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나들이 철 5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 교통, 화재·산불, 여가활동, 농기계, 식중독사고 중점 관리-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5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중점 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행정안전부)에 따른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 5월에 월평균보다 사고발생 건수나 사망자수가 높은 유형 ** 트윗 1억2,173천 건

행정안전부는 중점 관리유형을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을 수립하도록 하고, 국민들에게는 재난 유형별 예방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교통사고) 5월은 봄나들이, 소풍, 수학여행 및 각종 야외 행사 등으로 사람들의 이동이 활발해지는 시기로 교통사고 위험이 높다.
※ 교통사고(도로교통, 자전거, 열차, 지하철, 항공기, 유도선 사고) 최근 5년(‘13~’17)간 사고발생건수 연간월평균95,104건 5월평균102,528건

최근 5년(‘13~’17년)간 5월에 발생한 전체 교통사고는 102,528건으로 사고의 대부분은 도로(98,599건, 96%)에서 발생했으며, 열차‧지하철‧항공기 사고의 경우 발생 건수는 적지만 사망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17년 교통사고를 원인별로 살펴보면 도로교통사고는 운전자 법규위반이 216,322건(99.9%)로 압도적으로 많으며, 자전거 사고는 운전자 부주의가 3,239건(60%), 열차‧지하철사고는 자살사고(41건, 39%)의 비중이 높았다.
* 열차사고 자살 18건(34%), 지하철 자살사고 23건(43%)

(화재/산불) 5월은 봄철 강풍과 건조한 기후로 여전히 화재발생 위험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최근 12년(‘07~’18)간 강풍 특보발령 연간월평균289건 5월평균269건건조 특보발령 연간월평균126건 5월평균127건
※ 최근 5년(‘13~’17)간 화재건수 연간월평균17,924건 5월평균19,465건 산불건수 연간월평균208건 5월평균286건

2017년 5월에는 이례적으로 입산자 실화로 추정되는 산불이 많이 발생하였고 산림 1,126.85ha 소실되었다.

산림청에서는 4월 9일 발령한 전국 산불경보를 현재 유지하고 있다.

(여가활동사고) 5월은 어린이날 행사와 각종 축제로 야외활동이 많아 사고 발생 위험이 높고, 부처님 오신 날 전후로 등산객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안전수칙 준수가 필요하다.
※ 여가활동(생활체육, 등산, 놀이시설)

- 최근 5년(‘13~’17)간 사고건수 연간월평균4,640건 5월평균6,298건

재난연감에 따르면 2017년 5월의 총 여가활동사고는 904건으로 등산사고는 681건(75%)으로 대부분이며, 놀이시설사고는 64건(7%)로 비중이 작지만 사고 당 사망비율은 5%(3건)로 가장 높다.

전체 사고 원인별로 살펴보면 실족‧추락이 2,482건(37%)으로 가장 많고 조난 1,465건(21%), 개인질환 899건(13%), 안전수칙불이행 818건(12%) 순이다.

(농기계사고) 5월은 본격적으로 모내기가 시작되는 영농기로 연중 농기계 사고 발생*이 가장 많다.
※최근 5년(‘13~’17)간 농기계사고건수 연간 월평균623건, 5월1,058건

2017년 농기계 월별 사고건수를 보면, 3월부터 사고건수가 증가하여 5월에 사고 발생 빈도가 가장 많고 인명피해도 높다.

2017년도 지역별 통계를 보면 경북(300건, 20.6%)과 경남(268건, 18.4%)에서 사고 발생건수가 높지만 사고 당 사망자수는 강원도(사고 53건, 사망 17명)에서 사망률(3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중독) 5월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세균의 유입과 오염된 음식물 등의 섭취로 의한 식중독 발생이 높은 시기이다.
※ 최근 5년(‘14~’18)간 발생건수 연간월평균148건 5월평균176건 환 자 수 연간월평균3,147건 5월평균4,172건

봄철(3월∼5월, 443건, 24.9%) 식중독 발생건수는 여름철(8월, 218건, 12,3%)보다 많고, 환자수도 5월에 큰 증가(전월대비 2배)를 보이고 있다.

2018년 식약처 통계에 따르면, 음식점이 202건(56%)로 가장 많고, 학교 44건(12%), 학교 외 집단급식 1,875건(10%) 순으로 발생했다.
※ 식약처 봄 신학기 학교급식 식중독 예방 합동 점검 보도자료(2019.2.21.)에 따르면 식중독 주 오염경로는 조리기구의 분변에 오염된 물과 오염된 용수로 세척한 채소 등을 통해 발생 한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음식물이 세균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조리 전 손 세정제를 사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는다.

- 또한, 칼‧도마를 사용 시에는 조리가 되지 않은 식품과 이미 조리가 된 식품을 구분해서 사용하여 교차 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5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에 대비해 각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중점 관리해 소중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에 관심을 가지고 미리 행동요령을 숙지하여 적극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4-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73 카드뭄 기준이 초과 검출된 수입 ‘냉동 가리비살’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9.08
3672 감전 우려 있는 Leneve 여성용 제모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1.04
3671 26일부터 2차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2.16
3670 과열보호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Jigong 열풍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2.15
3669 미허용 감미료 검출된 Super Bubur 인스턴트 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2.29
3668 RoHS2 납 성분 함유 기준을 위반한 차량용 무선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3.13
3667 독성 식물로 확인된 테호코테(Tejocote) 다이어트 보조제(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3.15
3666 해외직구를 통한 건강식품 소비자 구매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4.01
3665 부품 이상으로 낙상 위험이 있는 청소년용 스키 부츠(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4.15
3664 유리파편 혼입되어 부상 위험 있는 Parsons Pickles 홍합절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9
3663 과열 가능성 있는 휴대용 난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23
3662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3)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9.27
3661 온라인쇼핑몰 ‘오시싸’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06
3660 자석 이물 혼입 가능성 있는 HiPP 과일주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17
3659 사용 중 파손되어 낙상 위험이 있는 Bontrager 자전거 핸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17
3658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된 M.Asam 파운데이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4
3657 유통기한 오표기된 OHMORIYA 조미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3656 납 및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Leonardo 유아용 코끼리 유리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3655 국민신문고 사칭 이메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2
3654 금속 입자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Apoday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6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