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기계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 주간(4.14.~4.20.) 안전사고 주의보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4월 중순 본격적인 농경기가 시작됨에 따라 농기계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재난연감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13~’17)간 발생한 농기계 사고는 총 7,471건이며, 7,066명의 인명피해(사망 541, 부상 6,525)가 발생하였다.

농기계 사고는 4월에 758건, 5월에 1,058건이 발생하는 등 농번기(4~6월)동안 전체 사고의 34.6%가 집중되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원인별로 살펴보면, 운전 부주의(3,746건)와 안전수칙 불이행(1,058건)이 전체 사고의 64.3%를 차지하여, 사소한 부주의가 주요 사고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실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농기계 사고는 주로 경운기(50.0%), 트랙터, 예취기, 관리기 등에서 발생했다.
* (조사기간)2013, 2015, 2017년, (조사방법) 전국 표본농가 방문 면접조사

특히, 경운기와 관리기 사고는 4~6월에 전체 사고의 약 40%가 집중 발생하므로, 해당 농기계에 대한 안전수칙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농번기에는 농기계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농기계 교통사고는 4~6월 기간에 많이 발생(813건, 전체 34.7%)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기계 교통사고는 사망률*이 16.1%(총 2,345건, 사망자 377명)로 일반 교통사고(0.4%)에 비해 크게 높아 사고예방을 위한 농업인들의 노력이 각별히 요구된다.
* 사망률 = (교통사고 사망자수) / (교통사고 발생건수) x 100

농기계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농기계 고장 및 부품탈락 등은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겨우내 사용하지 않았던 농기계는 꼼꼼히 점검하고, 엔진에 쌓인 먼지 등으로 과열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깨끗이 청소한다.

농기계를 사용하기 전에는 항상 각 부품의 상태를 점검하고, 노후하거나 손상이 있는 부품은 반드시 교체하여 사용한다.

안전한 작업을 위한 교육훈련을 이수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한다.

교육훈련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절대로 경운기, 트랙터 등의 농기계를 운전하지 말아야 하며, 각 장치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충분히 숙지한다.

작업에 따라 적당한 복장을 착용하고, 기계에 두발이나 의류 등이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음주 이후에는 절대 농기계를 조작하지 않는다.

봄철에는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춘곤증으로 작업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적정한 휴식을 취하여야 한다.

농기계를 이용하여 도로를 통행할 때는 차량에 주의한다.

농기계로 도로를 이용할 때는 반드시 안전교통수칙을 준수하고, 야간 및 악천후 시 후방추돌을 예방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반사경, 조향등)를 설치한다.

경사지나 방향전환 시에는 감속 운행하고 적재함에 동승자를 탑승시키지 않는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농기계 사용방법 및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점검을 생활화하여야 하며, 특히 음주 이후에는 절대로 농기계를 작동하거나 운전하지 말아줄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9-04-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333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Tresemme 드라이 샴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12.13
1332 트로판 알칼로이드(tropane alkaloid) 다량 검출된 나초(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09.26
1331 전화금융사기 범죄피해 경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05.27
1330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Pukka 강황 건강보충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11.04
1329 감전 위험 있는 E27 램프 홀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11.04
1328 치질.무좀.질염 의약품 온라인으로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06.08
1327 USB케이블 온도 상승으로 고장 날 수 있는 Stadler Form Emma 가습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06.02
1326 가을철 건강한 나들이를 위한 식중독 예방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18.08.30
1325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Hajj, ’18년8월19일∼8월24일) 전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시 메르스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18.08.14
1324 홈쇼핑업체 온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4.02.14
1323 단쇄염화파라핀 과다 함유된 장난감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3.05.26
1322 피부염 및 암을 유발할 가능성 있는 CLARKS 여성용 운동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3.01.16
1321 소형부품 탈락하여 질식 가능성 있는 MBAT 악기 장난감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12.15
1320 가스 누출 및 화재 위험 있는 Optimus 휴대용 가스스토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11.15
1319 영유아 질식 위험 있는 Mini Bobo light up balloon LED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11.14
1318 익사 위험 있는 Jobe 튜브형 패들보드 판매차단 안내(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11.14
1317 라벨 미표기된 성분(우유, 헤이즐넛) 함유한 Organic Tradition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09.30
1316 미흡한 접지연결로 감전 위험 있는 Vevor 드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06.07
1315 즐거운 캠핑, 화재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04.28
1314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Pukka 강황 건강보충제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1.11.04
Board Pagination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