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나들이 철 5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 교통, 화재·산불, 여가활동, 농기계, 식중독사고 중점 관리-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5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중점 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행정안전부)에 따른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 5월에 월평균보다 사고발생 건수나 사망자수가 높은 유형 ** 트윗 1억2,173천 건

행정안전부는 중점 관리유형을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을 수립하도록 하고, 국민들에게는 재난 유형별 예방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교통사고) 5월은 봄나들이, 소풍, 수학여행 및 각종 야외 행사 등으로 사람들의 이동이 활발해지는 시기로 교통사고 위험이 높다.
※ 교통사고(도로교통, 자전거, 열차, 지하철, 항공기, 유도선 사고) 최근 5년(‘13~’17)간 사고발생건수 연간월평균95,104건 5월평균102,528건

최근 5년(‘13~’17년)간 5월에 발생한 전체 교통사고는 102,528건으로 사고의 대부분은 도로(98,599건, 96%)에서 발생했으며, 열차‧지하철‧항공기 사고의 경우 발생 건수는 적지만 사망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17년 교통사고를 원인별로 살펴보면 도로교통사고는 운전자 법규위반이 216,322건(99.9%)로 압도적으로 많으며, 자전거 사고는 운전자 부주의가 3,239건(60%), 열차‧지하철사고는 자살사고(41건, 39%)의 비중이 높았다.
* 열차사고 자살 18건(34%), 지하철 자살사고 23건(43%)

(화재/산불) 5월은 봄철 강풍과 건조한 기후로 여전히 화재발생 위험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최근 12년(‘07~’18)간 강풍 특보발령 연간월평균289건 5월평균269건건조 특보발령 연간월평균126건 5월평균127건
※ 최근 5년(‘13~’17)간 화재건수 연간월평균17,924건 5월평균19,465건 산불건수 연간월평균208건 5월평균286건

2017년 5월에는 이례적으로 입산자 실화로 추정되는 산불이 많이 발생하였고 산림 1,126.85ha 소실되었다.

산림청에서는 4월 9일 발령한 전국 산불경보를 현재 유지하고 있다.

(여가활동사고) 5월은 어린이날 행사와 각종 축제로 야외활동이 많아 사고 발생 위험이 높고, 부처님 오신 날 전후로 등산객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안전수칙 준수가 필요하다.
※ 여가활동(생활체육, 등산, 놀이시설)

- 최근 5년(‘13~’17)간 사고건수 연간월평균4,640건 5월평균6,298건

재난연감에 따르면 2017년 5월의 총 여가활동사고는 904건으로 등산사고는 681건(75%)으로 대부분이며, 놀이시설사고는 64건(7%)로 비중이 작지만 사고 당 사망비율은 5%(3건)로 가장 높다.

전체 사고 원인별로 살펴보면 실족‧추락이 2,482건(37%)으로 가장 많고 조난 1,465건(21%), 개인질환 899건(13%), 안전수칙불이행 818건(12%) 순이다.

(농기계사고) 5월은 본격적으로 모내기가 시작되는 영농기로 연중 농기계 사고 발생*이 가장 많다.
※최근 5년(‘13~’17)간 농기계사고건수 연간 월평균623건, 5월1,058건

2017년 농기계 월별 사고건수를 보면, 3월부터 사고건수가 증가하여 5월에 사고 발생 빈도가 가장 많고 인명피해도 높다.

2017년도 지역별 통계를 보면 경북(300건, 20.6%)과 경남(268건, 18.4%)에서 사고 발생건수가 높지만 사고 당 사망자수는 강원도(사고 53건, 사망 17명)에서 사망률(3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중독) 5월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세균의 유입과 오염된 음식물 등의 섭취로 의한 식중독 발생이 높은 시기이다.
※ 최근 5년(‘14~’18)간 발생건수 연간월평균148건 5월평균176건 환 자 수 연간월평균3,147건 5월평균4,172건

봄철(3월∼5월, 443건, 24.9%) 식중독 발생건수는 여름철(8월, 218건, 12,3%)보다 많고, 환자수도 5월에 큰 증가(전월대비 2배)를 보이고 있다.

2018년 식약처 통계에 따르면, 음식점이 202건(56%)로 가장 많고, 학교 44건(12%), 학교 외 집단급식 1,875건(10%) 순으로 발생했다.
※ 식약처 봄 신학기 학교급식 식중독 예방 합동 점검 보도자료(2019.2.21.)에 따르면 식중독 주 오염경로는 조리기구의 분변에 오염된 물과 오염된 용수로 세척한 채소 등을 통해 발생 한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음식물이 세균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조리 전 손 세정제를 사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는다.

- 또한, 칼‧도마를 사용 시에는 조리가 되지 않은 식품과 이미 조리가 된 식품을 구분해서 사용하여 교차 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5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에 대비해 각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중점 관리해 소중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에 관심을 가지고 미리 행동요령을 숙지하여 적극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4-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191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Enjoy Life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1.16
1190 유통기한 오표기된 OHMORIYA 조미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1189 슈도모나스균 오염 가능성 있는 베이비워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2.11.16
1188 이취 발생한 올슨 치즈스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1.16
1187 고무 조각 혼입된 Calve 땅콩소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11.16
1186 하단 분리돼 화상 위험 있는 Smilatte 휴대용 유리 머그컵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2.11.16
1185 과부하로 인한 화재 및 화상 위험 있는 Evolution 콘크리트 절단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11.16
1184 하강레포츠시설 안전확보를 위한 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11.17
1183 추워지는 날씨, 전열기 화재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11.17
1182 베스트프라자 / BESTPLAZA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11.22
1181 엘지전자 온라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1.22
1180 특정금전신탁 가입 시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 특정금전신탁은 무조건 원금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2.11.23
1179 블랙프라이데이 등 해외직구 성수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23
1178 피해다발업체/뷰티히어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24
1177 "겨울철 전열기 사용 시 화재·화상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2.11.28
1176 홈플러스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1.29
1175 국민신문고 사칭 이메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2
1174 ‘벤스가구’ A/S·배송 지연으로 인한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12.02
1173 SK가전 스토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2.05
1172 화재 발생 시 대피는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2.12.05
Board Pagination Prev 1 ...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