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역축제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주간(4.7.~4.13.) 안전사고 주의보-

행정안전부는 봄철 지역축제가 많아짐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지역축제*는 날씨가 포근해지는 4월(124건)부터 크게 증가하여 5월까지 총 248건(전체의 28%)이 개최될 예정이다.
* 2일 이상 주민, 지역단체, 지방정부가 개최하는 불특정 다수인이 참여하는 축제

그중에 10만 명 이상이 참여한 축제는 98건이며, 영등포 여의도봄꽃축제(500만 명), 진해군항제(315만 명), 서울 장미축제(233만 명) 등 100만 명 이상 참여한 축제는 7건이다.
※문화체육관광부 「2019년 지역축제 개최계획」 ’18년 참여자 수 기준

축제 유형 별로 살펴보면, 4월에는 봄꽃 축제가 전체의 42.4%(53건)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100만 명 이상이 참여하는 축제도 4건이나 되어 행사관리자는 많은 인파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특히, 봄꽃 축제의 대부분이 공연 일정을 포함하고 있어 혼잡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안전요원의 지시에 협조해야 한다.

따뜻한 봄, 안전하고 즐거운 축제를 위해서는 다음 안전수칙을 숙지해야 한다.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곳에서는 공공질서를 준수하고, 걸으면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한다.

공연을 관람할 때는 지정된 관람석 이외의 환풍구, 채광창 등 위험한 장소나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장소에 가지 않는다.

화재 등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119와 현장의 안전요원에게 즉시 알리고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행동한다.

행사장에서 위험 요소를 발견했을 때는 안전요원에게 즉시 신고하는 등 사고예방에도 적극 동참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전신문고누리집(www.safetyreport.go.kr) 또는 앱(App)을 활용하여 신고 가능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지역축제 주최 측에서는 시설 및 안전요원 현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관람객은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안전한 축제문화가 정착되도록 노력해 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4-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131 허용치 초과하는 납 함유한 Spirit 유아용 코스튬 의상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3.02.14
1130 착용 중 벗겨질 위험 있는 Giro Sport Design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3.04.06
112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치료제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08.23
1128 시중 유통 한식된장·청국장, 곰팡이 독소 안전기준에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12.19
1127 Flos 조명 2종, 부품이 분리되어 떨어져 충격 손상 받을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8.02.06
1126 Little Joe 차량용 방향제(Green Tea), 알레르기 유발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8.07.19
1125 Magnetic Putty 장난감, 자석 삼킴 및 독성 노출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8.12.06
1124 다이어트 보조식품 판매 사이트 `케토 플러스(Keto Plus)' 거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9.11.21
1123 합선으로 인한 과열 및 화재 위험 있는 공룡 모형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20.07.01
1122 포장 미흡으로 세균 번식 가능성 있는 콘바텍 Duoderm 습윤밴드 회수 및 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21.11.29
1121 해빙기, 얼음판 출입에 각별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22.02.24
1120 금지 성분인 알로에 에모딘 및 에모딘이 포함된 다이어트 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23.03.16
1119 벤조피렌 기준 초과 검출 ‘들기름’ 제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7.08.11
1118 지속되는 한파, 저체온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7.12.21
1117 Benefit의 눈썹 마스카라 눈 감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8.02.07
1116 수단에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04.11
1115 Weleda 배앓이 완화제, 영유아 삼킴 사고 유발할 수 있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06.14
1114 Britax BOB 유모차(Jogging Strollers), 사용 중 앞바퀴 분리될 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11.04
1113 감염병 예방에도 월동 준비 필요! 질병별 예방수칙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11.05
1112 스팽글 장식 삼킴 사고 우려 있는 타이(TY)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0.04.13
Board Pagination Prev 1 ...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