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하절기 및 연휴대비 전국 보건기관 비상방역 근무 실시(’19.5.1.~9.30.)

■ 신속한 보고 및 대응을 위한 24시간 업무체계(긴급상황실 운영)

■ 2인 이상 집단설사 환자 발생 시 보건소 신고 및 안전한 음식물 섭취, 올바른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본격적으로 하절기가 시작되는 5월부터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이하 설사감염병)* 증가에 대비하여 5.1.~9.30.까지 전국 13개 국립검역소,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보건소와 함께 비상방역 근무 체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 제1군감염병(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 간염), 지정감염병인 장관감염증(살모넬라균 감염증,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 등

최근 3년간(2016년~2018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현황에 따르면 집단발생은 5~9월(‘16년 260건(46.7%), ’17년 287건(53.2%), ‘18년 328건(47.1%))에 주로 발생하고 있어 여름철에는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발생에 주의가 필요하다.

* 집단발생 : 시간, 장소 등으로 연관성이 있는 2명 이상에서 설사, 구토 등 장관감염 증상이 있는 경우

하절기에 기온이 상승하여 병원성 미생물 증식이 활발해지고, 연휴·휴가기간 단체모임과 국내외 여행기회가 증가하면서 설사감염병이 집단발생 할 수 있다.

                                                                <2016~2019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현황>

                                                                                                                                                                                                  ‘19.4.29. 기준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합계

2016

집단발생()

22

17

33

49

53

48

34

72

53

56

57

63

557

사례수()

192

89

452

567

871

766

459

2,516

576

795

929

927

9,139

2017

집단발생()

38

33

33

50

51

65

56

65

50

25

30

43

539

사례수()

296

215

351

858

691

904

711

1,346

1,179

379

369

471

7,770

2018

집단발생()

28

37

61

47

62

51

69

50

96

79

62

55

697

사례수()

178

557

1,334

848

1,213

1,068

979

1,586

5,762

970

880

872

16,247

2019

집단발생()

41

35

54

56

-

-

-

-

-

-

-

-

186

사례수()

491

259

687

582

-

-

-

-

-

-

-

-

2,019


질병관리본부와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설사감염병 집단발생 시 신속한 보고 및 대응을 할 수 있는 24시간 업무체계*를 지속 유지하고 역학조사** 등 감염병 대응을 실시할 예정이다.

* (지방자치단체) 평일 비상 근무 : 09∼20시까지, 주말 및 공휴일 : 09~16시까지 유지
(질병관리본부) 24시간 긴급상황실 운영

** 역학조사 : 감염병 유행을 차단하기 위해 유행이 인지되었을 때 유행의 원인 및 경로를 파악하는 조사

또한, 국립검역소는 해외여행 후 입국 시 설사 등 유증상자에 대해 건강상태질문서를 확인하고, 검역단계에서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병원체 진단검사 서비스를 계속해서 실시한다.

질병관리본부 이동한 감염병총괄과장은 “신속한 대응을 위해 2인 이상 집단설사 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 줄 것과 설사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물 섭취(익혀 먹기, 끓여 먹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9-04-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333 전국적인 무더위 시작, 온열질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9.07.03
1332 수족구병 발생 지속 증가, 예방수칙 준수 재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9.06.28
1331 나들이 계절, 외부 활동 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6.21
1330 여름철 감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6.20
1329 여름철 물놀이 사고, 안전예방 수칙 준수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9.06.20
1328 열대과일 '리치' 공복에 섭취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06.17
1327 폭우와 폭염이 잦은 여름, 안전운전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5 2019.06.14
1326 Cry Babies 장난감, 프탈레이트 성분 노출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19.06.14
1325 Officeworks 교구세트, 건전지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19.06.14
1324 SENJO COLOR 바디페인트 화장품, 피부알레르기 유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6.14
1323 RASTAR 유아용 전기자동차, 납 성분 과량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8 2019.06.14
1322 Yang Xue Sheng Fa Capsules 영양제, 간 손상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19.06.14
1321 Prana Organic 건무화과(Dried Figs), 벌레 혼입된 사실 있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5 2019.06.14
1320 Whole Earth 버터(3 Nut Butter Peanut, pecan & Walnut), 견과류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4 2019.06.14
1319 RXBAR 프로틴바,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9.06.14
1318 Theo Chocolate 초콜릿,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0 2019.06.14
1317 Herbivore 수분크림, 곰팡이 오염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19.06.14
1316 Nabisco 쿠키, 응고 성분 혼입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9.06.14
1315 Infantino 아기띠, 사용 중 파손으로 인한 낙상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19.06.14
1314 Clippasafe 아기띠, 사용 중 파손으로 인한 낙상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19.06.14
Board Pagination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