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시중 유통 일부 일산화탄소경보기 성능 미흡해

- 국내 기준 적합 제품도 EU 저농도 일산화탄소 경보기준에 부적합해 기준강화 필요 -


지난해 발생한 강릉 펜션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의 영향으로 숙박시설에 일산화탄소경보기 설치가 의무화되고 경보기를 구입하는 소비자도 증가하고 있으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부 제품은 경보 성능이 떨어져 안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일산화탄소경보기 14개 제품*을 대상으로 한 성능 시험 결과로 밝혀졌다.

* 판매가 10만원 이하 제품(건전지 전원형 13, 교류 전원형 1)

◎ ‘에어로졸 분사 후 점화’에 의한 화재나 ‘용기 자체 폭발’이 가장 많아

일산화탄소경보기는 「가스누설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불완전연소가스용 경보기'로 분류되며, 공기 중 일산화탄소 농도가 250ppm(1차 경보 농도)에서 5분 이내, 550ppm(2차 경보 농도)에서는 1분 이내에 경보를 울려야 한다. 또한 오경보를 방지하기 위해 50ppm(부작동 농도)에서 5분 이내에는 작동하지 않아야 하며, 경보 음량은 70dB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동 기준은 교류 전원형 일산화탄소경보기*에만 적용될 뿐 시중 유통제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건전지 전원형 제품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교류 전원형 일산화탄소경보기 :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전기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보기

일산화탄소 경보농도 및 음량 시험* 결과, 조사대상 14개 중 5개(35.7%) 제품이 성능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 가스누설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준용

조사대상 14개 중 4개(28.6%) 제품은 1차(250ppm)·2차(550ppm) 경보농도 등에서 미작동 또는 오작동 하였고, 3개(21.4%) 제품은 경보음량이 52dB~67dB 수준으로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 2개 제품은 경보농도 및 경보음량 모두 미흡 


                                                               [ 경보농도 및 음량 성능 미흡 제품 및 시험결과 ]

제조·수입사

제품명

경보농도시험

음량시험

비고

1차 작동시험

2차 작동시험

부작동시험

CO 250ppm에서

5분이내 경보

CO 550ppm에서

1분이내 경보

CO 50ppm에서

5분이내 미경보

70dB이상

캠핑파크

CP-CMAA

작동안함

적합

적합

적합

건전지전원형

제이엠무역

-

적합

적합

5분 이내 작동

적합

미래사이언스

KXL-601

적합

적합

적합

52dB

CPD

GROUP

CAMG700

작동안함

작동안함

적합

67dB

대신전자

DS-220

오작동*

오작동*

오작동*

67dB

교류전원형

* 일산화탄소가 없는 조건에서 전원 연결 시 경보가 작동

◎ 국내 일산화탄소 경보농도 기준 강화 필요

저농도의 일산화탄소도 장시간 흡입할 경우 혈액 내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의 농도가 증가해 일산화탄소 중독(저산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COHb)은 적혈구내 헤모글로빈과 일산화탄소가 결합된 화합물을 말하며 일산화탄소는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이 산소보다 약 250배 높아 헤모글로빈의 산소운반을 저해하여 저산소증(일산화탄소 중독)을 유발함.

이에 유럽연합과 미국은 일산화탄소경보기의 최저 경보농도 기준을 각각 50ppm, 70ppm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250ppm으로 저농도에 장시간 노출되어 발생되는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를 예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유럽연합 일산화탄소경보기 성능기준에 따라 시험한 결과, 조사대상 14개 중 13개(92.9%) 제품이 50ppm 또는 100ppm에서 작동하지 않거나 규정된 작동시간 이내에 경보를 울리지 않아 국내 경보농도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EU 일산화탄소경보기 경보농도시험(EN50291) 결과 ]

농도

기준

시험결과

비고

적합

부적합

50ppm

60분 이상 90분 이내 경보

2

12

- 50ppm 단독 부적합 : 5

 - 100ppm 단독 부적합 : 1

 - 50ppm, 100ppm 중복 부적합 : 7

 - 모두 적합 : 1

100ppm

10분 이상 40분 이내 경보

6

8


◎ 일산화탄소경보기의 설치기준 마련 필요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산화탄소경보기는 소비자가 구매하여 직접 설치하는 제품으로 바닥·창문·환풍기 부근 등 부적절한 장소에 설치할 경우 경보가 울리지 않거나 지연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14개 중 설치위치 등을 안내하고 있는 제품은 3개(21.4%), 제품사용설명서 등을 제공하고 있는 제품은 7개(50.0%)에 불과해 안전한 사용을 위한 정보 제공이 미흡했다.

유럽연합에서는 일산화탄소경보기 설치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여 소비자에게 적절한 설치·사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 예방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도 주택구조에 맞는 설치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를 통해 국내 성능 기준에 미흡한 제품의 사업자에게 자발적 시정을 권고했고, 해당 사업자는 이를 수용하여 판매를 중지하고 교환·환불·수리하기로 했다.

아울러 소방청에는 ▲건전지형 일산화탄소경보기의 형식승인 등 기준 마련 ▲일산화탄소경보기의 경보농도 기준 강화 ▲일산화탄소경보기의 설치기준 마련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4-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49 8.18.부터 50인 미만 사업장도 휴게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6 12
1948 8.17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0 14
1947 8.14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85
1946 7일부터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대상자 위한 ‘임시감면증’ 나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12
1945 7월은 '주민세 재산분' 신고·납부의 달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0
1944 7월부터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도 고용.산재보험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42
1943 7월부터는 더 가벼운 발걸음으로 여행 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6 3
1942 7월부터 흡연카페(75m2 이상)에서 담배 못 피운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9 35
1941 7월부터 허가 신청되는 전문의약품, 환자용 설명서 등 위해성 완화를 위한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21
1940 7월부터 초고속인터넷 등 유선서비스 해지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30 45
1939 7월부터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내려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35
1938 7월부터 저소득층 589만 세대 건강보험료 21% 내려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28
1937 7월부터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월 8만 원 시범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6 42
1936 7월부터 의료급여 진료비용 알림서비스 개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5 71
1935 7월부터 의료급여 수급자 대상 틀니 및 임플란트 지원을 65세 이상으로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2 166
Board Pagination Prev 1 ...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