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5월 2일 충남 지역에서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확인
◇ 올해 SFTS 매개 참진드기 감시결과 충남, 강원, 제주 순으로 밀도가 높음(2019. 4.30기준)
◇ SFTS 예방의 최선은 진드기 물림 예방수칙 철저 준수
◇ 야외활동 후 2주 내 고열, 구토 등의 임상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충남 지역에서 올해 처음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야외활동시 긴옷 착용 및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충남에 거주하는 H씨(여자, 만 55세)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 텃밭을 가꾸는 등 야외 활동을 하였고, 4월 28일 발열, 홍반 등 증상이 나타나서 의료기관에 입원치료 중으로, 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SFTS 양성 판정을 받았다.
 ○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을 나타내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환자 866명(사망자 174명)이 확인되었다. (붙임1, 2 참조)
     * 환자수 : 36명(’13)→55명(’14)→79명(’15)→165명(’16)→272명(’17)→259명(’18, 잠정통계)

     * 사망자수 : 17명(’13)→16명(’14)→21명(’15)→19명(’16)→54명(’17)→47명(’18, 잠정통계)


 ○ ‘19년 4월 현재 SFTS 매개 참진드기 감시결과, 참진드기 지수(T.I.)*가 54.4로 전년 동기간(35.8) 대비 51.7% 높은 수준이며, 지역별로 충남(178.3), 강원(97.9), 제주(57.3) 순으로 높았다. (붙임3 참조)
     * 참진드기 지수(Trap Index, T.I.) = 전체 참진드기 개체수/채집기수

□ SFTS는 농작업, 등산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 흡혈을 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약충은 4-6월, 성충은 6-8월에 높은 밀도로 채집

 ○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농촌지역 고연령층에서 주의가 필요하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또한, 의료인들은 SFTS 발생 시기인 4~11월 사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등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게는 야외활동 여부를 확인하여 SFTS 진단에 유의해줄 것과 진료 과정에서의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SFTS 등 진드기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의 진단체계 및 의료기관을 통한 환자 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며 전국 보건소를 통한 지역 주민 대상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교육․홍보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

○ 작업 및 야외활동 전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진드기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돗자리를 펴서 앉고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옷을 털고반드시 세탁하기

즉시 목욕하고옷 갈아입기

머리카락귀 주변팔 아래허리무릎 뒤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오심구토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 보건복지부 2019-05-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51 ‘온라인에서 성행하는 유령 유사수신 업체’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1.25
4050 매년 증가하는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4.01.24
4049 녹말 이쑤시개는 식품이 아닙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1.24
4048 롯데ON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1.24
4047 웁스(WHOOPS)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23
4046 미신고(불법) 거래소를 통한 투자권유, 투자금만 받고 출금은 거부하는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1.22
4045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4.01.22
4044 유명 패션브랜드 모방한 사칭사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1.22
4043 어그(UGG) 부츠 판매하는 사기의심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1.22
4042 방통위, 갤럭시 S24 이용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1.18
4041 ‘무늬만’ 신규사업, 불공정거래 집중조사 및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18
4040 겨울철 야외활동을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4.01.17
4039 정부지원 전세자금대출, 대환대출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1.16
4038 쇼핑몰 인포벨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4.01.15
4037 일부 어린이제품 제작 뜨개질 키트, 노닐페놀 등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4.01.12
4036 현대홈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4.01.10
4035 국세청 사칭, 이메일・문자메시지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4.01.10
4034 겉감 발수 처리가 미흡한 Goldwin 아웃도어 팬츠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1.08
4033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물질 검출된 Richter 유아용 샌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1.08
4032 질식 및 낙상 위험 있는 Miracle Baby 아기 라운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4.01.08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