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하절기 및 연휴대비 전국 보건기관 비상방역 근무 실시(’19.5.1.~9.30.)

■ 신속한 보고 및 대응을 위한 24시간 업무체계(긴급상황실 운영)

■ 2인 이상 집단설사 환자 발생 시 보건소 신고 및 안전한 음식물 섭취, 올바른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본격적으로 하절기가 시작되는 5월부터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이하 설사감염병)* 증가에 대비하여 5.1.~9.30.까지 전국 13개 국립검역소,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보건소와 함께 비상방역 근무 체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 제1군감염병(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 간염), 지정감염병인 장관감염증(살모넬라균 감염증,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 등

최근 3년간(2016년~2018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현황에 따르면 집단발생은 5~9월(‘16년 260건(46.7%), ’17년 287건(53.2%), ‘18년 328건(47.1%))에 주로 발생하고 있어 여름철에는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발생에 주의가 필요하다.

* 집단발생 : 시간, 장소 등으로 연관성이 있는 2명 이상에서 설사, 구토 등 장관감염 증상이 있는 경우

하절기에 기온이 상승하여 병원성 미생물 증식이 활발해지고, 연휴·휴가기간 단체모임과 국내외 여행기회가 증가하면서 설사감염병이 집단발생 할 수 있다.

                                                                <2016~2019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현황>

                                                                                                                                                                                                  ‘19.4.29. 기준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합계

2016

집단발생()

22

17

33

49

53

48

34

72

53

56

57

63

557

사례수()

192

89

452

567

871

766

459

2,516

576

795

929

927

9,139

2017

집단발생()

38

33

33

50

51

65

56

65

50

25

30

43

539

사례수()

296

215

351

858

691

904

711

1,346

1,179

379

369

471

7,770

2018

집단발생()

28

37

61

47

62

51

69

50

96

79

62

55

697

사례수()

178

557

1,334

848

1,213

1,068

979

1,586

5,762

970

880

872

16,247

2019

집단발생()

41

35

54

56

-

-

-

-

-

-

-

-

186

사례수()

491

259

687

582

-

-

-

-

-

-

-

-

2,019


질병관리본부와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설사감염병 집단발생 시 신속한 보고 및 대응을 할 수 있는 24시간 업무체계*를 지속 유지하고 역학조사** 등 감염병 대응을 실시할 예정이다.

* (지방자치단체) 평일 비상 근무 : 09∼20시까지, 주말 및 공휴일 : 09~16시까지 유지
(질병관리본부) 24시간 긴급상황실 운영

** 역학조사 : 감염병 유행을 차단하기 위해 유행이 인지되었을 때 유행의 원인 및 경로를 파악하는 조사

또한, 국립검역소는 해외여행 후 입국 시 설사 등 유증상자에 대해 건강상태질문서를 확인하고, 검역단계에서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병원체 진단검사 서비스를 계속해서 실시한다.

질병관리본부 이동한 감염병총괄과장은 “신속한 대응을 위해 2인 이상 집단설사 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 줄 것과 설사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물 섭취(익혀 먹기, 끓여 먹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9-04-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300 단풍 절정기, 자신의 체력에 맞게 안전한 산행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0 2018.10.18
1299 단추형전지 배터리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삼킴 위험있는 블루투스 추적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2.04.01
1298 단추형전지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삼킴 및 질식 위험있는 고양이 장난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1.10.08
1297 단추형전지 관련 주의문구 없어 리콜된 언더아머 운동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3.03.13
1296 단추형 전지함 고정 미흡으로 어린이 사망 위험있는 Uyuni lighting 티라이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3.05.25
1295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및 부상 위험 있는 아동용 손목시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4.01.08
1294 단추형 전지가 쉽게 노출되어 질식 위험 있는 LED 귀걸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3.01.16
1293 단추형 전지 삼킴 위험 있는 Everything Glows LED 불가사리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12.09
1292 단추형 전지 삼킴 위험 있는 DIY 테라리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9.28
1291 단추형 전지 삼킴 우려 있는 조명 열쇠고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12.13
1290 단추형 전지 삼킴 우려 있는 Ynybusi 발사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2.09.28
1289 단추형 전지 단자함 고정미흡한 블루투스 추적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07.11
1288 단추형 전지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질식 위험 있는 Dontdo 완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1.12.27
1287 단추형 전지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인해 질식 위험 있는 V-pro LED 조명 리모컨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12.01
1286 단추형 전지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Fender 기타조율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02.14
1285 단추형 전지 노출로 부상 및 질식 위험 있는 LED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2.07.19
1284 단추형 전지 노출로 부상 및 질식 위험 있는 Baztoy 원격조종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2.07.19
1283 단추형 전지 노출되어 질식 위험있는 LED 크리스마스 모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2.05.02
1282 단추형 전지 노출되어 삼킬 경우 사망 위험 있는 LED 머리띠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15
1281 단추형 전지 노출 우려 있는 Smiggle 유아용 손목시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2.04.29
Board Pagination Prev 1 ...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