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기온이 상승하고 실외활동이 증가하면서 본격적인 수족구병 유행시기 돌입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올바른 손씻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받기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4월 말부터 수족구병 환자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등 수족구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수족구병: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등 장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열 및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특히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며,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됨

 ○ 전국 95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의사환자 분율*은 ’19년 13주(3.24.~3.30.) 1.8명(외래환자 1,000명당), 14주(3.31.~4.6.) 2.4명, 15주(4.7.~4.13.) 2.5명**으로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 기온 상승과 실외활동의 증가로 환자수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수족구병의사환자 발생분율(‰) : 수족구병의사환자수 / 전체 외래환자수×1,000

     ** 15주 통계는 변동가능한 잠정통계로, 4.18.(목) 18시 이후 확정 통계 확인가능

     *** 수족구병 표본감시결과 확인 :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탈 (http://www.cdc.go.kr/npt)
        → 소식지 → 감염병표본감시 주간소식지(매주 목요일 18시 이후)

   ○ 수족구병 환자 또는 감염된 사람의 대변 또는 분비물(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러한 것에 오염된 물건(수건, 장난감, 집기 등) 등을 만지는 경우 전파되므로,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아이 돌보기 전·후 손을 씻고,  장난감 등 집기 소독 관리에(붙임 3 참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아울러, 수족구병은 대부분의 경우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이나, 드물게는 뇌수막염, 뇌염, 마비증상 등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어 수족구병이 의심될 때, 특히 아이가 열이 높고, 심하게 보채면서 잦은 구토를 하는 등 증상 발생시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집단생활을 하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수족구병 예방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고, 올바른 손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발열과 함께 손, 발, 입안에 수포가 생기는 등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등원 및 외출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였다.

 

 

수족구병 예방 수칙 >

 

 

 

 

 

 

◇ 올바른 손 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배변 후식사 전기저귀 교체 전

∘ 특히 산모소아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조리원유치원어린이집 종사자

◇ 올바른 기침예절

∘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 철저한 환경관리

∘ 아이들의 장난감놀이기구집기 등을 소독 하기(붙임 참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 받고 등원 및 외출 자제 하기(발병후 1주일)

 



[ 보건복지부 2019-04-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31 부품(리벳) 파손으로 상해 위험이 있는 예초기 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5.10
2430 부품결함 있는 다이빙 부력조절용 쟈켓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06
2429 부품분리 및 삼킴 위험 있는 Kenwood 푸드 프로세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4.29
2428 부품에 고압 전류가 흘러 감전 위험이 있는 마그네틱 드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2.29
2427 부품이 분리되어 어린이에게 질식 위험 있는 이케아 블라인드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5
2426 부품이 분리되어 질식 위험 있는 키움하우스 브랜드B 치발기 국내 리콜(환급)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1.05.24
2425 부품이 탈락할 수 있는 Mirari 기차장난감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31 2015.05.26
2424 부품이탈로 위해우려 있는 송풍기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48 2017.04.27
2423 부품하자로 익사 우려 있는Oceanic(오셔닉) 부력조절기 무상수리 실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18
2422 북 해킹조직의 정부기관·언론사 등 사칭 전자우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1.21
2421 분리된 배선이 포함되어 전기 감전이 위험이 있는 Blueque 젤네일 램프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3.04.07
2420 분진포집효율 기준을 위반한 Xique 마스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1.10.28
2419 분진포집효율 미흡한 Markrite 의료용 마스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2.03.07
2418 불법 고리사채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업체 이용시 반드시 기억해야 할 10가지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3.07.18
2417 불법 제조된 가짜 EQUELLE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1.10.14
2416 불법 채권추심 관련 3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1.30
2415 불법 채권추심관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3.11.15
2414 불법금융! 내 자녀도 당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11.09
2413 불법사금융 이제 그만! 불법대부광고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1.06.21
2412 불법적인 채권추심 관련 금융소비자 주의사항 금융소비자 2차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2.06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