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018년 12월 기준 전국 도로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국 도로의 연장은 110,714km로 2008년 104,236km에 비해 6,478km(약 5.8%)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국민 1명 기준의 도로연장을 계산해보면, 약 2.14m 수준이다.

도로등급별 도로연장은 고속국도 4,767km, 일반국도 13,983km, 특별·광역시도 4,905km, 지방도 18,075km, 시도 30,028km, 군도 22,786km, 구도 16,170km로 파악되었다.

1.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도로를 포함하는 지역은?

우리나라 지역별 도로연장을 살펴보면, 경기도(14,013km)가 가장 길고, 세종시(402km)가 가장 짧은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도로연장 상위순위는 1위 경기도(14,013km), 2위 경상북도(13,324km), 3위 경상남도(12,650km)로 나타났으며, 하위 3개 시·도는 세종시(402km), 광주시(1,859km), 대전시(2,140km)으로 파악되었습니다.

10년 전 대비 연장 증가율이 높은 시·도는 인천시(35.78%), 울산시(27.27%), 광주시(24.35%) 순으로 나타났으며, 충청남도와 경상남도는 오히려 10년 전에 비해 도로연장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충청남도의 경우, 2012년에 출범된 세종시로 도로가 편입됨에 따라, 경상남도의 경우는 사천시, 밀양시 등에 도로 확장으로 선형이 개량됨에 따라 도로연장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2.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도로는?

도로등급별로 가장 긴 도로를 파악한 결과, 고속국도는 경부선(1호선, 415.3km), 일반국도는 부산~파주선(77호선, 695.3km), 지방도는 해남~원주선(49호선, 383.9km)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속국도의 경우, 경부선(1호선) 415.3km, 중앙선(55호선) 370.8km, 서해안선(15호선) 336.7km 순서로 도로연장이 길고, 일반국도는 부산~파주선(77호선) 695.3km, 부산~신고산선(31호선) 624.8km, 거제~중강진선(5호선) 588.1km 순서로 도로연장이 길며, 지방도는 해남~원주선(49호선) 383.9km, 서천~경주선(68호선) 293.9km, 부산~울진(69호선) 256km 순서로 도로연장이 긴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3.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에 위치한 도로는?

가장 높은 도로는 지방도 414호선의 함백산 ’만항재‘ 구간으로 해발 1,330m이며, 가장 낮은 도로는 바다 아래 59m에 설치된 도로인 고속국도 440호(인천~김포간)의 ’인천북항터널‘입니다.

가장 높은 도로인 지방도 414호선 함백산의 ‘만항재’는 해발 1,330m에 위치하며, 정선, 태백, 영월 3개 군이 만나는 경계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두 번째 높은 도로인 지방도 1139호선의 ’1100고지‘(해발 1,100m)는 한라산 중턱에 자리 잡아 한라산의 남쪽과 북쪽을 가르는 경계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겨울철 설경이 유명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 번째 높은 도로인 일반국도 44호선의 ’한계령‘은 해발 1,004m에 위치하여 영서지방과 영동지방을 연결하며, 전형적인 계곡산악형 드라이브 코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도로는, 바다 아래 59m에 위치한 해저터널로 2017년 개통한 고속국도 440호(인천~김포간) ’인천북항터널‘입니다.

두 번째는 바다 아래 48m에 위치한 해저터널로 2010년 개통한 지방도 58호 ’가덕해저터널‘이며, 침매 터널로는 세계에서 낮은 심도에 건설된 터널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도로종류는?

우리나라 도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건수를 도로연장 1km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1km 당 평균 1.95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로등급별로 살펴보면, 군도에서 0.37건으로 가장 적게 발생했고, 특별광역시·도에서 4.19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5. 우리나라에서 차로수가 가장 많은 도로는?

도로등급별 차로수가 가장 많은 도로를 살펴보면, 고속국도에서 최대 차로수인 왕복 12차로(차폭 약 42m)인 구간은 경부선 중 성남시 판교 백현, 궁내 구간 등이 있으며, 일반국도에서 최대 차로수인 왕복 10차로(차폭 약32m)인 구간은 4호선(군산~경주선) 중 대전시 정림, 77호선(부산~파준선)중 경기도 고양 일산 장항 구간 등이 있으며, 지방도에서 최대 차로수인 왕복 12차로(차폭 약 33.6m)인 구간은 수도권 순환선(98호선)과 강화~원주선(84호선) 중 인천시 고잔, 동춘 구간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도로현황의 통계 자료」는 국민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tat.molit.go.kr)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현황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도로현황 정보시스템(http://www.rsis.kr)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 국토교통부 2019-05-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60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2.2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18
8359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2.24)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11
8358 노인장기요양시설에 선임 요양보호사 배치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34
8357 노인학대 관련 범죄자 취업 실태 등 공개, 노인학대 대응체계 실효성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8 8
8356 노인학대 신고, 참견이 아니라 도움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4 33
8355 노인학대 현장조사 거부 또는 업무 방해자 1천만 원 이하 과태료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6 14
8354 노화 관련 질환,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더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3 12
8353 노후 경유차 환경개선부담금 징수제도 보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19
8352 노후 기계식주차장 특별안전점검에 나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12 12
8351 노후 김치냉장고 화재 체크 - (주)위니아딤채 노후 김치냉장고 자발적 리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2 75
8350 노후 단독주택, 전기안전에 취약해 화재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05 77
8349 노후 소화기 폐기방법 소화기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4 67
8348 노후 아파트 세대 내 소방시설 관리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6 166
8347 노후 아파트 세대 내 소방시설 관리 필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6 129
8346 노후간판 교체사업 눈먼 보조금, 관리실태 심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92
Board Pagination Prev 1 ...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