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식투자정보서비스, 소비자 피해 4배 이상 급증

- 홈페이지 회원 탈퇴 어렵고 고객불만 게시판 운영도 미흡 -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과 서울특별시(이하 서울시)는 유사투자자문업자* 난립하면서 주식투자정보서비스 이용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공동으로 소비자 피해예방주의보를 발령했다. 2018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관련 상담 건수는 7,625건으로 2017년(1,855건) 대비 4.1배 증가했다. 서울지역 상담도 1,552건이 접수되어 2017년(412건) 대비 3.8배 늘었다.

*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대가를 받고 주식정보를 휴대전화, 방송, 인터넷 등으로 제공하는 사업자로 금융위원회에 신고만 하면 영업 가능(’17년 1,596개 → ’18년 2,032개)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 소비자 피해 10건 중 9건이 계약해지 관련 피해

2018년 소비자원에 접수된 피해구제 신청 1,621건을 분석한 결과 계약해지 관련 피해가 95.5%(1,548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세부적으로는 ‘위약금 과다 청구’가 67.2%(1,090건)로 가장 많았고, ‘환급 거부·지연’ 28.3%(458건), ‘부가서비스 불이행’ 1.5%(25건) 등이 뒤를 이었다.

◎ 피해구제 신청 소비자 절반이 50대 이상

소비자 연령 확인이 가능한 1,380건을 분석한 결과 ‘50대’ 피해가 31.0%(428건)로 가장 많았고, ‘40대’ 24.7%(341건), ‘60대’ 18.7%(258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퇴직을 앞둔 ‘50대’와 ‘60대 이상’의 피해가 58.6%(809건)로, 이 시기 주식 투자손실은 노후 생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 평균 계약금액 367만 원에 달해

계약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1,426건을 분석한 결과 1인당 평균 계약금액은 약 367만 원으로 나타났다. 계약 금액별로는 ‘200 ~ 400만 원’이 48.0%(684건)로 가장 많았고, ‘400 ~ 600만 원’ 23.4%(334건), ‘200만 원 이하’ 21.1%(301건) 등의 순이었다.

◎ 유사투자자문업자 홈페이지, 회원 탈퇴 어렵고 고객불만 게시판 운영 미흡해


? (조사대상) 서울시에 통신판매업 신고 후 영업 중인 89개 유사투자자문업자 홈페이지

? (조사내용) 통신판매 신고사항 일치 여부 및 운영 실태 등

? (조사기간) 2018년 9월 ∼ 12월

지난해 하반기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서 실시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89개 유사투자자문업자 중 86.5%(77개)가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이 가능했지만 그 중 24.7%(19개)는 가입 후 탈퇴가 불가능하거나 탈퇴 방법을 고지하지 않았다. 또한 89개 업체 중 12개(13.5%)는 고객불만 게시판을 운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높은 투자수익률 제시에 현혹되지 말고, 계약내용 꼼꼼히 살펴야

소비자원과 서울시는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관련 소비자 피해예방을 위해 ▲ 높은 투자수익률 제시에 충동적으로 계약하지 말 것 ▲ 중도해지 환급기준 등 계약서 내용을 반드시 확인할 것 ▲ 계약해지 사유가 발생하면 즉시 해지 요청하고 녹취 등 증빙자료를 남겨 분쟁에 대비할 것 ▲ 폐업 등 서비스 불이행에 대비해 가급적 신용카드 할부로 결제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소비자 피해를 줄이기 위해 ▲ 유사투자자문업자 협의체를 구성하여 업계 자율개선을 유도하고 ▲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올해 7월부터 시행되는 유사투자자문업자 대상 의무교육에 계약해지 등 소비자보호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도록 금융감독원 등 유관기관과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4-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91 Dazzling White 치아미백제, 고농도 과산화수소 함유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1 2019.03.12
4090 DEHP 과다 함유해 어린이 생식 건강 위험있는 튜브형 피크닉 테이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2.04.04
4089 DEHP 과다 함유해 어린이 생식계 건강 위험있는 피규어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2.05.04
4088 Del Monte 통조림 옥수수, 세균 감염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9.02.07
4087 dellawang / 와썸컴퍼니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0.04.17
4086 Delta 유모차(Cross-Country All-Terrain Jogging Stroller), 낙상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1 2017.12.06
4085 Dewalt 전기 드릴, 사용 중 감전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9.03.12
4084 Dibella 비스킷, 알레르기 유발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19.03.12
4083 DIBP 과다 함유한 Bestway 물놀이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9.28
4082 Difrax 노리개 젖꼭지 줄, 아기가 충전재를 삼킬 경우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8.02.06
4081 Dingxu’s store 스퀴시 완구, 유해물질 함유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19.03.12
4080 Discoveroo 블록완구, 영·유아가 삼킬 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3.21
4079 Disney 색연필에 납 성분이 과다 함유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8.03.21
4078 Disney 아동용 액세서리, 허용치 넘는 납 함유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9 2018.04.12
4077 Disneyland 봉제인형, 규정치 이상의 화학물질 검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3.12
4076 dmBio 렌틸콩 스튜 통조림(Linseneintopf)에 플라스틱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17.12.26
4075 Dorset Cereals 그래놀라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9 2019.09.23
4074 DPF재생시 엔진 부조화 현상 발생하는 현대자동차(주) 스타리아 차량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22.05.02
4073 Duncan Hines 케이크 믹스,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9.04.11
4072 Dynamic 문신잉크(Black)에 발암성분이 포함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03.21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