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제4차 겨울철 전국 7,241가구 라돈 농도 조사 결과 평균 72.4Bq/m3, 제1차(124.9Bq/m3) 이후 연속 감소 추세

▷ 자주 환기할 경우 라돈 농도 줄어들어, 관리대상 지자체 선정해 라돈 관리계획 수립·시행 예정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2017년~2018년 겨울철 기간 동안 전국 7,241가구(단독·연립·다세대주택)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농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농도가 72.4Bq/m3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Bq: 방사능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베크렐(Becquerel)'로 읽으며 1초 동안 1개의 원자핵이 붕괴하는 방사능을 1Bq라고 함  

국립환경과학원은 전국 주택의 라돈 분포를 파악하고, 라돈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역을 확인하기 위해 2011년부터 2년 주기로 겨울철에 조사하며, 이번이 제4차 조사다.

전국 행정구역별로 표본을 추출한 후 조사에 동의한 주택을 조사원이 방문하여 라돈 검출기를 설치하고 수거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하는 방식으로 라돈 농도를 측정했다.

※ 겨울에 측정하는 이유는 토양과 실내의 온도차가 커서 라돈의 실내 유입 가능성이 크고, 환기를 자주하지 않아 다른 계절에 비해 실내 라돈 농도가 높기 때문임

이번 제4차 조사에서 확인된 평균농도 72.4Bq/m3은 그간 3차례의 조사(2011~2012 124.9Bq/m3, 2013~2014 102.0Bq/m3, 2015~2016 95.4Bq/m3)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 라돈 평균농도 및 권고기준 초과비율 >
연도별 라돈 평균농도 및 권고기준 초과비율

이 같은 감소 추세에 대해 국립환경과학원은 조사 대상 주택 거주자들의 환기 습관이 과거보다 개선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이번 제4차 조사에서 주택에 거주하는 5,745명을 대상으로 환기 여부를 설문 조사한 결과, 매일 환기를 한다는 사람이 45%인 2,557명, 매일 환기를 안한다는 사람이 4%인 240명으로 나타났다.

이전 제1차 조사에서는 조사 대상 4,203명 중에서 매일 환기한다는 응답이 25%인 1,066명, 환기를 안한다는 응답이 29%인 1,226명이었다.

이번 제4차 조사에서 공동주택의 실내 라돈 권고기준 200Bq/m3을 초과한 가구는 전체 가구의 5.6%인 403가구로 나타났다.
※ 공동주택 실내 라돈 권고기준 200Bq/m3(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 제10조의12)

환경부는 이번 조사 결과 라돈 농도가 다소 높게 측정된 가구를 상대로 라돈 저감 상담(컨설팅)과 라돈 알람기 보급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라돈 농도가 높게 나타난 주택이 있는 지역은 추가로 집중 조사하고, 라돈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지자체가 저감계획을 추진할 수 있도록 국고지원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라돈 노출에 취약한 1층 이하 주택, 마을회관 등에 무료로 라돈 측정과 저감 상담을 실시하고, 고농도 주택에 대해서는 라돈 알람기 보급* 또는 저감 시공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실내 라돈 농도 증가 시 알람을 통해 거주자의 환기를 유도하여 실내 라돈 농도 저감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조사대상 개별 주택에 통보했으며, 권고기준을 초과할 경우 환기 등을 통해 라돈 농도를 저감할 수 있도록 안내문을 함께 우편으로 발송했다.

라돈은 암석이나 토양 속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우라늄이 몇 차례 붕괴해서 생성되는 무색, 무취, 무미의 방사성 기체로 85% 이상이 토양으로부터 건물 바닥이나 벽의 갈라진 틈을 통해 실내로 들어온다.

지역별로는 화강암, 편마암 등 지질대의 영향으로 대전, 강원 등에서 높은 경향을 보인다.

주택 유형별로는 단독주택(79.4 Bq/m3)보다 연립·다세대주택(45.9 Bq/m3)에서 실내 라돈 농도가 낮았다.

권명희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장은 "전국 주택 라돈 조사 결과는 국내 실내 라돈 분포를 파악하여 향후 라돈 노출 저감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라며,

"실내 라돈농도는 환기를 통해 충분히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환기를 하는 것이 좋다"라고 말했다.

전국 주택 라돈 조사 결과 및 전국 실내 라돈 지도, 라돈 측정 방법 등 관련정보는 생활환경정보센터 누리집(iaqinfo.nie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환경부 2019-04-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3 QEI+Paris 바디용 로션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5 98
2002 불공정거래에 휘말리지 않기 위한 6가지 주의사항 (MASTER)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4 98
2001 정부, 당뇨병 예방 위해 단맛 줄이기 시동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7 98
2000 라티오(LATTJO) 박쥐망토 전액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7 98
1999 식약처, 환자 맞춤형 의료시대 대비 3D 프린팅 의료기기 제품 개발 지원에 앞장선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98
1998 전동보장구 이용자 상당수 안전사고 우려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0 98
1997 개인정보 많이 보유한 기업, 책임도 그만큼 커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4 98
1996 지끈지끈「편두통」환자 대부분 여성!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9 98
1995 담배로 질병 얻은 흡연자가 직접 TV광고 출연하는 증언형 금연캠페인 도입 방안 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30 98
1994 금융회사 재직증명서를 위조한 신종 보이스피싱에 유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30 98
1993 ’16년 7월~’16년 9월 전국 77,800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0 98
1992 중고차 구입, 고지내용과 실제와 다르다는 불만 많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7 98
1991 2016년 5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7 98
1990 코코본드 예정사유-만기 구체화, 부동산 임대 자율성 확대 등 은행법 시행령 및 은행업감독규정 개정안 공포(6.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98
1989 프렌차이즈 치킨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1 98
Board Pagination Prev 1 ...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