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전신문고, 생활안전 위협요인을 신고해 주세요!
- 행안부, ‘19년도 1분기 안전신고 우수 사례 32건 선정 -

사례 ① 경남 양산시에 거주하는 이○○ 씨는 물금역 구름다리에서 황산 육교를 바라보는데 와이어 한 곳이 위험해 보여 안전신문고에 신고했다.
⇒ 안전신고를 받은 양산시청은 현장 확인 결과 황산 육교 주탑에 결속된 케이블 보호관 일부가 탈락된 것을 확인하고, KTX 철로 주변이라 한국철도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보수공사를 진행했다.

서해대교 케이블 화재사고*와 같은 대형 사고를 예방한 것으로 파급 효과가 크다고 판단
* ‘15.12.3., 낙뢰(추정)로 화재 발생, 소방관 1명 순직 및 부상 2명(*소방청 자료 제공)

사례 ② 경남 김해시에 거주하는 양○○ 씨는 해반천 산책로에서 자전거를 타고 가던 중 다리 난간이 없어 추락 위험이 있다고 안전신문고에 신고했다.
⇒ 안전신고를 받은 김해시청은 500만원을 긴급 투입하여 추락 방지를 위한 난간을 설치했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진 것을 높게 평가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올해 3월까지 안전신문고에 접수된 안전신고 7만여 건 중 우수 신고 32건을 선정했다. ※ 붙임 1 참고

올해 처음으로 실시한 안전신고 우수사례 심사는 안전신문고 개통(2014.9.30.) 이후 신고 건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으나, 내용**면에서는 생활 불편이나 단순한 민원이 많아 안전신고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도입하였다.
* ‘14년 0.1만 건 → `15년 7만 건 → `16년 15만 건 → `17년 22만 건 →`18년 23만 건
** 쓰레기 처리, 현수막 철거 등 생활 불편 신고, 경미한 단순 신고, 개인 민원 등

우수 안전신고는 먼저, 행안부 안전신고관리단과 지자체의 추천을 통해 예방?파급 효과가 큰 안전신고를 선정하고 매월 자체 심의와 분기별 외부 전문가 등의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하게 된다.
※ 심사기준 : 예방 효과성, 파급 효과성, 수용 가능성, 처리기관의 노력도(가점)

이번에 선정된 우수 신고 32건(3월까지 총 72,278건* 신고)은 다음과 같다.

육교 와이어 이상, 다리 난간 미설치, 무단 횡단 방지 펜스 소실, 낙석 위험, 통신전주 이상, 맨홀 파손, 담장 축대 붕괴, 비상구 물건 적치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육교 와이어 이상 신고(사례 ①)는 전문가(한국철도공사 관계자)가안전에 위험이 있다고 스스로 판단하여 집접 신고함으로써 대형 사고를 예방한 우수 사례로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를 받았다.
* 유형별: 교통안전 51,121건(70.7%), 사회안전 6,471건(8.9%), 시설안전 6,226건(8.6%), 생활안전 4,008건(5.6%), 산업안전 2,265건(3.1%), 학교안전 2,157건(3.0%) 순

행안부는 전문가?단체*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신고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 (사)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한국시설물안전진단협회, 대한산업안전협회, 한국방재협회, 소방안전원, 도로교통공단, 전기?가스?통신 공사, 안전모니터봉사단, 안전보안관 등

우수 신고자에게는 신고 마일리지 확대(1점→ 10점) 및 정부 표창 등 인센티브도 제공할 계획이다.

조상명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정책관은 “보다 많은 국민들이 안전신문고를 통해 생활 안전을 위협하는 의미 있고 중요한 내용들을 신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5-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64 국립공원 일부 탐방로, 산불예방 위해 2월 15일부터 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3 32
7163 수신료 체납 가산금 5%에서 3%로 낮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3 53
7162 식약처, 수경재배 채소류 중금속 안전수준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4 45
7161 6년만에 시외버스 운임 상한 인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5 44
7160 국립재활원, 재활환자에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8 78
7159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1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8 40
7158 올해부터 22년까지 매년 사회주택 2,000호 이상 공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9 18
7157 내 카드 한눈에(신용카드 통합 조회) 모바일 서비스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9 35
7156 성인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3월부터 순차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9 40
7155 대다수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설치기준에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9 42
7154 버려진 공간, 주민이 원하는 공간으로 직접 바꾼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9 16
7153 행정절차 과정부터 국민 참여 확대해 권익보호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9 12
7152 사회복무요원이 공무 중 경미한 실수로 입힌 손해는 지자체 등 소속 행정기관이 배상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0 35
7151 노인장기요양 재가 어르신, 택시로 이동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0 13
7150 금연! 다양한 국가금연지원서비스로 도와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0 27
Board Pagination Prev 1 ...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