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기농산물건조기 화재 위험 높아

- 안전 관련 부품 누락되고 설치 환경도 취약 -

이 자료는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가을 수확철을 맞아 고추, 버섯, 약초 등 농산물을 건조하기 위해 많은 농가에서 전기식농산물건조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 건조기가 안전 관련 기준에 맞지 않거나 설치상태가 미흡하여 화재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1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이 최근 4년간(2011년~2014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농산물건조기 관련 위해사례 107건*을 분석한 결과, 94.4%(101건)가 화재사고로 나타났다.

* 연도별 접수현황 : (’11년) 12건, (’12년) 30건, (’13년) 29건, (’14년) 36건

월별로 보면, 10월이 46.7%(50건)로 가장 많았으며, 9월 14.0%(15건), 11월 13.1%(14건)로 가을 수확철에 피해가 집중되었다.

일반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기식농산물건조기는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인증 대상 전기용품이며, 농업기계화촉진법에 따른 검정대상 농기계로 감전이나 전기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 관련 부품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이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공동으로 5개 기초자치단체 50개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기식농산물건조기 50대를 조사한 결과, 10대는 안전인증 표시를 하지 않았으며, 이 중 2대는 안전인증을 받지 않은 불법 제품으로 확인되었다.

검정대상 40대(검정 시행일인 2012.11.24. 이후 제조된 건조기) 중 6대는 검정 당시와 달리 사업자가 건조상자 수를 1개에서 최대 3개까지 임의 증설하여 건조용량을 초과함에 따라 송풍모터 등의 과부하를 유발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1대는 누전차단기*, 33대는 접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 누전차단기, 접지 :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 화재 등을 예방하기 위한 부품

2 

전기용품은 습기가 많은 곳에 설치할 경우 전기부품의 열화로 인한 합선, 누전 등이 발생할 우려가 높고, 소비전력보다 낮은 용량의 전원선을 사용할 경우 전기 저항 증가로 인한 발열로 화재까지 이어질 수 있다.

조사대상 50개 농가의 설치환경을 조사한 결과, 습기가 많고 통풍이 원활하지 않은 비닐하우스에 설치한 농가가 5곳, 건조기와 벽사이 공간이 좁아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정체될 우려가 있는 농가가 22곳, 건조기의 소비전력보다 낮은 용량의 전원선을 용하는 농가가 14곳으로 상당수 건조기의 설치상태가 화재 등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한국소비자원은 농산물건조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농가는 화재예방을 위해 자격이 있는 업체에 설치를 맡기고, 건조기의 용도와 용량에 맞게 적정량을 건조하며, 기기가 습기와 먼지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원은 농산물건조기 사용자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사후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 2015-10-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10 전국 유명해수욕장 청소년 흡연, 음주예방 캠페인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7 124
2809 전국 자동차 매연 특별단속, 2천여 대 개선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2 36
2808 전국 지자체, 개인지방소득세 환급금 2개월 앞당겨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8 10
2807 전국 지자체, 올해 소방·복지직 등 지방공무원 3만2,042명 채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9 13
2806 전국 초.중.고, 학부모부담 교육비 신용카드 납부제도 전면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6 12
2805 전국 최고의 착한가격업소에 충북 ‘메밀마당’ 등 4곳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643
2804 전국 표준단독주택가격 4.15% 상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9 81
2803 전국 표준단독주택가격 4.75% 상승…작년 비해 소폭 상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2 66
2802 전국 하루 평균 교통량 전년 대비 4.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8 51
2801 전국 홍수위험지역 쉽게 확인…기후위기 선제적 대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4 34
2800 전국, 17일부터 ‘안전속도 5030’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5 34
2799 전국‘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30.5%→19.9%로 크게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0 20
2798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95
2797 전국의 공공자원 이용, 인터넷‧모바일로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4 15
2796 전국의 숨은 자원봉사자를 찾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4 52
Board Pagination Prev 1 ... 734 735 736 737 738 739 740 741 742 74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