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년성 백내장」,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많아

노년성 백내장(H25) 진료인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많아

노년성 백내장(H25) 10만명당 진료인원은 60대~70대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나지만, 80대 이후부터는 남성이 높게 나타나(2014년 기준)

60대 이후부터 정기적 검진이 필요하고, 자외선 차단 등을 통해 백내장 예방해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노년성 백내장(H25)’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9년 77만5,004명에서 2014년 90만 5,975명으로 매년 3.2%씩 증가하였다.

같은 기간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09년 3,556억원에서 2014년 3,899억원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1.9%로 나타났고,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2009년 1,594명에서 2014년 1,801명으로 매년 2.5%씩 증가하였다.

<2009~2014년 ‘노년성 백내장(H25)’ 건강보험 진료현황>

(단위 : 명, 억원, %)

<2009~2014년 ‘노년성 백내장(H25)’ 건강보험 진료현황>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연평균 증가율
진료인원 775,004 823,691 862,964 846,808 871,239 905,975 3.2%
총진료비 3,556 3,886 4,061 3,650 3,581 3,899 1.9%
10만명당 진료인원 1,594 1,684 1,750 1,705 1,743 1,801 2.5%

‘노년성 백내장(H25)’ 진료인원을 성별로 나누어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2009~2014년 ‘노년성 백내장(H25)’ 진료인원의 성별 분포>

(단위 : 명, %)

<2009~2014년 ‘노년성 백내장(H25)’ 진료인원의 성별 분포 >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연평균 증가율
전체 775,004 (100.0%) 823,691 (100.0%) 862,964 (100.0%) 846,808 (100.0%) 871,239 (100.0%) 905,975 (100.0%) 3.2%
남성 292,003 (37.7%) 316,551 (38.4%) 332,871 (38.6%) 332,332 (39.2%) 346,307 (39.7%) 363,243 (40.1%) 4.5%
여성 483,001 (62.3%) 507,140 (61.6%) 530,093 (61.4%) 514,476 (60.8%) 524,932 (60.3%) 542,732 (59.9%) 2.4%
남성/여성 1.7 1.6 1.6 1.5 1.5 1.5 -

2014년 기준으로 ‘노년성 백내장(H25)’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나누어보면,

50~70대 연령대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8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진료인원은 70대 여성(14,108명), 70대 남성(11,890명), 80대 남성(11,694명), 80대 여성(9,185명)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2014년 ‘노년성 백내장(H25)’ 연령대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안과 박종운 교수는 ‘노년성 백내장(H25)’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관리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노년성 백내장(H25)의 정의 및 검사방법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질환으로, 노년백내장은 대개 50세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를 말하며, 40대에 발생하는 초로백내장, 40세 미만에 발생하는 연소백내장과 구별된다. 보통 안과 외래에서 산동검사를 통하여 동공을 확대시킨 후 세극등 검사로 수정체 혼탁의 정도와 위치를 확인한다.

노년성 백내장(H25)의 원인 및 증상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 섬유단백의 분자량이 증가하고 구성 성분이 변하면서 서서히 투명성을 잃어가는 것이 원인으로 생각되며, 수정체 중 어느 부위에 혼탁이 발생하느냐에 따라 피질백내장, 핵백내장, 낭밑백내장으로 구분하며 한 부위가 아니라 여러 부위에서 동시에 발생하기도 한다. 수정체 혼탁의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주된 증상은 시력 혼탁과 시력감퇴이나 주변부 혼탁으로 백내장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초기에 시력장애가 그다지 크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동공 부위나 후극부에 병변이 있으면 초기부터 밝은 곳에서 시력이 몹시 감퇴하는 주간맹이 나타날 수도 있다. 단안으로 볼 때는 상이 겹쳐 보이는 한눈복시, 돋보기안경을 쓰던 사람이 돋보기 없이도 근거리를 잘 보게 되는 수정체근시 등이 나타나게 되는 등 매우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노년성 백내장(H25)의 합병증

백내장 자체로 인한 합병증이 흔하지는 않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녹내장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지나치게 많이 진행된 백내장의 경우에는 안구내 염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또한 과도하게 진행되는 경우에는 실명에 이르기도 하며, 특히 이런 경우 일반적인 수술법으로는 제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수술에 대한 적정 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진행정도, 시력감소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노년성 백내장(H25)의 치료 및 예방관리법

백내장 치료의 핵심은 수술적 제거와 인공수정체의 삽입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백내장의 진행을 더디게 하는 약물들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이라 보기는 어렵다. 백내장 수술 시기는 과거에는 일정정도의 시력이 저하되는 경우에 시행하였으나 현재는 수술기술의 발달과 인공수정체의 개발로 시력저하가 적다고 해도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만큼 시력이 나빠진 경우에는 언제든지 수술이 가능하다. 또한 백내장으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할 우려가 보이면 바로 수술하는 것이 원칙이다. 노년성 백내장은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에 의한 것으로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다만 자외선과 안구내 염증 등이 백내장의 진행을 악화시킬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작성 기준

수진기준(진료실인원은 약국제외, 진료실적은 약국포함)

주상병 : 노년성 백내장(H25), 수진기준

* 질병코드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통계청)에 의함(한의분류 제외)

2014년은 2015년 6월 지급분까지 반영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제외), 비급여 제외

본 자료는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근거한 자료이므로 실제유병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보건복지부 2015-10-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0 지난해 병원비 부담을 건강보험에서 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23 18
2149 지난해 우리나라 국토 면적 여의도 5배 만큼 넓어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8 37
2148 지난해 의료기기 생산실적 고속 성장 -‘15년 의료기기 생산실적 발표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2 95
2147 지난해 의약품 수출실적 5년내 가장 큰 폭으로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26
2146 지난해 중앙행정기관 제·개정 법령 1,644개 중 113개, 335건 부패유발요인 사전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8 38
2145 지난해 코로나19 외 주요 감염병 6.6%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0
2144 지난해 평균 일 교통량 13,378대로 전년대비 1.6%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2 69
2143 지능화되는 테러 수법, 확실하게 대응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5 72
2142 지리산 반달가슴곰 기지개…정해진 탐방로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17
2141 지문인증 등을 활용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서비스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9 19
2140 지방 민간택지 전매제한 기간 및 신규 조정대상지역 지정기준 마련을 위한 「주택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0 58
2139 지방 살림살이 이제 매일 안방에서 들여다본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2 77
2138 지방 투기과열지구 해제 등 규제지역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1 15
2137 지방공공요금 인상현황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5 54
2136 지방공기업 경영의 책임성·투명성 높아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1 74
Board Pagination Prev 1 ...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