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5월 2일 충남 지역에서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확인
◇ 올해 SFTS 매개 참진드기 감시결과 충남, 강원, 제주 순으로 밀도가 높음(2019. 4.30기준)
◇ SFTS 예방의 최선은 진드기 물림 예방수칙 철저 준수
◇ 야외활동 후 2주 내 고열, 구토 등의 임상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충남 지역에서 올해 처음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야외활동시 긴옷 착용 및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충남에 거주하는 H씨(여자, 만 55세)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 텃밭을 가꾸는 등 야외 활동을 하였고, 4월 28일 발열, 홍반 등 증상이 나타나서 의료기관에 입원치료 중으로, 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SFTS 양성 판정을 받았다.
 ○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을 나타내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환자 866명(사망자 174명)이 확인되었다. (붙임1, 2 참조)
     * 환자수 : 36명(’13)→55명(’14)→79명(’15)→165명(’16)→272명(’17)→259명(’18, 잠정통계)

     * 사망자수 : 17명(’13)→16명(’14)→21명(’15)→19명(’16)→54명(’17)→47명(’18, 잠정통계)


 ○ ‘19년 4월 현재 SFTS 매개 참진드기 감시결과, 참진드기 지수(T.I.)*가 54.4로 전년 동기간(35.8) 대비 51.7% 높은 수준이며, 지역별로 충남(178.3), 강원(97.9), 제주(57.3) 순으로 높았다. (붙임3 참조)
     * 참진드기 지수(Trap Index, T.I.) = 전체 참진드기 개체수/채집기수

□ SFTS는 농작업, 등산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 흡혈을 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약충은 4-6월, 성충은 6-8월에 높은 밀도로 채집

 ○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농촌지역 고연령층에서 주의가 필요하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또한, 의료인들은 SFTS 발생 시기인 4~11월 사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등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게는 야외활동 여부를 확인하여 SFTS 진단에 유의해줄 것과 진료 과정에서의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SFTS 등 진드기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의 진단체계 및 의료기관을 통한 환자 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며 전국 보건소를 통한 지역 주민 대상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교육․홍보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

○ 작업 및 야외활동 전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진드기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돗자리를 펴서 앉고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옷을 털고반드시 세탁하기

즉시 목욕하고옷 갈아입기

머리카락귀 주변팔 아래허리무릎 뒤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오심구토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 보건복지부 2019-05-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29 Medline 화장품, 박테리아 오염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8.12.04
2028 비브리오균 등 여름철 오염우려 수산물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8.05.15
2027 납 과다 함유된 Langsdom 이어폰(JM2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2.04.01
2026 알레르기 유발 성분 미표시된 APS 영양보충제(somorph Cinnamon Graham Cracker)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1.05.25
2025 임산부가 복용시 유산 위험 있는 Super Urinary Gout Support 의약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1.05.13
2024 끓였던 음식이면 무조건 안전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1.04.12
2023 봄철 미세먼지, 건강수칙 기억하세요! ‘외출 자제, 보건용 마스크 착용, 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1.03.09
2022 감전 위험 있는 케메이(Kemei) 전기면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0.02.17
2021 모잠비크 카보델가도주(州) 여행경보단계 상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18.12.18
2020 Advocare 식품보충제, 알레르기 유발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18.06.21
2019 주식보상 제도를 통해 취득한 해외(본사) 상장 주식매매시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3.06.20
2018 발화 가능성 있는 MAOZUA 타워형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2.03.10
2017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MAM 차즈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11.30
2016 유사투자자문서비스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8.11
2015 캠핑 중 집중호우 시, 산사태·급류 각별한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8.12
2014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Jolly Time 팝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7.28
2013 어린이 안전용기 미사용으로 중독사고 위험 있는 BioFinest 에센셜오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0.10.05
2012 무더운 날씨에는 이물 혼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0.07.15
2011 안전하고 희망찬 새해 맞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18.12.27
2010 전동킥보드, KC마크 확인하고 최고속도 25km/h 이하 제품 구입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18.12.11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