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과기정통부, 다양한 생활제품공간 전자파 측정 공개

국민 참여를 통해 선정된 1차 측정대상

 37종 전자파 측정, 5월말 결과 공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생활제품·공간에서 나오는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궁금증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2월부터 측정 대상에 대해 국민 신청을 받았고 37종에 대해 전자파 측정을 개시하고 5월말 결과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ㅇ 전자파 측정 신청을 한 제품의 유형을 보면 최근 보급이 활성화된 공기청정기, 전기레인지, 인공지능(AI) 스피커와 냉장고, 전자레인지, 대형 텔레비전 등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생활 가전 특히, 무선이어폰, 전기면도기, 탈모치료기 등 신체밀착 사용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관심이 많았다.

 

ㅇ 또한, 시내버스 운전석, 경찰서 통신실, 전기자동차 실내, 무인주문기(키오스크) 등 생활공간, 직업 환경과 관련된 전자파 노출에 대해서도 궁금증과 우려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생활제품·공간 전자파 측정대상 37종 >

유형구분

측정대상

생활가전 (16종)

의류청정기, 공기청정기, 전기레인지, 대형TV(75인치), 셋탑박스, 게임용 고성능 컴퓨터, 모니터, LED 등, 저주파 치료기, 인공지능 스피커, 와이파이 공유기, 냉장고, 에어컨, 실외기, 전자레인지, 에어프라이어

신체밀착제품 (13종)

탈모치료기, 블루투스 이어폰, 안마의자, 온열찜질기, 키즈 헤드폰, 전기면도기, 족욕기, 흙침대, 전기장판, 무선전화기, 태블릿PC, 전동칫솔, 전자담배

생활공간 (8종)

시내버스 운전석, 경찰서 통신실, 전기분전함, 통신단자함, 전기자동차 실내, 무인주문기, 지하철역 대형패널, 가정용 이동통신중계기

 

전자파 측정은 전자파 측정표준기관인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전영만)과 전자파 측정 전문기관인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원장 서석진)에서 진행하고 측정결과는 ‘생활속 전자파’ 누리집(www.rra.go.kr/emf)을 통해 5월말 공개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전자파에 대한 불안감 해소 차원에서 국민신청에 의한 생활 속 전자파 측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일상생활 속 전자파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정보제공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04-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95 민원서식 간소화 위해 국민 목소리 듣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23
6994 '나이아신' 함유 음료 베이스 제품 등 특별 수거.검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37
6993 우리 아이들 간식, 당류가 적은 제품으로 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16
6992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원봉사활동 신청 기회 많아지고 쉬워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20
6991 재규어, 페라리, 토요타 등 수입사 및 건설기계 리콜 실시[총 35개 차종 20,529대, 건설기계 5개사 475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25
6990 금융소비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간편결제 서비스 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7 22
6989 온라인몰 판매식품 특별점검 결과 11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7 22
6988 제품 아닌 인체 중심으로 유해물질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7 38
6987 대국민 복지포털 「복지로」 개선을 위해 국민의 의견을 듣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7 54
6986 학교폭력 및 성폭력 피해학생 보호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7 13
6985 법률에 근거 없이 행정규칙에 의한 부실벌점 부과는 잘못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7 32
6984 도시재생 특례보증, 담보 부족한 영세사업자에 0.3% 저리보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7 46
6983 4대 절대 불법 주.정차 관행 근절 운동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6 36
6982 공공시설 이용요금 자동감면, 지자체가 나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6 44
6981 시중 유통 일부 일산화탄소경보기 성능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6 99
Board Pagination Prev 1 ...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