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침대, 주식·투자자문, 인터넷·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
고령소비자 상담 증가율 높아

- 2018년 고령소비자 상담 전년 대비 15.2% 증가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가정의 달을 맞아 2018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60세 이상 고령소비자 상담 77,588건을 분석한 결과, 2017년 대비 전체 소비자상담이 감소했음에도 고령소비자 상담은 1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국민의 60세 이상 고령자 증가율을 상회한 것이다.


* 고령소비자 상담 건수(증감률) : (‘17년) 67,330건 → (’18년) 77,588건(15.2%)
전체 소비자상담 건수(증감률) : (‘17년) 795,882건 → (’18년) 792,439건(△0.4%)

◎ 고령소비자 상담 다발 품목은 침대, 이동전화서비스, 상조서비스 순으로 많고,
     상담 증가율은 침대, 주식·투자자문, 인터넷·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 순으로 높아

고령소비자 상담 다발 품목은 침대(5,780건), 이동전화서비스(2,919건), 상조서비스(2,380건), 주식·투자자문(1,970건), 스마트폰·휴대폰(1,947건) 순으로 나타났으며, 5개 품목의 상담 건수가 14,996건으로 전체 고령소비자 상담의 19.3%를 차지했다.


                             [ 고령소비자 상담 다발 품목 ]

                                                                                               (단위 : 건)

순위

2017

2018

1

이동전화서비스(2,641)

침대(5,780)

2

상조서비스(2,472)

이동전화서비스(2,919)

3

스마트폰·휴대폰(2,019)

상조서비스(2,380)

4

의류·섬유(1,525)

주식·투자자문(1,970)

5

치과(1,495)

스마트폰·휴대폰(1,947)

합계

10,152

14,996


연간 100건 이상 접수된 고령소비자 상담 품목 중 증가율이 높은 품목은 침대(2072.9%), 주식·투자자문(378.2%), 인터넷·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91.4%) 등이었다.특히 침대의 경우 라돈이 검출된 침대의 수거 및 교환 지연 등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 고령소비자 상담 증가율 상위 품목 ]

                                                                                                                               (단위 : 건)

품목명

2017

2018

증가건수

증가율

침대

266

5,780

5,514

2072.9%

주식·투자자문

412

1,970

1,558

378.2%

인터넷·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

198

379

181

91.4%



◎ 경기도·서울·부산 지역 상담 많고, 여성보다 남성의 상담 비중 높아

지역별 고령소비자 상담은 경기도가 18,915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17,905건), 부산(6,990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고령자 천 명 당 상담 건수는 서울(8.6건), 경기도(8.1건), 부산(8.0건) 순이었다.

성별 비중을 살펴보면 다른 연령대의 상담은 여성의 비중이 남성보다 높은 반면, 고령소비자 상담은 남성이 57.8%(44,811건)로 여성 42.2%(32,777건)보다 높았다.

◎ 전자상거래 관련 상담 비중은 증가, 방문판매는 감소

전자상거래, 방문판매, 전화권유판매와 같은 특수판매와 관련해 접수된 19,310건 중에서 전자상거래 관련 상담이 5,270건으로 가장 많았고, 특수판매에서의 비중은 27.3%로 2017년 대비 4.0%p 증가했다. 반면, 방문판매의 특수판매에서의 비중은 18.2%(3,516건)로 3.6%p 감소했다.

한편, 전자상거래 관련 고령소비자 상담 다발 품목은 주식·투자자문(300건), 국외여행(292건), 의류·섬유(247건), 항공여객운송서비스(173건), 건강식품(149건) 순이었다.

◎ 고령소비자 상담 인포맵 및 맞춤형 정보 제공

한국소비자원은 고령소비자 상담 분석 결과 및 데이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광역시·도별 인포맵(http://data.kca.go.kr)을 제작했으며, 전체 소비자 및 연령대별 소비자상담 인포맵과 함께 공개하고 있다.

앞으로도 분석 결과를 지자체 등과 공유하고, 고령소비자 및 사회적 배려 계층 관련 소비자정책 개발 및 소비자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5-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83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분류 완료…2~4등급 84% 차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2
7282 생활안전지도를 개선할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7281 더욱 새로워진‘정부24’, 더 쉽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3
7280 스리랑카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3
7279 이란 페르시아만 연안 3개 주 여행경보 단계 경보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1
7278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일부개정고시(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31
7277 니켈 기준 초과 검출 식품용 기구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7
7276 여름철 고온 다습한 날씨에 곰팡이독소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6
7275 위생물수건 등 위생용품 첫 합동단속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8
7274 식약처, '탈모' 효능 표방 제품 광고 점검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7
7273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6.26~7.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7272 7월 1일부터 동네병원 2·3인실, 응급실·중환자실 분야, 난임치료시술 등 건강보험 적용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7271 해외여행 전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꼭 확인하세요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8
7270 주요 10개 게임서비스사업자들의 이용약관상 불공정약관조항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6 13
7269 ’19년 2차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7월 11일부터 청약 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6 10
Board Pagination Prev 1 ...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