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 베란다(발코니) 사고, 보호자 주의 필요

- 난간 밖으로 추락하거나 문에 끼어 손가락이 절단되기도 -


최근 거주자의 편의에 따라 베란다(발코니) 공간을 취미 공간, 정원, 놀이방, 의류 세탁실 등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베란다(발코니) 공간은 실내 주거공간에 비해 주기적인 청소나 관리가 어렵고 개방한 채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보호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 베란다(발코니) 안전사고 ‘10세 미만’이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6년~2018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베란다(발코니) 관련 위해사례는 2016년 363건, 2017년 404건, 2018년 391건으로 총 1,158건이었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연령별로는 ‘10세 미만’이 43.6%(496건)로 가장 많았고, ‘10세 미만’ 중 ‘만 1~3세’(걸음마기) 연령이 65.9%(327건)에 달했다. 걸음마기 어린이는 위험환경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균형 감각이 완전하지 못하므로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10세 미만 어린이 미끄러짐·부딪힘으로 인한 열상, 타박상, 골절 많아

10세 미만 어린이 베란다(발코니) 안전 사고의 주요 위해 유발 품목은 ‘새시(유리문)’가 40.3%(200건)로 가장 많았고 ‘타일 바닥재’가 22.6%(112건)로 뒤를 이었다. 사고원인으로는 ‘새시’의 경우 부딪히거나 끼이는 사례가 대부분이었으며 ‘타일 바닥재’는 미끄러지는 경우가 많았다.


품목

주요 위해원인

합계(비율)

새시

부딪힘 (92, 46.0%)

눌림·끼임 (82, 41.0%)

기타 (26, 13.0%)

200(40.3)

타일바닥재

미끄러짐·넘어짐 (110, 98.2%)

기타 (2, 1.8%)

112(22.6)

빨래건조대

예리함·마감처리 불량 (9, 50.0%)

부딪힘 (7, 38.9%)

기타 (2, 11.1%)

18(3.6)


이들의 위해 부위는 ‘머리·얼굴(66.7%)’, ‘팔·손(23.0%)’ 순으로 나타나 10세 이상 연령(각각 35.3%, 25.5%)보다 ‘머리·얼굴’을 다치는 경우가 많았다. 위해증상은 ‘열상’ 58.1%, ‘타박상’ 17.1%, ‘찰과상’ 5.9% 순이었는데 난간 밖으로 추락(14건)하거나 문에 끼여 손가락이 절단(5건)된 위험한 사례도 있었다.

◎ 베란다(발코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베란다(발코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난간 높이가 낮거나 간격이 넓은지 확인할 것, ▲건조대, 화분 등 비치물품의 모서리에 충격 완화 장치(모서리 보호대, 안전 가드 등)를 설치할 것, ▲바닥을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미끄럼 방지 매트, 테이프 등을 부착할 것, ▲어린이가 함부로 열 수 없도록 문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올라설 수 있는 의자나 상자 등을 두지말 것 등을 당부했다.

아울러 베란다(발코니) 안전사고 예방법 등을 인포그래픽과 카드뉴스로 제작해 관련 기관에 제공하는 등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정보 확산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임을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9-04-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349 ION Audio 블루투스 스피커, 사용 중 가스누출 및 폭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19.07.22
1348 Lay's 과자, 우유성분 함유 미표기로 알레르기 유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9.07.22
1347 King Arthur 밀가루, 대장균 오염 가능성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662 2019.07.22
1346 Apricot Power 살구씨, 청산 중독 초래할 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9 2019.07.22
1345 기준치 초과 금속성 이물 검출된 분말 식품 12종 시정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9 2019.07.22
1344 기아자동차(주) 쏘렌토 차량 인터쿨러 누유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1 2019.07.22
1343 현대자동차(주) 제네시스(BH) 차량 OCV 누유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704 2019.07.22
1342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19.07.22
1341 해파리 쏘임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07.18
1340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로 건강한 여름휴가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7.18
1339 훈제건조어육 가공품 일부 제품, 벤조피렌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3 2019.07.18
1338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5 2019.07.18
1337 모기 감시를 통해 뎅기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7.16
1336 즐거운 여름휴가 안전하게 다녀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9.07.11
1335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9.07.08
1334 무더운 여름, 물놀이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9.07.05
1333 전국적인 무더위 시작, 온열질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9.07.03
1332 수족구병 발생 지속 증가, 예방수칙 준수 재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9.06.28
1331 나들이 계절, 외부 활동 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6.21
1330 여름철 감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9.06.20
Board Pagination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