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원봉사활동 신청 기회  많아지고 쉬워진다

- 청소년 자원봉사자 모집 설명서·시스템 개선토록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 권고 -

 
□ 학교에 다니지 않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싶어도 가까운 곳에 지원을 받아주는 기관이 없어 자원봉사활동을 하지 못하거나 먼 곳까지 가야 하는 불편이 해소될 전망이다.
※ 학교 밖 청소년 : 초등학교‧중학교 등 과정을 교육하는 학교에 입학한 후 3개월 이상 결석하거나 취학의무를 유예한 청소년, 고등학교 또는 이와 동일한 과정을 교육하는 학교에서 자퇴하거나 진학하지 않은 청소년 등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자원봉사활동을 쉽게 신청할 수 있도록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지원시스템’의 사용설명서와 시스템을 개선하도록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 권고했다.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은 공공도서관‧요양원‧혈액원 등 각 기관이나 단체의 청소년 대상 자원봉사활동의 모집과 지원을 돕기 위해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지원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 e청소년(www.youth.go.kr, 청소년 활동 정보서비스)시스템의 ‘청소년 자원봉사 DOVOL)’
 
청소년들의 자원봉사는 체험활동과 입시준비 등을 위해 하는 것으로,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뿐 아니라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도 필요하다. 하지만 봉사활동 지원을 받는 상당수 기관‧단체에서 현재 시스템에서 학교 밖 청소년을 모집할 수 있음에도,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위주로 모집하고,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모집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 봉사활동 모집기관을 각 광역단위별로 20개(세종은 8개)씩 무작위로 확인한 결과, 조사대상 총 328개 중 학교 밖 청소년을 모집하지 않는 기관은 74.1%인 243개에 이름(3월 초 봉사활동 모집기관을 대상으로 시스템에서 조사)
 
이 때문에 학교 밖 청소년의 봉사활동 신청이 어렵고 불편하다는 민원도 제기되고 있었다.

▪ 검정고시생인데, 대입 준비로 봉사시간이 필요해서 청소년 봉사활동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가까운 모집기관을 검색했더니, 학교 밖 청소년은 모집을 하지 않았음. 학교 밖 청소년이 재학생에 비해 적기는 하지만 봉사활동을 신청할 수 있도록 개선해 주면 좋겠음(2018년 9월 국민신문고)
 
□ 이에 국민권익위는 각 기관이나 단체에서 자원봉사자 접수 시 학교 밖 청소년을 적극 모집하도록 시스템 사용설명서 등에 반영하고, 봉사활동 모집기관에서 모집 등록 시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하는 봉사활동에는 학교 밖 청소년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도록 올해 12월까지 시스템을 개선하도록 권고했다.
 
□ 국민권익위 안준호 권익개선정책국장은 “학교 밖 청소년들이 봉사활동을 지원할 때 불편함이나 소외감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며, “국민권익위는 앞으로도 자칫 소외될 수 있는 사람들이 발생할 수 있는 분야의 제도개선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9-04-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28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티빙·왓챠 만족도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5 15
4327 온라인 매개 아동ㆍ청소년 대상 성범죄 피해 위험 뚜렷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24 22
4326 온라인 민원, 한 번의 신청으로 원하는 만큼 출력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30 36
4325 온라인 반려동물 사료 10개 제품 안전·표시사항 위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18 32
4324 온라인 부동산광고 자율규약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0 12
4323 온라인 불법유통 및 허위.과대광고 확인하고 구매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9 16
4322 온라인 사업자의 개인정보관련 약관상 불공정약관 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9 73
4321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단위가격 표시 필요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72
4320 온라인 쇼핑몰의 약관 및 광고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16 47
4319 온라인 여행 상품 판매 시 필수경비 명확히 표시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78
4318 온라인 여행사(OTA), 가격 및 환불 관련 정보 제공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8 24
4317 온라인 연금저축보험 가입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4 41
4316 온라인 영어강의 소비자 만족도, ‘정보 및 콘텐츠 품질’ 높고 ‘학습관리’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13
4315 온라인 유통 완구에 대한 소비자·사업자의 안전인식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7 11
4314 온라인 유통 유기농산물 잔류농약 검사결과 안전한 수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3 127
Board Pagination Prev 1 ...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