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기온이 상승하고 실외활동이 증가하면서 본격적인 수족구병 유행시기 돌입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올바른 손씻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받기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4월 말부터 수족구병 환자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등 수족구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수족구병: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등 장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열 및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특히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며,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됨

 ○ 전국 95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의사환자 분율*은 ’19년 13주(3.24.~3.30.) 1.8명(외래환자 1,000명당), 14주(3.31.~4.6.) 2.4명, 15주(4.7.~4.13.) 2.5명**으로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 기온 상승과 실외활동의 증가로 환자수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수족구병의사환자 발생분율(‰) : 수족구병의사환자수 / 전체 외래환자수×1,000

     ** 15주 통계는 변동가능한 잠정통계로, 4.18.(목) 18시 이후 확정 통계 확인가능

     *** 수족구병 표본감시결과 확인 :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탈 (http://www.cdc.go.kr/npt)
        → 소식지 → 감염병표본감시 주간소식지(매주 목요일 18시 이후)

   ○ 수족구병 환자 또는 감염된 사람의 대변 또는 분비물(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러한 것에 오염된 물건(수건, 장난감, 집기 등) 등을 만지는 경우 전파되므로,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아이 돌보기 전·후 손을 씻고,  장난감 등 집기 소독 관리에(붙임 3 참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아울러, 수족구병은 대부분의 경우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이나, 드물게는 뇌수막염, 뇌염, 마비증상 등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어 수족구병이 의심될 때, 특히 아이가 열이 높고, 심하게 보채면서 잦은 구토를 하는 등 증상 발생시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집단생활을 하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수족구병 예방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고, 올바른 손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발열과 함께 손, 발, 입안에 수포가 생기는 등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등원 및 외출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였다.

 

 

수족구병 예방 수칙 >

 

 

 

 

 

 

◇ 올바른 손 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배변 후식사 전기저귀 교체 전

∘ 특히 산모소아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조리원유치원어린이집 종사자

◇ 올바른 기침예절

∘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 철저한 환경관리

∘ 아이들의 장난감놀이기구집기 등을 소독 하기(붙임 참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 받고 등원 및 외출 자제 하기(발병후 1주일)

 



[ 보건복지부 2019-04-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51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 함유된 Great Value 캐슈넛 가공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5.07
2950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대두) 함유된 Doritos 과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4.12
2949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대두) 함유된 Doritos 과자(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12
2948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함유된 Biona Organic 캐슈넛 버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3.27
2947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밀) 함유 가능성이 있는 아위가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4.02.29
2946 라벨 미표기 우유 및 밀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있어 리콜된 Alsultan Sweets 디저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10
2945 라벨 미표기 우유 성분을 함유한 Havasu Nutrition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11.22
2944 라벨 미표기 참깨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Eva Bold 프로틴 바(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12.15
2943 라벨 미표기 참깨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Eva Bold 프로틴 바(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2.12.15
2942 라벨 미표기(아몬드) 성분 함유한 Montezuma's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22.06.14
2941 라벨 미표기된 성분(겨자)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S&B 와사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8.24
2940 라벨 미표기된 성분(겨자)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야마추 와사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8.24
2939 라벨 미표기된 성분(겨자)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하우스 와사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8.24
2938 라벨 미표기된 성분(달걀) 함유한 Barilla 라자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2.09.30
2937 라벨 미표기된 성분(우유)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Koska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8.25
2936 라벨 미표기된 성분(우유, 밀, 콩) 함유한 Lay’s 감자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9.30
2935 라벨 미표기된 성분(우유, 헤이즐넛) 함유한 Organic Tradition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09.30
2934 라벨 미표기된 성분[수은, 납] 함유한 Goree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2.04.04
2933 라벨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Smart sips 초콜릿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3.03.10
2932 라벨 미표기된(우유) 성분 함유한 Two bears 귀리 우유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04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