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산 정상에서 무단취사를 하고 있어 위험해 보여요!”

- 산불 관련 민원, '위험행위 단속 요청'이 53.2%로 가장 많아 -

 
□산불 관련 민원 중 산림 주변에서 쓰레기 소각 또는 흡연행위, 주행차량의 담배꽁초 투척 등 “산불 발생 위험행위를 단속해 달라”는 내용이 53.2%로 가장 많아 적극적인 산불 예방 안내와 단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한식, 식목일 등 봄철 산행이 많아지는 시기를 맞아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산불 관련 민원 585건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국민신문고 및 지자체 개별 창구(시도포털, 새올) 민원 등을 통해 접수된 민원 빅데이터(Big-Data)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는 범정부 민원분석시스템
 
□ 산불 관련 민원은 연평균 195건 수준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최근 3년간 매년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1
 
□ 민원 유형별로는 쓰레기 소각 등 산불 위험행위 단속을 요구하는 내용이 53.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산불예방과 진화를 위한 시설물에 대해 조치를 요청하는 민원이 21.9%, 산불예방 홍보물의 설치나 개선을 요구하는 내용이 14.9% 순으로 나타났다.
 
2
 
□ ‘산불 위험행위 단속 요구’와 관련된 민원 중에서는 산림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쓰레기 소각행위를 단속해 달라는 내용이 37.6%로 가장 많았고, 주행하는 차량의 담배꽁초 투기 등 흡연행위를 단속해 달라는 민원도 28.6%로 뒤를 이었다.
  
실제 지난해 산불발생 원인을 보면, 32%가 입산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했고, 26%가 논‧밭두렁이나 쓰레기 소각으로 인한 것이어서 위험유발 요인에 대한 단속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
  
‘산불예방을 위한 시설물 조치 요청’ 민원은 소방도로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내용(32.8%)과 화재 원인이 될 수 있는 폐목 등 인화성 쓰레기를 제거해 달라는 민원(32.0%)이 가장 많았다.
 
3
 
‘산불예방 홍보’와 관련해서는 안내판‧현수막 등 홍보물을 설치해 달라는 내용과 기존에 설치된 홍보물을 개선해 달라는 내용이 60.9%로 대다수였다.
  
반면, 산불조심 홍보로 인한 불편사항도 18.4%를 차지했는데, 주로 확성기를 이용한 안내방송으로 인한 소음피해 민원이어서 방송을 통한 산불예방 홍보 시 적절한 사용방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 보였다.
 
□ 국민권익위 안준호 권익개선정책국장은 “산불예방을 위해서는 위험행위 단속과 시설물에 대한 관계기관의 신속한 조치도 필요하지만, 산불발생에 대한 입산자들의 안전의식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권익위는 특정시기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하거나 급증·확산 우려가 있는 민원을 모니터링 해 민원예보를 발령하고 있으며, 지난 3일 산불 관련 민원을 4월에 발생하기 쉬운 예보민원으로 각급 기관에 통보했다.
  
수시 또는 정기적으로 발령하는 민원예보의 내용은 ‘한눈에 보는 민원 빅데이터(bigdata.epeople.go.kr)’ 민원예보 코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9-04-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10 더욱 편리해진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를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31 40
7009 7.28일부터 AI 위기경보 ‘심각’에서 ‘주의’ 단계로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8 40
7008 여름방학 맞이 기록문화 체험하러 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6 40
7007 부동산 전자계약, 8월 1일부터 전국 확대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6 40
7006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스마트시티를 보여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5 40
7005 다진고기로 만든 분쇄가공육 제조업체 일제 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0 40
7004 가맹희망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4 40
7003 취약계층 대상 고충민원 신청받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3 39
7002 비 새는 지붕, 불에 잘 타는 외장재 … 오래된 건축물 수선이 간편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5 39
7001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추계: 2022~2042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1 39
7000 국제거래 소비자상담 전년 대비 16.9%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9 39
6999 오피스텔도 주택임대관리업으로 관리하여 임차인 보호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7 39
6998 문화누리카드, 3월 25일부터 네이버페이에 등록·결제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5 39
6997 저항성운동(근력운동), 얼마나 해야 근감소증 위험을 낮출 수 있을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9 39
6996 카셰어링 이용 시, 본인확인 및 외관 점검 절차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5 39
Board Pagination Prev 1 ...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