generac 이동식 발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1.10.28
2057 손상발생 해마다 증가, 손상예방이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9.12.18
2056 손소독제 사용 중 눈에 튀는 사고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3.30
2055 손이 끼일 수 있는 GB社 유모차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249 2017.02.08
2054 손잡이 분리돼 화상 위험이 있는 KitchenAid 전기포트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05.17
2053 손잡이 파손 위험으로 리콜된 Mytrex Rebive 전기마사지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3.04.07
2052 손잡이가 분리되어 화상을 유발할 수 있는 Lacor 주전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1.10.28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