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더 편리해진 온라인 출생신고, 참여병원이 확대됩니다.
- 채워주기 기능으로 입력항목 대폭 축소(18개→8개), 참여병원 92개로 확대 -

아이를 출산한 부모가 관공서를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출생신고를 할 수 있는 ’온라인 출생신고제‘에 참여하는 병원이 확대되고, 서비스 이용이 한층 더 편리해진다.

행정안전부(장관 진영)와 법원행정처(처장 조재연)는 4월 26일부터 온라인 출생신고 참여병원이 전국 92개 병원으로 확대된다고 밝혔다.

온라인 출생신고는 정부혁신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서비스로, 출생아 부모가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www.efamily.scourt.go.kr)'에서 출생신고를 할 수 있는 제도이다.
※ 온라인 출생신고 신청 현황(’18.5.8.~’19.3.31.) : 총 7,330건 (월평균 약 610건)

지난해 5월 18개 병원을 대상으로 처음 실시된 온라인 출생신고는 지난 12월 77개 병원으로 참여병원이 확대되었고, 이번에 15개 병원이 새롭게 참여하게 되었다.

이번에 참여하는 병원은 그간 참여병원이 없었던 강원, 충북 지역을 포함하여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종합병원**도 5곳이 참여하여 더욱 많은 산모가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서울(2개), 부산(1개), 대전(1개), 경기(4개), 강원(2개), 충북(1개), 경북(2개), 경남(2개)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서울병원, 대전선병원, 강릉아산병원, 삼척의료원, 안동병원

또한 온라인 출생신고 시 신고인이 직접 입력하는 항목을 줄이고, 누리집 내 메뉴 접근성을 제고하는 등 서비스 이용이 편리해진다.

그동안 온라인 출생신고 시 신고인이 직접 입력하는 항목이 많아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인인증을 통해 조회 가능한 항목(부·모의 성명 및 본, 주민등록번호 등)을 자동으로 채운 신고서식을 제공하여 신고인이 직접 입력해야 하는 항목을 18개에서 8개로 대폭 줄였다.

또한 신고인이 홈페이지에서 손쉽게 온라인 출생신고 메뉴를 찾을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 (기존) 3단계(인터넷 신고 > 신고서 작성 > 출생신고) → (개선) 2단계(인터넷 신고 > 출생신고)

조소연 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정책관은 “출산가정이 보다 편리하게 온라인 출생신고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업하여 참여병원을 확대하고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정부가 제공 중인 공공서비스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제고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81 금융꿀팁 200선 - 외국환거래법규상 금융소비자 유의사항(부동산거래-금전대차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7 23
7180 토요타, 벤츠, 혼다, 만트럭 등 자동차 및 건설기계 리콜 실시 [총 23개 차종 49,360 대, 건설기계 8개 모델 694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7 14
7179 공공서비스 혁신 바람, 전국으로 확대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5 22
7178 2019년 4월 온라인쇼핑 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5 14
7177 원안위.식약처 합동 온열제품 등 부적합 제품 행정조치(판매중지,수거 등)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5 19
7176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연중 수강·신청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5 16
7175 2019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4 7
7174 의류·식음료업종 표준대리점계약서 개정안 공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4 15
7173 전문위탁병원이 국가유공 환자에게 진료비 직접 청구 않도록 관리 강화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4 32
7172 택시운수종사자단체에 대한 지원, 육성을 위한 세부기준이 마련되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4 21
7171 간편하게 찾는 도시락, 건강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3 35
7170 납 기준 초과 검출 '과.채주스'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3 31
7169 2018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3 28
7168 ‘자문변호사단’ 통해 비실명 공익신고 상담ㆍ신청 수월해져...대리신고 비용도 지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3 20
7167 신혼부부·다자녀 특별공급 부정청약 합동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3 18
Board Pagination Prev 1 ...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