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소아‧청소년(19세 이하)이 자전거 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비율이 성인보다 약 3배 높음
-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5-6월에 가장 많고, 주말 및 오후 시간대에 많이 발생함
- 절반이 외상성 머리손상으로, 대부분 헬멧을 착용하지 않고(70% 이상) 있음
- 주로 일반도로에서 발생(약 45%)하고, 특히 골목길에서 높은 비중(약 30%)을 차지함
◇ 질병관리본부, 자전거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안내
- 자전거 헬멧 착용, 교차로나 골목길에서 손신호 사용, 야간주행 시 안전 수칙 준수 등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야외 활동이 증가하는 계절을 맞아 2012-2017년 동안 자전거 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현황 및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2012-2017) :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 관련 심층자료를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자전거 사고로 인한 손상 환자 수는 4만 6635명으로 이는 전체 교통사고 환자(27만 828명) 중 17.2%에 해당되며, 남자(3만 6854명)가 여자(9,781명)보다 4배 가량 더 많았다.

- 특히 19세 이하 소아‧청소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중 자전거 사고율(36.2%)은 성인(12.3%)보다 3배 높았으며, 이는 전체 자전거 사고율(17.2%)과 비교해서도 2배 높았다.

* 19세 이하 소아‧청소년 교통사고 : 5만 5551명, 자전거 사고 : 2만 117명

* 성인 교통사고 : 21만 5277명, 자전거 사고 : 2만 6518명

○ 자전거로 인해 손상이 많이 발생하는 소아‧청소년의 손상 발생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시기별) 자전거 사고는 주로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2-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봄철인 5-6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주중보다는 주말, 오전보다는 오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 (손상 부위별) 자전거 사고로 인한 손상 부위는 외상성 머리손상(46.6%)이 주로 차지하며, 다음으로 상지(21.9%), 하지(15.7%)순으로 나타났으며, 사고 발생 시 헬멧 착용은 4.6%에 그쳐 대부분 미착용(70.3%)으로 나타났다.

- (활동별‧장소별) 손상 발생 시 활동 현황을 보면 여가활동(53.1%)과 일상생활(38.2%)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며, 발생장소로는 주로 일반도로(44.5%)가 많았으며 골목길도 높은 비중(28.7%)을 차지하였다.

□ 자전거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자전거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자전거 이용자라면 누구나 쉽게 지킬 수 있는 안전수칙은 다음과 같다.

<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 일반 안내수칙>

‣ 자전거 헬멧을 착용합니다.
‣ 음주 후에는 자전거를 절대 타지 않습니다.
‣ 도로상에는 우측통행을 지키고 차량과 같은 방향으로 직선 주행합니다.
‣ 이어폰과 핸드폰은 자전거 운행 시 사용하지 않습니다.
‣ 가방과 짐은 짐칸에 고정하여 이동하도록 합니다.
‣ 어두워지면 전조등과 반사등을 반드시 사용합니다.
‣ 교차로나 골목길에서 방향을 변경하거나 정지 시 손신호를 사용합니다.
‣ 주변에 보행자가 있을 시 경보벨을 울리거나 말을 하여 보행자의 주의를 유도합니다.
‣ 내리막에서는 무리하게 속력을 내지 않으며 뒷바퀴에 먼저 제동을 가한 뒤 앞바퀴에 제동을 가합니다.
‣ 상시적으로 브레이크 점검을 비롯한 자전거 정비를 시행합니다.

*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 질병관리본부가 대한응급의학회와 공동으로 ‘08년에 제정하여 보급하였고, 자전거 이용과 목적에 따라 일반안내수칙과 특별안내수칙으로 나누어 안내함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안전한 자전거 타기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안전 교육과 캠페인을 통해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특히 어릴 때부터 안전한 자전거 운행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평소 학교와 가정에서 꾸준히 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지도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19-05-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53 미흡한 접지연결로 감전 위험 있는 Vevor 드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06.07
2752 민어 구매할 때 영상가이석태 등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9.01
2751 민원24 민원안내 도용 스팸문자(스미싱)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8.07.23
2750 밀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주의사항 표시 미흡한 MY.San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25
2749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긴팔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5.03
2748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긴팔 스포츠웨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1.05.03
2747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바지(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1.05.03
274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바지(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21.05.03
2745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바지(4)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5.03
2744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반바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1.05.03
2743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 (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1.04.28
2742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 (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4.28
2741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04.28
2740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04.28
2739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5.03
2738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1.05.03
2737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05.03
273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1.05.03
2735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1.05.03
2734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5.03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