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더 편리해진 온라인 출생신고, 참여병원이 확대됩니다.
- 채워주기 기능으로 입력항목 대폭 축소(18개→8개), 참여병원 92개로 확대 -

아이를 출산한 부모가 관공서를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출생신고를 할 수 있는 ’온라인 출생신고제‘에 참여하는 병원이 확대되고, 서비스 이용이 한층 더 편리해진다.

행정안전부(장관 진영)와 법원행정처(처장 조재연)는 4월 26일부터 온라인 출생신고 참여병원이 전국 92개 병원으로 확대된다고 밝혔다.

온라인 출생신고는 정부혁신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서비스로, 출생아 부모가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www.efamily.scourt.go.kr)'에서 출생신고를 할 수 있는 제도이다.
※ 온라인 출생신고 신청 현황(’18.5.8.~’19.3.31.) : 총 7,330건 (월평균 약 610건)

지난해 5월 18개 병원을 대상으로 처음 실시된 온라인 출생신고는 지난 12월 77개 병원으로 참여병원이 확대되었고, 이번에 15개 병원이 새롭게 참여하게 되었다.

이번에 참여하는 병원은 그간 참여병원이 없었던 강원, 충북 지역을 포함하여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종합병원**도 5곳이 참여하여 더욱 많은 산모가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서울(2개), 부산(1개), 대전(1개), 경기(4개), 강원(2개), 충북(1개), 경북(2개), 경남(2개)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서울병원, 대전선병원, 강릉아산병원, 삼척의료원, 안동병원

또한 온라인 출생신고 시 신고인이 직접 입력하는 항목을 줄이고, 누리집 내 메뉴 접근성을 제고하는 등 서비스 이용이 편리해진다.

그동안 온라인 출생신고 시 신고인이 직접 입력하는 항목이 많아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인인증을 통해 조회 가능한 항목(부·모의 성명 및 본, 주민등록번호 등)을 자동으로 채운 신고서식을 제공하여 신고인이 직접 입력해야 하는 항목을 18개에서 8개로 대폭 줄였다.

또한 신고인이 홈페이지에서 손쉽게 온라인 출생신고 메뉴를 찾을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 (기존) 3단계(인터넷 신고 > 신고서 작성 > 출생신고) → (개선) 2단계(인터넷 신고 > 출생신고)

조소연 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정책관은 “출산가정이 보다 편리하게 온라인 출생신고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업하여 참여병원을 확대하고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정부가 제공 중인 공공서비스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제고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28 가정용 달걀, 선별포장 제도 의무화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9
7027 4.25일, 아동 231만 명이 보편지급 아동수당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3
7026 2018년 유사수신 혐의업체 특징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3
7025 선불식 할부거래업자의 등록변경 사항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6
7024 2019년 1/4분기 다단계판매업자의 주요정보 변경사항(휴·폐업, 신규 등록, 상호 등)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2
7023 국세청 납세자보호위원회, 재심의를 통해 납세자 권리 적극 구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3
7022 내년부터 노인 일자리 참여, 거주지 외에 있을 때는 인터넷으로 신청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8
» 더 편리해진 온라인 출생신고, 참여병원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17
7020 국세·지방세 관련 민원, 한 곳에서 해결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25
7019 아동·청소년대상 카메라 이용 촬영범죄 크게 늘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17
7018 가정간편식 제조.판매업체 일제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11
7017 식약처, 여성 건강 관련 화장품 광고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10
7016 돋보기안경 및 도수 수경(물안경) 온라인 판매 허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56
7015 훈련일자를 실제와 달리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비용을 신청했더라도 사유 있다면 처분 감경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62
7014 ‘포용적 주거복지, 실수요 중심의 안정적 시장관리’를 위한 2019년 주거종합계획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24
Board Pagination Prev 1 ...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