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신청 시효기간 지났다며 장애인 자녀에게

군인유족연금 이전하지 않는 것은 잘못

- 국방부에 장애인 자녀가 실질적으로 군인유족연금을 이전받을 수 있도록 제도개선 의견표명 -

 
□ 군인유족연금을 적법하게 수령하던 어머니가 사망하였다면 군인유족연금 신청 시효기간이 지났더라도 장애인 자녀에게 연금수급권을 이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결정이 나왔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군인유족연금을 지급받던 어머니가 사망한 후 이전승계를 받기 위해 연금 이전 신청을 했다가 시효기간이 지났다는 이유만으로 장애인 자녀의 군인연금수급권 이전 신청을 거부한 국방부의 결정은 잘못이므로 군인유족연금 이전제도를 개선하라고 의견표명 했다.
 
□ A씨는 어릴 적 소아마비를 앓아 장애를 가지고 있는데 그의 아버지는 군에서 퇴직한 국가유공자로, 군인연금을 받다가 2002년 11월에 사망했다. A씨의 어머니는 2003년 1월 군인유족연금을 신청해 2016년 사망하기 전까지 연금을 받았다.
 
A씨는 2016년 어머니가 사망한 후 보훈청으로부터 보훈유족 자격 이전승계 안내문을 받았다. A씨가 아버지 사망 당시 19세 이상 성인이었지만 장애인이어서 어머니와 같은 순위의 군인유족연금 수급 자격이 있다는 것*과 유족연금을 받던 어머니가 사망한 후 자신이 연금수급권을 이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군인연금법은 일정수준 이상 장애를 지닌 성인자녀의 경우 어머니와 같은 순위의 유족연금 수급 자격을 인정하고 있음
 
A씨는 국군재정관리단에 유족연금 이전 요청을 하였으나 군인연금법 상 신청 시효기간 5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거부처분을 받았고, 국방부에 재심을 신청하였으나 같은 이유로 기각처분을 받았다. 이에 A씨는 아버지가 사망한 시점을 기준으로 5년 시효가 지났다는 이유만으로 유족연금의 이전승계를 하지 못하는 것은 억울하다며 국민권익위에 민원을 제기하였다.
 
□ 국민권익위 조사결과, 2003년 A씨 어머니가 유족연금을 신청할 때 제출했던 서식에는 현행 서식과는 달리 서식 안에 장애자녀의 수급권 인정과 신청에 대한 안내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국민권익위는 ▲ A씨의 어머니가 시효기간 내 유족연금을 신청하여 적법하게 유족연금을 수령해왔다는 점 ▲ A씨의 어머니는 A씨의 동의서나 위임장 없이 유족연금 전액을 수령했다는 점 ▲ A씨는 장애인 자녀로서 유족연금수급권이 있었으나 이 사실을 안내나 통지를 받지 못해 유족연금수급권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알지 못했다는 점 ▲「군인연금법」제29조 및「군인연금법시행령」제56조에 ‘유족연금수급권의 이전’ 규정을 두고 있는 점 ▲ A씨의 어머니가 유족연금을 신청할 때 장애자녀인 A씨의 존재여부를 알리지 않았다고 하여 A씨의 이전받을 권리를 영구히 박탈하는 것은 지나치게 가혹한 처사라는 점 등을 고려해 국방부의 결정이 잘못됐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국민권익위는 군인연금 당사자 사망 후 시효기간 내에 그 배우자가 유족연금을 신청해 유족연금을 받아오다 사망한 경우 장애인 자녀가 유족연금 권리를 이전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것을 국방부에 의견표명 했다. 국민연금의 경우 배우자가 유족연금을 받다가 사망하면 장애인자녀에게 수급권이 변경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 국민권익위 권근상 고충처리국장은 “군인유족연금은 군인 유족의 생활안정과 복리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면서 “장애인 자녀가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9-04-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30 블랙프라이데이, 해외구매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8 77
10429 인공유방 사용 시 이런 점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7
10428 청소년 흡연율 10년내 최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7
10427 ‘흡연은 스스로 구입한 질병입니다’ 보건복지부, 두 번째 금연홍보 시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7
10426 금융 민원-분쟁처리 개혁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7 77
10425 소비자 종합 이슈, '금융소비자의 소리'로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2 77
10424 우리나라 연간 소비자피해액 약 4.3조 원으로 추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77
10423 연말정산,‘정부3.0’으로 미리 알려주고 채워준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3 77
10422 식약처, 국내 의약품 부작용에 대한 선제적 안전조치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9 77
10421 ’15년 3분기 항공교통량 상승세 주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3 77
10420 「가족상담 지원 서비스」시범사업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6 77
10419 금연치료에 대한 부담을 확 낮춰 드리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7 77
10418 8월 주택인·허가 6.9만호로 전년동월대비 41.2%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77
10417 개인신용평가 관행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1 77
10416 국내 유통 의약품의 품질연구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77
Board Pagination Prev 1 ...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