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하절기 및 연휴대비 전국 보건기관 비상방역 근무 실시(’19.5.1.~9.30.)

■ 신속한 보고 및 대응을 위한 24시간 업무체계(긴급상황실 운영)

■ 2인 이상 집단설사 환자 발생 시 보건소 신고 및 안전한 음식물 섭취, 올바른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본격적으로 하절기가 시작되는 5월부터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이하 설사감염병)* 증가에 대비하여 5.1.~9.30.까지 전국 13개 국립검역소,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보건소와 함께 비상방역 근무 체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 제1군감염병(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 간염), 지정감염병인 장관감염증(살모넬라균 감염증,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 등

최근 3년간(2016년~2018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현황에 따르면 집단발생은 5~9월(‘16년 260건(46.7%), ’17년 287건(53.2%), ‘18년 328건(47.1%))에 주로 발생하고 있어 여름철에는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발생에 주의가 필요하다.

* 집단발생 : 시간, 장소 등으로 연관성이 있는 2명 이상에서 설사, 구토 등 장관감염 증상이 있는 경우

하절기에 기온이 상승하여 병원성 미생물 증식이 활발해지고, 연휴·휴가기간 단체모임과 국내외 여행기회가 증가하면서 설사감염병이 집단발생 할 수 있다.

                                                                <2016~2019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현황>

                                                                                                                                                                                                  ‘19.4.29. 기준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합계

2016

집단발생()

22

17

33

49

53

48

34

72

53

56

57

63

557

사례수()

192

89

452

567

871

766

459

2,516

576

795

929

927

9,139

2017

집단발생()

38

33

33

50

51

65

56

65

50

25

30

43

539

사례수()

296

215

351

858

691

904

711

1,346

1,179

379

369

471

7,770

2018

집단발생()

28

37

61

47

62

51

69

50

96

79

62

55

697

사례수()

178

557

1,334

848

1,213

1,068

979

1,586

5,762

970

880

872

16,247

2019

집단발생()

41

35

54

56

-

-

-

-

-

-

-

-

186

사례수()

491

259

687

582

-

-

-

-

-

-

-

-

2,019


질병관리본부와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설사감염병 집단발생 시 신속한 보고 및 대응을 할 수 있는 24시간 업무체계*를 지속 유지하고 역학조사** 등 감염병 대응을 실시할 예정이다.

* (지방자치단체) 평일 비상 근무 : 09∼20시까지, 주말 및 공휴일 : 09~16시까지 유지
(질병관리본부) 24시간 긴급상황실 운영

** 역학조사 : 감염병 유행을 차단하기 위해 유행이 인지되었을 때 유행의 원인 및 경로를 파악하는 조사

또한, 국립검역소는 해외여행 후 입국 시 설사 등 유증상자에 대해 건강상태질문서를 확인하고, 검역단계에서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병원체 진단검사 서비스를 계속해서 실시한다.

질병관리본부 이동한 감염병총괄과장은 “신속한 대응을 위해 2인 이상 집단설사 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 줄 것과 설사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물 섭취(익혀 먹기, 끓여 먹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9-04-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709 자동차 금융사기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및 피해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31
708 GS SHOP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3.07.31
707 MU아울렛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7.31
706 안정세 유지를 위한 엠폭스 고위험군의 적극적 예방접종 및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3.07.31
705 여름방학 때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 예방접종 꼭 챙겨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7.31
704 다회용기 안심하고 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7.31
703 세이브전시몰 / 세이브아울렛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8.01
702 인터파크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8.01
701 잔류농약 기준이 초과 검출된 수입 ‘고추’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8.01
700 여름철 수상레저 활동 시 안전사고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3.08.01
699 항공권 구매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8.02
698 코로나19 여름철 확산 대비, 방역수칙 준수 적극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8.02
697 고수익 보장, 특별 저가 매수 기회 등으로 투자자를 현혹하는 가상자산 투자권유,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8.03
696 이런 ‘58개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8.03
695 쇼핑몰 부업 사기피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8.04
694 모기에서 말라리아 원충 확인, 말라리아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8.04
693 롯데온 및 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8.08
692 신세계몰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3.08.08
691 엠폭스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백신 2회 접종과 방역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8.08
690 여름철 복통과 설사 등을 일으키는 장관감염증 증가, 예방수칙 알고 계신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3.08.08
Board Pagination Prev 1 ...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