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말라리아, 위험지역 거주나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 세계 말라리아의 날(4월 25일) 맞아 예방수칙 준수 및 감염주의 당부-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인천, 경기·강원 북부) 거주(군인 포함) 및 여행 시에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 기피제, 긴 옷 등을 이용하여 모기물림 주의

* 2018년 국내발생(501명): 경기북부 330명(66%), 인천광역시 78명(16%), 강원북부 40명(8%) 등

해외여행 시, 여행국가에 따라 약제내성 및 발생현황이 다르므로 해외여행 전에 의료기관 방문하여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예방약 복용

* 2018년 해외유입 75명(사망 4명): 아프리카 39명(사망 4명)(52%), 아시아 29명(39%) 등

발열, 오한 등 말라리아 의심증상 발생 시 의사에게 여행력 알리고 진료 권고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제12회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휴전선 접경지역) 거주자 및 여행객과 해외 말라리아 발생국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를 방문하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말라리아 예방수칙 준수 및 감염주의를 당부하였다.

말라리아는 매개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는 과정에서 열원충이 전파되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질환 중 하나로 현재까지 총 5가지 종류*에서 인체 감염 가능하다.

* 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말라리아 발생률*이 1위이며, 휴전선 접경지역 (인천, 경기·강원 북부)에서 삼일열말라리아 환자의 89%(‘18년)**가 발생한다.

* 발생률(‘18년) : 한국(1명/10만명), 멕시코(0.6명/10만명당), 그 외 국가는 모두 0명

** (‘14년) 558명 → (‘15년) 628명 → (‘16년) 602명 → (‘17년) 436명 → (‘18년) 501명

신속한 진단·치료가 필요한 열대열말라리아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해외여행을 통해 연 평균 70건 내외로 신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평균 3건 이내 사망자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질병관리본부는 감염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말라리아 관리대책을 시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말라리아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사례관리, 복약점검 및 완치조사를 수행하고, 말라리아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매개모기 밀도조사 및 원충감염 감시, 환자 중심의 집중방제 등을 실시한다.

매년 전년도 환자 발생 현황을 토대로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선정하여 환자 집중관리, 말라리아 예방물품(신속진단키트, 치료제, 모기 기피제 등) 보급, 예방수칙 교육·홍보 등을 수행하고 있다.

열대열말라리아 환자 유입 시 필요한 치료제 비축을 위해 비축기관을 10개 기관*으로 확대하였으며, 치료제 신청을 진단서 대신 약품 요청서로 변경하는 등 절차를 간소화하였다.

* 국립중앙의료원, 제주검역소, 보건소(부산 중구, 광주 동구, 대전 중구, 대구 중구, 춘천시, 강릉시, 수원 영통구, 인천 중구)

국내 협력체계 강화를 위하여 중앙 및 지자체 말라리아 퇴치사업단 운영을 활성화하고, 지자체는 말라리아 감시 거점센터 운영(파주시 보건소) 으로 말라리아 환자의 신속한 진단 및 적절한 치료 등 퇴치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수혈로 인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말라리아 환자 및 말라리아 발생국가 여행자의 헌혈을 금지하고, 국내 말라리아 발생률이 높은 지역을 헌혈제한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 [붙임 4. 2018년 국내 말라리아 관련 헌혈제한지역] 자료 참고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해당 지역 여행 시 말라리아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 할 것”을 당부하였다.

국내·외 말라리아 위험지역 및 예방약 정보, 예방수칙 등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및 모바일 홈페이지(http://m.cdc.go.kr)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모기에 물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야간 외출자제, 긴 옷 착용, 모기 기피제 사용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해외 위험지역 여행 전 의사와 상담 후 지역에 따라 적절한 말라리아 예방약을 복용하여야 한다.

* [붙임 5. 상황별 말라리아 감염예방수칙] 자료 참고

해외여행 후 다음과 같이 말라리아 감염이 의심될 경우에는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하여 상담을 받거나,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 하여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일정 기간의 잠복기를 거쳐 초기에 권태감, 서서히 상승하는 발열 증상이 수일 간 지속되고, 이후 오한, 발열, 땀흘림 후 해열이 반복되면서 두통, 구역, 설사 등이 동반된다.



[ 보건복지부 2019-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13 현대자동차(주)·기아자동차(주) 세타Ⅱ 엔진 보증기간 연장 실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61 2016.10.13
4212 현대자동차(주) 투싼(TL) 차량 도어래치 작동불량 관련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2 2019.12.27
4211 현대자동차(주) 제네시스(DH, DH PE), EQ900(HI) 차량 오일압력 경고등 점등 관련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4 2021.08.21
4210 현대자동차(주) 제네시스(BH) 차량 OCV 누유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590 2019.07.22
4209 현대자동차(주) 싼타페 HEV, 투싼HEV, 코나 EV, 아이오닉 EV, 포터 EV 차량 인버터 냉각수 경고등 오점등 관련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6 2022.04.01
4208 현대자동차(주) 베라크루즈 차량 앞유리 무상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41 2016.07.18
4207 현대자동차(주) LF쏘나타 하이브리드 차량 도어래치 무상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28 2016.10.04
4206 현대 · 비엠더블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3.07
4205 헬스투데이(주) 디퓨저(코코도르, 헤리티지, 얼반), 어린이보호포장이 되지 않아 교환·환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8 2018.06.20
4204 헬스장·PT 계약 및 이용 연기 관련 소비자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2.06.27
4203 헤나 염모제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9.01.29
4202 헤나 염모 · 문신 전, 반드시 패치테스트 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8.12.12
4201 허용치를 초과하는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Kaytee 새사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5.12
4200 허용치 초과하는 납 함유한 Spirit 유아용 코스튬 의상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3.02.14
4199 허용치 초과 잔류농약이 검출된 MDH 향신료 가공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1.11.04
4198 허용치 초과 자속지수 등으로 상해 위험 있는 Toyandona 자석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2.02.09
4197 허용치 초과 에틸렌옥사이드 함유해 리콜된 Now Foods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2.06
4196 허용치 초과 2-클로로에탄올이 검출된 WELLMIX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11.04
4195 허용치 이상의 니코틴 함유한 Elf Bar 1500 일회용 전자담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9 2022.03.07
4194 허용치 넘는 납을 함유한 H&M 남성용 팔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3.12.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