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기계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 주간(4.14.~4.20.) 안전사고 주의보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4월 중순 본격적인 농경기가 시작됨에 따라 농기계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재난연감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13~’17)간 발생한 농기계 사고는 총 7,471건이며, 7,066명의 인명피해(사망 541, 부상 6,525)가 발생하였다.

농기계 사고는 4월에 758건, 5월에 1,058건이 발생하는 등 농번기(4~6월)동안 전체 사고의 34.6%가 집중되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원인별로 살펴보면, 운전 부주의(3,746건)와 안전수칙 불이행(1,058건)이 전체 사고의 64.3%를 차지하여, 사소한 부주의가 주요 사고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실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농기계 사고는 주로 경운기(50.0%), 트랙터, 예취기, 관리기 등에서 발생했다.
* (조사기간)2013, 2015, 2017년, (조사방법) 전국 표본농가 방문 면접조사

특히, 경운기와 관리기 사고는 4~6월에 전체 사고의 약 40%가 집중 발생하므로, 해당 농기계에 대한 안전수칙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농번기에는 농기계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농기계 교통사고는 4~6월 기간에 많이 발생(813건, 전체 34.7%)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기계 교통사고는 사망률*이 16.1%(총 2,345건, 사망자 377명)로 일반 교통사고(0.4%)에 비해 크게 높아 사고예방을 위한 농업인들의 노력이 각별히 요구된다.
* 사망률 = (교통사고 사망자수) / (교통사고 발생건수) x 100

농기계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농기계 고장 및 부품탈락 등은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겨우내 사용하지 않았던 농기계는 꼼꼼히 점검하고, 엔진에 쌓인 먼지 등으로 과열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깨끗이 청소한다.

농기계를 사용하기 전에는 항상 각 부품의 상태를 점검하고, 노후하거나 손상이 있는 부품은 반드시 교체하여 사용한다.

안전한 작업을 위한 교육훈련을 이수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한다.

교육훈련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절대로 경운기, 트랙터 등의 농기계를 운전하지 말아야 하며, 각 장치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충분히 숙지한다.

작업에 따라 적당한 복장을 착용하고, 기계에 두발이나 의류 등이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음주 이후에는 절대 농기계를 조작하지 않는다.

봄철에는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춘곤증으로 작업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적정한 휴식을 취하여야 한다.

농기계를 이용하여 도로를 통행할 때는 차량에 주의한다.

농기계로 도로를 이용할 때는 반드시 안전교통수칙을 준수하고, 야간 및 악천후 시 후방추돌을 예방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반사경, 조향등)를 설치한다.

경사지나 방향전환 시에는 감속 운행하고 적재함에 동승자를 탑승시키지 않는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농기계 사용방법 및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점검을 생활화하여야 하며, 특히 음주 이후에는 절대로 농기계를 작동하거나 운전하지 말아줄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9-04-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351 드론으로 독성 해파리 쏘임 피해 예방 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18.08.17
1350 드레스룸 / 골라골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0.08.12
1349 드럼통 모양 슬라임 완구(Barrel-o-Slime), 붕소 과다 검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9.11.04
1348 뒷바퀴 탈락 위험 있는 Inglesina Quid 유모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1.07.12
1347 두부 손상 가능성이 있는 Xinerter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6
1346 동충하초 판매중단 및 교환 또는 환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9 2017.01.26
1345 동영상으로 알기 쉽게 배우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9.16
1344 동물용의약품이 검출된 `중국산 활미꾸라지`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17.09.04
1343 동남아 패키지여행과 연계된 쇼핑센터 판매 제품 구입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19.12.03
1342 동남아 지역 우리국민 대상 취업사기 범죄에 유의요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2.28
1341 동남아 지역 여행 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8.02.28
1340 동남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3.21
1339 동남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3.03.22
1338 동남아 방문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11.01
1337 동구바이오제약 2개 품목 제조·판매 중지,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2.28
1336 돌출된 손잡이로 인해 부상 위험 있는 Kidoozie 영유아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12.09
1335 돌출된 부분있어 질식 위험있는 유아용 탕온도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05.02
1334 돌의 혼입되어 부상 위험이 있는 Rudehealth 그래놀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2.19
1333 독초와 산나물, 혼동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23.04.14
1332 독소 성분 함유한 Organic Traditions 건살구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1.05.12
Board Pagination Prev 1 ...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