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화 관련 질환,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더 많아
- 국립재활원,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건강특성 비교를 통한 장애인의 노화 특성 연구」 결과 발표 -
- 의료이용 및 진료비, 노화 관련 질환 상병진단율, 사망률 모두 높아 -


국립재활원(원장 이범석) 재활연구소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건강특성 비교를 통한 장애인의 노화 특성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연구책임자 :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호승희 건강보건연구과장

이번 연구는 사회보장정보원의 등록장애인 자료(190만 9963명, 2016년 기준)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격, 의료이용 및 진료비 자료를 연계하여 10년간(2006년~2016년) 노화 연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인구사회학적·건강 및 의료이용·노화·사망의 10년 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주요 내용>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건강보험대상자 비율) 건강보험대상자 비율은 장애인이 2006년 81.5%(155만 6676명), 2016년 82.0%(124만 1909명)이었고, 비장애인은 2006년 96.2%(183만 8063명), 2016년 96.4%(161만 4533명)이었다.


(의료급여대상자 비율) 의료급여대상자 비율은 장애인이 2006년 18.5%(35만 3287명), 2016년 18.0%(27만 1948명)이었고, 비장애인은 2006년 3.8%(7만 1900명), 2016년 3.6%(5만 9851명)이었다.

건강 및 의료이용 특성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동반상병지수) 2006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동반상병지수는 각각 0.69점, 0.35점으로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1.9배 높았고, 2016년은 각각 0.93점, 0.66점으로 1.4배 높았다.

장애유형별로 보면, 외부신체기능 장애는 2006년과 2016년에 각각 0.65점, 0.94점이었고, 내부기관 장애는 각각 2.49점, 2.28점으로, 두 유형은 비장애인보다 높은 동반상병지수를 보였다. 정신적 장애는 2006년, 2016년에 각각 0.19점과 0.41점으로, 비장애인에 비해 낮았다.


(입원 및 외래 진료율) 2006년, 2016년 모두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입원 및 외래 진료율이 높았다.


(입원진료율) 장애인은 2006년 23.0%(42만 9202명), 2016년 27.1%(41만 607명), 비장애인은 2006년 11.1%(20만 9877명), 2016년 18.9%(31만 7065명)이었고, 장애인의 입원진료율이 비장애인에 비해 2006년 2.1배, 2016년 1.4배 높았다.


(외래진료율) 장애인은 2006년 92.7%(172만 9541명), 2016년 93.0% (140만 7294명), 비장애인은 2006년 87.7%(165만 4062명), 2016년 92.1%(154만 1304명)이었고, 장애인의 외래진료율은 비장애인에 비해 2006년 1.1배, 2016년 1.0배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입내원일수) 2006년, 2016년 모두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1인당 연평균 입내원일수가 높았다.


(입원일수) 1인당 연평균 입원일수는 장애인이 2006년 55.6일, 2016년 67.7일, 비장애인은 2006년 20.2일, 2016년 32.5일이었고, 장애인의 입원일수가 비장애인에 비해 2006년 2.8배, 2016년 2.1배 높았다.


(외래방문일수) 1인당 연평균 외래방문일수는 장애인이 2006년 26.6일, 2016년 28.0일, 비장애인은 2006년 18.2일, 2016년 21.6일이었고, 장애인의 외래방문일수가 비장애인에 비해 2006년 1.4배, 2016년 1.3배 높았다.


(진료비) 2006년, 2016년 모두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1인당 연평균 진료비가 높았다.


(입원진료비) 1인당 연평균 입원진료비는 장애인이 2006년 489만 원, 2016년 735만 원, 비장애인은 2006년 255만 원, 2016년 487만 원이었고, 장애인의 1인당 연평균 입원진료비가 비장애인에 비해 2006년 1.9배, 2016년에 1.5배 높았다.


(외래진료비) 1인당 연평균 외래진료비는 장애인이 2006년 101만 원, 2016년 128만 원, 비장애인은 2006년 33만 원, 2016년 63만 원이었고, 장애인의 외래진료비가 비장애인에 비해 2006년 3.0배, 2016년 2.0배 높았다.

(2006년 생애주기별 입내원일수 및 진료비 비교) 청년기부터의 입내원일수와 진료비를 살펴 본 결과,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1인당 연평균 입내원일수가 길었으며, 1인당 연평균 진료비를 더 많이 지출하였다.


(입내원일수) 청년기의 1인당 연평균 입원일수는 장애인 64.4일로 비장애인 8.4일보다 7.7배 길었고, 1인당 연평균 외래방문일수는 장애인이 13.2일로 비장애인 6.7일보다 2.0배 많았다.


(진료비) 청년기의 1인당 연평균 입원진료비는 장애인 433만9000원으로 비장애인 106만8000원보다 4.1배 높은 비용을 지출했고, 1인당 연평균 외래진료비는 장애인이 77만9000원으로 비장애인 12만7000원보다 6.2배 높은 비용을 지출했다.

(2016년 생애주기별 입내원일수 및 진료비 비교) 청년기부터의 입내원일수와 진료비를 살펴 본 결과, 장애인은 초고령기를 제외한 전 생애주기에서 비장애인보다 1인당 연평균 입내원일수가 길었으며, 더 많은 1인당 연평균 진료비를 지출하고 있었다.


(입내원일수) 청년기의 1인당 연평균 입원일수는 장애인의 72.1일로 비장애인 7.6일보다 9.5배 길었고, 1인당 연평균 외래방문일수는 장애인 15.6일로 비장애인 9.3일보다 1.7배 많았다.


(진료비) 청년기의 1인당 연평균 입원진료비는 장애인의 597만8000원으로 비장애인 162만 원보다 4.4배 높은 비용을 지출했고, 1인당 연평균 외래진료비는 장애인 109만9000원으로 비장애인 236만 원보다 3.8배 높은 비용을 지출했다.

노화 관련 특성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 노화관련질환 상병자: 진료비 청구자료 중 노화관련질환(주상병, 제1~4부상병)을 진단받은 경험이 있는 자
  •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 생애주기별 노화관련질환상병자수 / 생애주기별 전체 대상자수 × 100
  • 노화관련질환 : 21개 상병
    • 고혈압, 골다공증, 근감소증, 기타 등병증, 노인성 난청, 노인성 황반변성, 노쇠 증후군, 뇌졸중, 당뇨, 동맥혈관 질환, 만성폐쇄성 폐질환, 백내장, 섬망, 심부전, 암(위, 대장, 간, 기관지 및 폐, 유방, 자궁), 어깨병변, 염증성 다발관절병증·관절증, 요실금, 척추병증, 추체외로 및 운동장애, 치매

(생애주기별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 2006년 기준 장애인, 비장애인을 10년간 관찰한 결과, 2006년, 2011년, 2016년의 모든 생애주기에서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이 높았다.


청년기부터의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을 살펴보았을 때, 2006년 장애인이 청년기에 18.0%이었고, 이는 비장애인의 성인기~중년기(14.9%~29.6%) 범위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2011년 장애인이 청년기에 21.9%로 비장애인의 성인기 23.2%와 유사하고, 2016년 장애인이 청년기에 33.5%로 비장애인의 성인기 36.4%와 유사하였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 차이) 2006년 기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을 시계열별(2006년, 2011년, 2016년)로 분석한 결과, 모든 연도에서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높은 상병진단율을 보였다.


또한, 생애주기가 이를수록(청년기<청소년기<아동기<영유아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의 차이가 컸다.


2006년 기준 청년기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2006년 2.20배, 2011년 1.68배, 2016년 1.49배 높은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을 보였다.


다른 생애주기(성인기~초고령기)에서도 나이가 들수록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의 차이가 줄어들었다.


*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이른 생애주기부터 노화가 진행되고, 비장애인은 상대적으로 늦은 생애주기부터 노화가 진행됨에 따른 결과로 해석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생애주기별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 2006년 대비 2016년 > : 첨부 참조


(장애유형별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 2006년 청년기에 노화관련질환 상병진단율이 가장 높은 장애유형은 신장(79.89%), 호흡기(56.47%), 심장(54.51%) 순이었고, 가장 낮은 장애유형은 안면(7.23%), 자폐(7.31%), 청각(9.96%) 순이었다.


호흡기장애를 제외한 모든 장애유형에서 10년 후(2016년) 노화관련 질환 상병진단율이 증가하였다.


청년기를 기준으로 10년간(2006년~2016년)의 차이가 큰 장애유형은 정신(32.57%p), 지적(18.49%p), 자폐(18.17%p) 순이었고, 차이가 적은 장애유형은 신장(0.36%p), 장루·요루(2.83%p), 간(3.63%p) 순이었고, 이 중 호흡기장애는 유일하게 2006년 56.47%에서 2016년 45.61%로 10.86%p 감소하였다.


사망 관련 특성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사망률) 장애인은 22.64%(432,414명), 비장애인은 13.66%(260,986명) 사망하여, 장애인의 사망률이 비장애인에 비해 1.7배 높았다.


사망률이 높은 장애유형은 호흡기(63.16%), 간(53.18%), 심장(49.32%), 신장(49.32%), 뇌병변(46.77%) 순으로 내부기관 장애가 높게 나타났다.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생애주기별 10년간 사망률 >

 (단위: 명, %)

비고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중년기

장년기

준고령기

고령기

초고령기

합계

장애인

781

1,176

1,770

3,663

9,712

31,551

58,129

121,221

142,064

62,347

432,414

(5.27)

(3.71)

(4.27)

(3.74)

(4.81)

(8.70)

(14.85)

(28.77)

(52.41)

(82.90)

(22.64)

비장애인

23

64

156

627

2,618

11,152

22,719

61,051

103,865

58,711

260,986

(0.16)

(0.20)

(0.38)

(0.64)

(1.30)

(3.07)

(5.80)

(14.49)

(38.32)

(78.07)

(13.66)

전체

14,809

31,681

41,412

98,072

202,029

362,771

391,523

421,391

271,068

75,207

1,909,963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2006년 생애주기 기준


< 장애유형별 10년간 사망률 > : 첨부 참조


(생애주기별 사망률 차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사망률 차이는 영유아기 33.96배(장애인 781명, 비장애인 23명), 청년기 5.84배(장애인 3,663명, 비장애인 627명), 장년기 2.56배(장애인 5만 8129명, 비장애인 2만 2719명)로 늦은 생애주기로 갈수록 격차가 줄어들었다.


(사망 시 평균연령) 장애인이 71.82세, 비장애인은 76.68세로 나타났다.


국립재활원 호승희 건강보건연구과장(연구책임자)은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전 생애 건강 및 노화 특성을 최초로 비교 분석한 것으로, 장애와 더불어 노화관련질환 등에 대한 어려움도 겪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객관적 근거로 도출한데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또한 “앞으로 장애인의 노화 위험요인과 상관관계를 밝히는 심층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며, 저소득자와 노인 비율이 높은 장애인 인구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안전망의 구축과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9-05-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71 가습기살균제 특별구제 112명 추가…총 2,127명 인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62
7070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온라인에서 구입해 선물한 이모티콘, 다운로드 하지 않았다면 구매자가 청약철회 가능”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64
7069 폐암검진 도입을 위해 암 관리법 시행령 개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46
7068 금융상품 “비교에서 관리까지” - 「파인」에서 거래단계별 핵심정보를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61
7067 휠체어 이용자의 이동이 훨씬 수월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119
7066 7일부터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대상자 위한 ‘임시감면증’ 나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46
7065 BMW, 폭스바겐, 혼다, 볼보트럭 등 수입차 리콜 실시[총 58개 차종 11,513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78
» 노화 관련 질환,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더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3 47
7063 舊 개인연금저축(신탁) 소액계좌 간편해지 서비스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3 54
7062 우리 동네 정부혁신을 한 눈에! 필요한 혜택도 쏙~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2 54
7061 5월 종합소득세신고, 홈택스「신고도움 서비스」를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2 33
7060 노인장기요양급여 대상자, 이웃주민 확인 없이도 장기요양기관 입소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2 63
7059 편리한 듯 불편한 모바일 상품권, 내 돈이 새고 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2 70
7058 출산 후 60일 지나 양육수당 신청했더라도 아이 출생일로 소급해 모두 지급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2 76
7057 2025년 5월 울릉도 하늘길 열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2 46
Board Pagination Prev 1 ...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 963 Next
/ 96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