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말라리아, 위험지역 거주나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 세계 말라리아의 날(4월 25일) 맞아 예방수칙 준수 및 감염주의 당부-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인천, 경기·강원 북부) 거주(군인 포함) 및 여행 시에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 기피제, 긴 옷 등을 이용하여 모기물림 주의

* 2018년 국내발생(501명): 경기북부 330명(66%), 인천광역시 78명(16%), 강원북부 40명(8%) 등

해외여행 시, 여행국가에 따라 약제내성 및 발생현황이 다르므로 해외여행 전에 의료기관 방문하여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예방약 복용

* 2018년 해외유입 75명(사망 4명): 아프리카 39명(사망 4명)(52%), 아시아 29명(39%) 등

발열, 오한 등 말라리아 의심증상 발생 시 의사에게 여행력 알리고 진료 권고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제12회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휴전선 접경지역) 거주자 및 여행객과 해외 말라리아 발생국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를 방문하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말라리아 예방수칙 준수 및 감염주의를 당부하였다.

말라리아는 매개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는 과정에서 열원충이 전파되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질환 중 하나로 현재까지 총 5가지 종류*에서 인체 감염 가능하다.

* 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말라리아 발생률*이 1위이며, 휴전선 접경지역 (인천, 경기·강원 북부)에서 삼일열말라리아 환자의 89%(‘18년)**가 발생한다.

* 발생률(‘18년) : 한국(1명/10만명), 멕시코(0.6명/10만명당), 그 외 국가는 모두 0명

** (‘14년) 558명 → (‘15년) 628명 → (‘16년) 602명 → (‘17년) 436명 → (‘18년) 501명

신속한 진단·치료가 필요한 열대열말라리아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해외여행을 통해 연 평균 70건 내외로 신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평균 3건 이내 사망자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질병관리본부는 감염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말라리아 관리대책을 시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말라리아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사례관리, 복약점검 및 완치조사를 수행하고, 말라리아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매개모기 밀도조사 및 원충감염 감시, 환자 중심의 집중방제 등을 실시한다.

매년 전년도 환자 발생 현황을 토대로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선정하여 환자 집중관리, 말라리아 예방물품(신속진단키트, 치료제, 모기 기피제 등) 보급, 예방수칙 교육·홍보 등을 수행하고 있다.

열대열말라리아 환자 유입 시 필요한 치료제 비축을 위해 비축기관을 10개 기관*으로 확대하였으며, 치료제 신청을 진단서 대신 약품 요청서로 변경하는 등 절차를 간소화하였다.

* 국립중앙의료원, 제주검역소, 보건소(부산 중구, 광주 동구, 대전 중구, 대구 중구, 춘천시, 강릉시, 수원 영통구, 인천 중구)

국내 협력체계 강화를 위하여 중앙 및 지자체 말라리아 퇴치사업단 운영을 활성화하고, 지자체는 말라리아 감시 거점센터 운영(파주시 보건소) 으로 말라리아 환자의 신속한 진단 및 적절한 치료 등 퇴치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수혈로 인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말라리아 환자 및 말라리아 발생국가 여행자의 헌혈을 금지하고, 국내 말라리아 발생률이 높은 지역을 헌혈제한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 [붙임 4. 2018년 국내 말라리아 관련 헌혈제한지역] 자료 참고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해당 지역 여행 시 말라리아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 할 것”을 당부하였다.

국내·외 말라리아 위험지역 및 예방약 정보, 예방수칙 등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및 모바일 홈페이지(http://m.cdc.go.kr)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모기에 물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야간 외출자제, 긴 옷 착용, 모기 기피제 사용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해외 위험지역 여행 전 의사와 상담 후 지역에 따라 적절한 말라리아 예방약을 복용하여야 한다.

* [붙임 5. 상황별 말라리아 감염예방수칙] 자료 참고

해외여행 후 다음과 같이 말라리아 감염이 의심될 경우에는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하여 상담을 받거나,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 하여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일정 기간의 잠복기를 거쳐 초기에 권태감, 서서히 상승하는 발열 증상이 수일 간 지속되고, 이후 오한, 발열, 땀흘림 후 해열이 반복되면서 두통, 구역, 설사 등이 동반된다.



[ 보건복지부 2019-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31 알레르기 유발 성분 함유된 Arabian Oud 360 Men 향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9.20
3330 AK MALL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10.11
3329 우유 성분 미표기된 Nature’s Way 어린이 영양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0.11.23
3328 미표기된 대두, 계란 등 성분 함유하여 알레르기 우려 있는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14
3327 비타민 성분 과다 함유한 SimplySupplements 비타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15
3326 살모넬라 오염가능성 있는 초콜릿(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21
3325 부품 불량으로 낙하 우려가 있는 천장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3324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3323 곰팡이 발생 우려가 있는 칼슘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26
3322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등 견과류, 참깨) 미표시한 스무디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27
3321 어린이보호포장 및 표시사항이 미흡한 레진 코팅 키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30
3320 HICC 성분 함유한 Al Haramain 향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0.17
3319 홈플러스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1.29
3318 라벨 미표기 땅콩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Holland & Barrett 대두 레시틴(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2.15
3317 라벨 미표기 메탄올 성분 함유해 중독 위험으로 리콜된 Adam's Polishes 손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2.15
3316 애플스토어/에이샵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1.13
3315 캠핑나우 / NOW CAMPING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6.01
3314 파워보드 부품불량으로 화재 우려 있는 LG Electronics(호주법인) SMART TV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2
3313 작동 불량으로 사고ㆍ부상 위험있는 BQQZHZ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3
3312 엠폭스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백신 2회 접종과 방역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8.08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